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2

고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목차 6.복숭아혹진딧물 (persic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yzus 생태정보 1년에 9~23세대를 경과하며, 복숭아나무, 매실, 자두나무의 겨울눈이나 조피아래에서 알로 월동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교미 후 11월에 월동하는 알을 낳는다. 시설에서는 가온하고 전등을 켜주면 월동 없이 계속 번식한다. 약충은 1~5령까지 있고, 발육기간은 약 10일이며, 암컷은 죽을 때까지 평균 20일간 새끼를 낳는다. 평균수명은 41일이고, 출산수는 75마리이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 2022. 6. 17.
고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날개매미충 (speculum) 목/과명 매미목/좀매미충과 속명 Ricania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세대 발생한다. 가지 속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며 이듬해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부화한다. * 봄철 기온에 따라 약충 발생 시기가 1∼2주정도 차이가 남 부화한 약충은 4번 탈피(1령∼5령 약충)한 후 7월 중순∼8월 상순경에 성충이 된다. 우화한 성충은 1개월 정도 영양을 보충한 후 8월상순경부터 기주식물의 1년생 가지 속에 알을 낳는다. 발육영점온도는 9.3℃, 유효적산온도는 693.3일도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감나무, 블루베리,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자귀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 140종이 넘는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흡.. 2022. 6. 17.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7.잘록병 (立枯病,Damping-off) 병원체 Pythium ultimum 발생환경 발병에 관여하는 병원균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AG-1(IB), AG-2-1, AG-4인데, 주 로 AG-4에 의해서 병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겨울을 지난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유묘기에 잘록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든 묘는 잘 쓰러지고,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이 발생하지 않은 포장의 토양을 상토(床土)로 사용하다. - 묘상(苗床)의 토양이 다습(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파종 전 싸이론훈증제로 토양소독을 하거나 파종 직전 혹은 파종 .. 2022. 6. 16.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9.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Cucumber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온대지역에 발생이 많다. 우리 나라에서도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각종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PVX는 즙액전염 또는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이 된다. 접촉전염은 잎이나 줄기 접촉뿐만 아니라 뿌리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PVX는 진딧물에 의하여 매개되지 않으나, 직시목에 속하는 곤충과 진균(Synchyrium endoticum)에 의하여도 전염되기도 한다. 자연 상태에서 감염이 되는 기주로는 고추, 담배, 감자, 토마토 등이다. PepMoV를 자연상태에서 전염시키는 것은 진딧물이다. PepMoV는 비영속형전염 바이러스로서 충체(蟲體)내 잠복기간이 없다. 또한 바이러스를 .. 2022. 6. 16.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점무늬병 (褐色斑點病,Cercospora 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capsic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고온,다습한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잎자루, 과경, 가지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흰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원형의 둥근 갈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안쪽에는 눈동자와 같은 작은 원형병반이 한 개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겹무늬반점으로 보인다. 병반의 모양이 개구리눈과 닮았다 하여 일명 개구리눈무늬병이라고도 불린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마르고 잘 떨어진다. 잎자루와 과경 및 가지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 반점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한다. -.. 2022. 6. 16.
가지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6.점박이응애 (urticae) 목/과명 응애/잎응애과 속명 Tetranychus 생태정보 온도가 높은 시설재배 작물에서 발생이 많다. 점박이응애는 추운 지방에서는 년 9회, 따뜻한 지방에서는 10~11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시설작물에서는 가온하고 야간 조명을 하면 휴면하지 않는다. 월동한 성충은 처음에는 잡초에서 번식하다가 작물이 생육함에 따라 작물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8월이 가해최성기이다. 잎의 표면과 뒷면 양쪽 모두를 가해하나 주로 잎 뒷면에서 주로 서식한다. 발육시작온도는 9℃전후이고, 발육적온은 20~28℃, 최적습도는 50~80%로서,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10일이 소요되는데 좋은 환경조건에서는 급속히 개체수가 증가한다. 예찰은 식물체 뒷면을 육안 또는 확대경을 이용하여 조사.. 2022. 6. 16.
가지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꽃노랑총채벌레 (occidentalis) 목/과명 총채벌레목/총채벌레과 속명 Frankliniella 생태정보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으로, 1993년 9월에 제주도 감귤하우스에서 처음으로 피해가 관찰되었으며, 1995년 말까지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의 총 23개 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현재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시설 원예작물의 주요 해충으로 되었다. 온실 내의 적합한 환경에서는 연 10회 이상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은 식물의 조직에 산란하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은 식물체를 가해하면서 성장하여 2령 약충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제1, 제2번데기 기간을 거친 후 성충이 된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 18일(25℃)이고, 성충 수명은 60일(20℃)로 오이총채벌레보다 길고, 암컷 한마.. 2022.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