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정보131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6편 31.초록장님노린재 (lucorum) 목/과명 노린재목/장님노린재과 속명 Apolygus 생태정보 자세한 생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년간 2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충은 국화과 식물 등에서 자라는데, 포도나무에서 피해가 특히 많고, 박과류나 가지의 잎을 가해하기도 한다. 감귤원에서는 신초 발생기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데 특히, 과원에 잡초가 많거나 건초 등으로 피복이 되어 있는 유목에서 많이 발생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신초 부위의 어린잎에서 즙액을 흡즙하여 가해한다. 피해 받은 잎은 초기에는 흡즙에 의해 잎의 표면에 백색 반점이 발생하는데, 시간이 경과하면 상처부에 구멍이 생겨서 생육이 위축되고 기형화된다. 방제방법 성목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유목에서 간혹 피해.. 2022. 6. 26.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25.점박이응애 (urticae) 목/과명 응애/잎응애과 속명 Tetranychus 생태정보 온도가 높은 시설재배 작물에서 발생이 많다. 점박이응애는 추운 지방에서는 년 9회, 따뜻한 지방에서는 10~11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시설작물에서는 가온하고 야간 조명을 하면 휴면하지 않는다. 월동한 성충은 처음에는 잡초에서 번식하다가 작물이 생육함에 따라 작물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8월이 가해최성기이다. 잎의 표면과 뒷면 양쪽 모두를 가해하나 주로 잎 뒷면에서 주로 서식한다. 발육시작온도는 9℃전후이고, 발육적온은 20~28℃, 최적습도는 50~80%로서, 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10일이 소요되는데 좋은 환경조건에서는 급속히 개체수가 증가한다. 예찰은 식물체 뒷면을 육안 또는 확대경을 이용하여 조사.. 2022. 6. 26.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19.썩덩나무노린재 (halys)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Halyomorpha 생태정보 주로 큰 나무의 껍질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년간 1~2회 발생한다. 고온건조시 발생이 많고, 고온다습시 발생량이 적다. 알은 25~35개 정도씩 무더기로 낳으며, 부화한 유충은 집단생활을 하고, 성충이 되면 한낮에는 그늘에 숨어 있다가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 주로 가해한다. 착색전의 유과에서는 피해가 적고, 9월~10월에 피해가 크다. 감귤 잎에 20~3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피해정보 과실의 착색이 시작될 무렵, 보통 극조생의 경우 9월초부터, 조생 온주밀감은 9월 말부터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제초가 안되어 잡초가 많이 있는 과원의 경우 발생이 더 심하다. 구침으로 흡즙하여 가해하는데, 가해.. 2022. 6. 26.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13.목화진딧물 (gossypii)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Aphis 생태정보 년간 십 수세대 발생하며, 조팝나무진딧물과 마찬가지로 역시 주변의 기주식물에서 알로 월동한다. 감귤원 주변에서 월동한 알이 봄에 부화한 후 감귤원에 봄순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유시암컷성충이 감귤원으로 날아와 증식하며 가해한다. 일반적으로 5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봄순에서는 5월하순~6월 상순에 그리고 여름순에서는 7월 하순~8월 상순에 밀도가 가장 높은데, 전반적으로 조팝나무진딧물보다 발생량이 다소 적으며, 특히 여름순에서의 발생이 더 적다. 기타 생태는 조팝나무진딧물과 유사하다 피해정보 식물체에 달라붙어서 즙액을 빨아먹고 기생하며, 신초와 꽃 그리고 과실 등에 피해가 발생하는데, 피해를 받으면 조팝나무진딧물과 마.. 2022. 6. 26.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7.꽃노랑총채벌레 (occidentalis) 목/과명 총채벌레목/총채벌레과 속명 Frankliniella 생태정보 암컷성충의 크기는 약 1.4~1.7mm정도이며, 몸색은 황색~갈색으로 다양하고, 더듬이 첫마디는 황색, 둘째 마디는 갈색, 3~5번째 마디는 황갈색이고 나머지는 갈색이다. 수컷성충의 크기는 약 1.0~1.2mm정도이며, 황색이다. 성충의 날개는 2쌍으로 되어 있으나 잘 발달하지 못하였고, 총채모양을 하고 있어서 잘 날지 못하므로 톡톡 튀듯이 이동한다. 알은 타원형으로 반투명한 백색이다. 피해정보 개화기의 자방과 유과 그리고 착색기의 과실을 주로 흡즙하여 가해하는데, 하우스밀감에서는 개화기에 총채벌레가 발생은 하지만, 주로 착색기에 피해를 받고, 노지 감귤에서는 주로 개화기~유과기에 피해를 받.. 2022. 6. 26.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1.갈색날개노린재 (stali)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Plautia 생태정보 성충으로 낙엽 등에서 월동하며, 4월 중순경에 월동 장소로부터 나온다. 일반적으로 1년에 1~2회 발생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3회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풀색노린재와 마찬가지로 기상이 고온 건조할 때 증식율이 높고, 과원에 채소나 두과작물이 심겨 있거나 방풍수로 둘러싸여 통풍이 잘 안 되는 곳 등에서 발생이 많다. 그리고 한낮에는 그늘에 숨어 있다가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 주로 가해한다. 성충은 5~6월에 과원에 날아와서 어린 과실을 가해하며 알을 낳는다. 알은 무더기로 낳으며, 무더기 당 알의 수는 약 15~25개 정도이다. 갓 부화한 유충은 집단생활을 하고, 7~8월에 성충이 되어 과실을 가해한다. 7~8월에도 과실을.. 2022. 6. 26.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18.접목부이상병 (接木部異常病,Bud-union disorder, Tattar leaf-citrange stunt) 병원체 Citrus tatter leaf virus 발생환경 접목 및 즙액에 의해 전염된다. 바이러스를 무독화하는 방법으로 주간 40℃, 야간 30℃로 3개월간 처리하면 효과가 있다. 증상설명 대목과 접수간의 불친화로 인하여 접목부위 바로 위의 접수부위가 팽대해 지고 그 부분의 껍질을 벗겨 보면 대목과 접수 사이가 뚜렷한 이층이 생겨서 잎에서의 동화산물이 뿌리로 이동하는 것과 뿌리에서 흡수한 양,수분들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수세가 약화된다. 어린 묘목의 경우 황화되고 강한 바람이나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그 부위가 부러진다. 하지만 감염된 모든 나무가 이런 불친화 증상.. 2022. 6. 26.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