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능사 필기 9편 - 유기농업의 의의
유기농업 유기농업은 환경생태계의 보호,토양쇠퇴와 유실의 최소화,환경오염의 최소화,생물학적 생산성의 최적화,자연환경의 우호적 건강성 촉진 등을 추구하고 있고,유기농업 생산체계의 목적은 생물학적 생산력,환경의질, 공동체의 건강을 최적화 하는 것이다. 유기농업 기준 작물과 품종의선택 : 병해충 저항성이 있으면서 유기농업 인증농가에서 채종된 것 *윤작 실시:화학 비료 대신 경제적인 수확이 가능하도록 녹비작물,두과 작물 및 심근성 작물의 윤작 실시 시비 관리:토양의 잠재적 생산력과 생물학적 활동력을 유지 향상 시킬 목적으로 시비되어야 하며 , 장기적으로 토양 중 부식함량을 높여야 하고, 시용 질소는 유기질 비료이어야 하므로 가축분 활용을 위해 자급할 만큼의 가축 두수 확보 *병해충 관리:농약 사용을 금하고 천적 ..
2022. 8. 6.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8편 - 토양관리
토양관리 *논 우리나라 논토양의 토양 생성 모암은 산성암인 화강암류가 70%를 차지하고 있어 산성 토양이 많다. 기후는 온난 습윤하여 토양 중에서 유기물의 분해는 촉진되는 반면 집적량은 적어서 유기물 함량이 낮은 척박한 토양이 대부분이다. *논토양의 지력증진 방안 심경 ,객토,유기물시용,규산질 비료의 시용,아연 시용,석고 시용 논토양 종류별 개량 보통논,모래논,미숙논,습답,염해논,특이 산성논 *담수(물을 논에 가두어 놓는 것) 효과 수소 이온농도 조절 식물 양분이나 독성 물질의 농도 조절 화학적평형과 흡착 및 방출 미생물의 변화 탈질현상 질산염의 환원에 의해 질소를 분해하는 생물산화의 현상을 말함. 하수 중에 포함된 유기질소 화합물은 질화작용에 의하여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변화하지만, 이들은 수중의 용..
2022. 7. 10.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7편 - 토양생물 및 토양오염
토양세균 자급영양세균 : 질산화성 세균류,황세균류,철세균 타급영양세균 : 질소 고정 세균류,암모니아 생성에 관여하는 세균 토양미생물 흙속에 있는 미생물. 세균, 방사균, 사상균, 조류 등 종류가 많은데 그 작용은 토양의 생성이나 고등 식물의 생육에 영향이 많음. 토양 미생물의 유익작용 탄소순환,암모니아화성 작용,질산화성 작용,유기질소의 고정, 가용성 무기성분의 동화, 미생물에 의한 무기성분의 변화,미생물 간의 길항 작용, 토지 구조의 입단화, 생장 촉진물질 토양 미생물의 유해작용 병해,선충해 유발, 질산염의 환원과 탈질 작용, 황산염의 환원,환원성 유해물질의 생성 집적, 무기성분의 형태 변화,작물과 미생물간의 양분 쟁탈 사상균 호기성이며 pH와 상관없이 잘 생육하지만 특히 세균이나 방사상균이 생육하지 못..
2022.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