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작장해
해마다 계속적으로 같은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작물이 피해를 입는 증상.
원인
토양병해충 만연,염류집적,미량 요소 결핍,독소의 중독 현상
*해결방법
-비 또는 담수로 씻어 내린다.
-비료 성분이 낮은 완숙퇴비나 짚같은 유기물의 사용으로 토양 속에 과대하게 남아있는 영양분을 흡수하도록 하여 서서히 분해하면서 작물에 긍급되도록 한다.
-화본과 작물 재배로 잔류된 염류를 흡수한다.
-비료의 분시 등 합리적인 시비를 한다.
-토양 수분을 적절하게 관리한다.
-깊이갈이를 하거나 심토를 반전시킨다.
-객토 및 표토를 제거한다.
-전답의 돌려짓기 등을 한다.
-윤작
*토양의 지력 증진을 위해 퇴비를 시용하고 효소제와 미생물제 또는 광물지과 쌀겨 및 각 농가에서 제조한 액비등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두과 작물, 녹비작물 또는 심근성 작물 등의 윤작이 토양 비옥도 증진에 필요함이 인정되어 인증 기준에 윤작을 권장하고 있다.
유기물 비료
우분뇨 : 유기물은 풍부하지만,비료의 3요소 함량은 낮음
돈분:우분과 계분의 중간 정도 성질을 갖고 있음
계분 : 비효가 가축 똥 중에는 가장 큼,오줌과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인과 칼슘의 함량이 높음,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는 능력은 매우 떨어짐(유기물함량이 낮아 토양개량적 기능은 약함)
유기물 비료와 화학비료의 차이점
-유기물 비료는 각종 영양분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어서 작물에 대한 종합 영양공급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퇴비 종류별 성분 함류량과 품질은 편차가 심하다.
-비효는 퇴비의 경우 지효성이지만 액비의 경우 화학 비료와 동등하게 속효성이다.
-유기물 비료는 화학비료에 비하여 운송 시용이 불편하고 성분 조성과 비효가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시용량을 결정하기 어렵다.
온실분류
-채소온실
유리온실 : 토마토,피망,오이 등의 열매 채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
연동형 유리온실 : 생육 기간이 짧은 잎상추, 미나리 등의 잎줄기 채소의 양액 재배에 많이 이용
-과수온실
유럽종 포도는 내습성이 약하여 비를 많이 맞으면 병해의 발생이 심하기 때문에 유리온실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포도 재배용 온실은 덩굴을 지붕의 내면에 배치하기 때문에 지붕의 면적이 넓어야 좋으므로 지붕의 기울기는 크게한다.
-화훼온실
절화용 : 초장이 길기 때문에 추녀가 높아야 한다.
분화용 : 대체로 초장이 짧기 때문에 추녀가 약간 낮아도 되지만, 벤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훼 재배에는 연동형과 벤로형이 주로 이용된다.
난방설비
-온풍 난방기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공기에 전달하여 따뜻하게 하는 난방방식
플라스틱 하우스의 난방에 많이 쓰인다.
장점
열효율이 80~90%로 다른난방 방식에 비하여 높고 짧은 시간에 필요한 온도로 가온하기 쉬우며, 시설비가 저럼한 이점이 있다.
단점
건조하기 쉽고, 가온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며, 연소에 의한 가스의 장해가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온수 난방 장치
보일러로 데운 온수를 시설 내에 설치한 파이프나 방열기에 순환시켜 표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면적이 2000~3000m^2 정도인 온실에 적합하다
쾌감도가 높다
※쾌감도란?
인체에 쾌감의 영향을 주는 기온, 습도, 기류, 복사열 따위를 잘 조합하여 유쾌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의 적도.
장점
한번 더워지면 오랫동안 지속되며, 균일하게 난방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단점
열이 방열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설비비가 비싸고 한랭시 난방을 정지 하였을경우 동결 우려가 있다.
-증기난방 방식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를 시설 내에 설치한 파이프나 방열기에 보내어 여기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는 난방 방식
장점
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의 운반 능력이 크다.
예열시간이 짧고 증기 순환이 빠르다
방열 면젹을 온수난방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설비비가 저렴하다
단점
쾌감도가 낮다.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라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냉방설비
팬과 패드 방법
한쪽 벽에 목모를 채운 8~10cm패드를 설치하고 , 패드 위에 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흘러내리게 하여 패드가 완전히 젖게 한다.
반대편 벽에는 환기 팬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밖으로 뽑아낸다. 이경우 ,외부의 공기가 패드를 통과하여 시설 내로 들어오면서 냉각되어 시설내의 온도가 낮아진다.
팬과 포그방법
포그 노즐을 사용하여 30um의 작은 물 입자를 온실의 내부에 뿌려준다. 그리고 천장에 환기팬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뽑아내도록 한다.
작은 물 입자가 고온의 공기와 접촉하여 기화함으로써 온실내의 공기를 냉각 시키는 방법이다.
온실의 온도를 바깥 기온보다 2~4도 낮출수 있다.
냉방 보조 설비
차광 : 발,한랭사 등의 차광재를 지붕 위에 설치하여 햇볕을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시설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다.
옥상유수 : 지붕 위에 물을 흘러내리게 하여 태양열을 흡수시키고 지붕면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열선 흡수 유리 : 열선을 주로 흡수하는 유리를 피복하여 시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다.
관수설비
살수장치
스프링클러 :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물을 넓은 면적에 살수할 수 있으며, 노즐, 송수호스,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소형 스프링클러 : 육묘상이나 잎 채소류의 재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대부분이 플라스틱 제품으로, 부족도 용도에 따라 쉽게 교환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관수 방향과 범위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진다.
유공튜브 : 경질이나 연질 플라스틱 필름에 지름 0.5~1.0mm의 구멍을 뚫어 살수하는것으로 수압이 낮아도 균일하게 관수할수 있다.오래 사용할수 없으나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점적관수장치 : 플라스틱 파이프나 튜브에 분출공을 만들어 물이 방울방울 떠어지게 하거나 천천히 흘러나오게 하는방법이다.저압으로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하우스 내 습도의 영향도 줄일수 있다.잎과 줄기 및 꽃에 살수하지 않으므로 열매 채소의 관수에 특히 좋다.
분무장치 : 온실 천장마다 길이 방향으로 파이프 라인을 가설한 다음 분무용 노즐을 설치하여 고압으로 압송된 물을 파종상 관수,엽면관수,농약살포,하우스 내 가습과 냉방등에 사용한다.
저면관수장치 : 화분에 대한 관수 방법으로 벤치에 화분을 배열한 다음 물을 공급하여 화분의 배수공을 통하여 물이 스며 올라가게 하는 방법이다.채소의 육묘와 분화 재배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지중관수 : 땅속에 매설한 급수 파이프로부터 토양 중에 물이 스며 나와 작물의 근계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다.급수 파이프로부터 모세관 현상으로 , 작물의 뿌리까지 물이 스며 올라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물의 손실이 많다.
환기설비
자연 환기장치
천장이나 측창등의 환기창을 통해 환기
강제 환기장치
-프로펠러형 환풍기:일력차가 적으나 많은 환기량이 요구되는 넓은 면적의 환기에 사용된다.
-튜브형 환풍기 : 덕트 환기등에서 사용하며, 프로펠러형 환풍기보다 환기 용량은 적으나, 압력차가 큰 경우에도 압력 손실이 적다.
'자격증 > 유기농업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3편 마지막 - 유기축산 (0) | 2022.08.06 |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2편 - 유기식량작물 (0) | 2022.08.06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0편 - 품종과 육종 (0) | 2022.08.06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9편 - 유기농업의 의의 (0) | 2022.08.06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8편 - 토양관리 (0)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