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청년창업농3

청년창업농(후계농) 융자사업 비용산정 중 고려해야 할 점 청창농(후계농) 융자사업에는 비용산정 시 고려하며 진행해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취득세 또는 증여세, 농신보에서 보증해 주는 외의 금액, 가건축물(시설하우스) 설치에 필요한 금액 등이 있습니다. 먼저 청년창업농에 선정된 경우 기반이 없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작목선택 -지역선택 -토지구매 -시설설치 작목선택과 지역선택은 준비과정에서 대부분 정하였을수 있습니다. 두 선택은 고민은 많이 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금전적인 부분이 들어가지는 않기 때문에 대충 비용산정만 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토지구매와 시설설치의 경우 실제로 금전적인 부분이 들어가며 융자 외에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토지구매 실제 토지구매에 들어가면 청창농의 경우 3억원 한도 내에서 95% 정도를.. 2023. 6. 24.
청년창업농 바우처카드 사용처 청년창업농이 되면 받을 수 있는 바우처카드의 사용처는 아래와 같으며 청년창업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시행 지침을 참조하였습니다. 위 업종에 포함되더라도 업종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제품이나 기업의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있는 만큼 바우처카드는 체크카드로 만들고 결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3. 4. 24.
2023년 청년후계농(청년창업농) 지원 개정안 2018년부터 청년창업농이라는 제도를 통해 청년들의 농업 정착을 돕는 정책을 이어가고 있으나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2%의 금리로 초기 3년 거치 7년 상환에서 5년 거치 10년 상환으로 기간을 늘렸으나 여전히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는 땅값의 상승과 자재 값의 상승으로 시도도 못해보고 있는 청년후계농들도 많습니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23년부터는 많은 부분에서 지원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중 큰 영향이 있을 개정안들을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선별 인원 조건 변동 가장 큰 조건 변동사항은 소득기준이 본인 및 직계존속 세대의 건강보험 산정액(중위소득 120%) 미만이라는 조건이 본인 세대의 건강보험 산정액(중위소득 120%) 미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