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법률3

주말농장 구하는법(매매,임대) 목차 주말농장이란 주말에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도시 근교에 마련한 소규모 농장. 도시민을 비롯한 비농업인이 주말에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농장입니다. 주말농장 취득방법 주말농장을 취득하기전 준비해야 될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농지법살펴보기 먼저 농지법을 살펴봅시다. 농지법 제7조에 따르면 ③ 주말ㆍ체험영농을 하려는 사람은 총 1천제곱미터 미만의 농지를 소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면적 계산은 그 세대원 전부가 소유하는 총 면적으로 한다. 이렇듯 농업인이 아니여도 1천제곱미터(약 302.5평)의 농지를 소유 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하지만 농지는 농지법 제3조(농지에 관한 기본 이념) ①농지는 국민에게 식량을 공급하고 국토 환경을 보전(保全)하는 데에 필요한 기반이며 농업과 국민경제의 조화로운 발전.. 2022. 6. 23.
농업경영체 등록 방법과 혜택 목차 농업 관련 법률이 강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법들이 생겨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 먼저 법에 근거한 자격요건들을 살펴보는것이 좋습니다. 농업경영체등록 방법 농업경영체등록을 위한 자격요건들을 알아봅시다. 1.준비 먼저 농업인의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농업인이란? 제3조(농업인의 기준) ① 법 제3조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1. 1천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농어촌정비법」 제98조에 따라 비농업인이 분양받거나 임대받은 농어촌 주택 등에 부속된 농지는 제외한다)를 경영하거나 경작하는 사람 2.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인 사람 3.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4... 2022. 6. 23.
농지제도(농지법) 알아보기 - 농지의 소유,임대,증여,상속,처분 목차 개요 국가에서는 농지가 투기의 대상이 되는것을 막기위해 농지에 대한 법률이 강화하고 있습니다. 투기를 목적으로 한 농지들이 워낙많아서 한번에 바뀌기는 힘들겠지만 알아두면 좋을거 같습니다. 어떤땅을 농지라고 하는지 또 소유,상속,처분에 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농지란? 농지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실제로 농작물을 경작하는 토지 또는 다년생식물(약초, 잔디, 과수 등)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입니다. (농지법 제2조제1호) - 위 토지의 개량시설(양 · 배수시설, 수로, 농로, 제방 등)의 부지 - 농지에 설치하는 고정식온실 · 버섯재배사 및 비닐하우스의 부지 - 농막(비 주거목적의 연면적 20㎡ 이하) · 간이저온저장고 (연면적 33㎡ 이하) 및 간이액비저장조(저장 용량 200톤 이하)의 부지 -..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