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곡식류15

수수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겉깜부기병 (裸黑穗病,Loose kernel smut) 발생환경 이삭 패는 식 이후 발생하며 검댕이로 덮여있는 낟알은 처음에는 담회색의 막으로 덮여 있지만 이 막은 곧 터지고 가루 형태의 포자들이 노출되며 포자들은 바람에 날린다. 거두기 할 때 감염되지 않는 낟알에까지 스며들어가 품질을 떨어뜨린다. 병원균은 감염된 낮당렝서 휴면균사 상태로 겨울나기를 한다. 균사는 식물체의 생장점에 근접하여 식물체와 같이 자라며 이삭 패는 시기의 균사는 어린 낟알에 침임한 후 세포 간극에서 자란다. 포자 방출 시기는 건전한 식물에서 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하며 균사가 암술머리나 어린 씨방의 벽을 통하여 꽃으로 침입하여 낟알이 성숙하기 전에 열매껍질이나 씨눈의 조직내에 자리를 잡는다. 증상설명 대체로 감연된 개체는 건전한.. 2022. 6. 12.
조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노균병 (露菌病,Downy mildew, Green-ear disease) 발생환경 포자낭이 종자에 붙거나 땅속에서 월동하며 이듬해 감염된 종자가 발아할 때 침입한다. 비바람에 의해 포자가 이동하여 2차 감염이 일어난다. 노군병은 저온이며 다습한 기상조건이 계속되면 발병 확산이 빠르다. 병 발생에 알맞은 토양온도는 20℃이다. 증상설명 잎과 이삭에 발생한다. 잎 앞면에 황록색의 줄무늬가 생기고 습하면 뒷면에 흰곰팡이가 형성되며 심하면 속잎이 나오지 못한다. 이삭은 씨껍질이 비대하여 여물지 못하고 기형이 된다. 병명은 군대병, 군데병, 백발병으로도 불린다. 방제방법 이어짓기를 피하고 돌려짓기를 하며 병든 것은 모아서 태운다. 밀색재배를 피하여 다습한 조건이 되지 않도록 한다. 약제방제 시 등록된 약제를.. 2022. 6. 11.
옥수수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검은줄오갈병 (黑條萎縮病,Black-streaked dwarf) 병원체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발생환경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매개충으로 애멸구와 운계멸구 등 멸구류에 의해 주로 전염하며, 종자, 접촉, 토양 및 새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전염 경로는 먼저 감염된 벼로부터 5세대 애멸구 약충이 바이러스를 획득하여 가을에 보리에 감염시키거나 월동 후 애멸구가 3~4월에 보리, 옥수수, 논으로 이동하여 보리에 감염 발병시켜서 중간 전염원이 된다. 또한, 겨울을 지난 애멸구 성충에 의하여 산란된 난이 부화하여 약충이 되어 보리 감염주로부터 바이러스를 획득한 후 보독충이 되어 비래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기주식물로는 화본과 작물.. 2022. 6. 11.
녹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자주무늬병 병원체 ercospora kikuchii 발생환경 감염된 종자를 심으면 병원균은 종피에서 자라서 유묘를 감염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포자는 바람에 날려 옮겨진다. 종자의 감염은 개화기나 그 이후에 발생한다. 균의 생장과 발달은 23∼27℃에서 최적이며, 재배기간 동안 따뜻하고 축축한 날씨는 발병을 조장한다. 병원균이 줄기를 침입할 경우 특별한 병징없이 식물체내에서 잠복하다가 따뜻하고 습한 날씨가 지속되면 병원균은 떡잎이나 줄기, 잎에서 자라나서 분생포자를 형성하고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하여 주변의 다른 식물체에 옮겨진다. 증상설명 잎의 상부에는 적자색∼자갈색의 원형의 병반이 형성된다. 가장 위쪽의 잎과 잎자루는 마르고 갈변한다. 꼬투리에서는 둥글고 적자색∼자갈색의 병반이 발달한다. 감염 .. 2022. 6. 11.
팥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겹무늬병 (輪紋病,Circular leaf spot, Ascochyta leaf spot) 병원체 Ascochyta phaseolorum 발생환경 8월부터 9월까지 주로 발생한다. 병원균은 포자체의 형태로 병든 잎의 잔재물에서 월동한 후 이듬해의 전염원이 된다. 포자체에서 분출한 원형세포가 바람에 날려 기주에 도달하여 초기 병반을 만들어 1차 전염이 일어난다.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의 장마기에 바람이나 빗물에 의하여 전반되어 초가을 까지 발생이 심한 경우도 있다. 증상설명 잎에 발생하며, 발병 초기에는 회색-녹색에서 갈색-회색이면서 경계가 확실하지 않는 원형 또는 부정형의 점무늬 증상이 나타난다. 병반이 확대됨에 따라 고리 모양의 크림색이 되어 병반이 뚜렷하게 된다. 결국에는 각각의 점무늬가.. 2022. 6. 11.
콩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왕담배나방 (armige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Helicoverpa 생태정보 년간 발생세대수는 2∼3세대로 번데기 상태로 땅속에서 지낸 후 5∼6월에 우화하여 10월까지 피해를 준다. 알은 잎당 1개씩 산발적으로 낳지만 때로 5∼10개를 집단으로 낳기도 하며, 500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산란∼부화까지의 기간은 실온에서 약 3∼4일, 알∼우화까지는 17∼20일 정도가 소요되며, 유충 기간은 25℃에서 19~26일 정도이며, 다 자란 유충은 땅속 2~10㎝ 깊이에서 번데기가 된다. 성충 수명은 10∼12일이다. 예찰은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실시한다. 피해식물이나 유충의 배설물을 관찰하여 발생확인 할 수 있다. 피해정보 해충은 광식성으로 채소, 과수, 화훼류에 널리 가해한다. 담배, 감.. 2022. 6. 11.
콩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 개의 난괴로 잎 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 2022.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