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정보/곡식류15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0.세균성점무늬병 (細菌性斑點病,Bacterial leaf blight) 병원체 Pseudomonas savastanoi 발생환경 비바람이 많고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 병원세균은 병든 잎이나 줄기 또는 종자에 붙어서 겨울을 지내며 다음해의 1차 전염원으로 작용한다. 병원세균에 오염된 종자를 심으면 발아 초기부터 자엽에 병이 발생하고 증식된 세균은 식물체간 접촉, 비바람, 물방울 등에 의해 주위의 식물체로 전염된다. 또한 병원세균은 비바람, 농기구, 농작업 등에 의해 전반되며 주로 식물체의 기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종자는 생육기중 꼬투리 감염, 수확, 저장 시 오염된 종자와 접촉되어 감염된다. 세균성 점무늬병은 저온이면서 잦은 강우나 안개가 심한 지역에서 발생이 심한데 주로 두류의.. 2022. 6. 10.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뿌리썩음병 (黑色根腐病,Black root rot, Red crown rot) 병원체 Calonectria ilicicola 발생환경 이 병은 1980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평균 발병률이 5%미만으로 큰 피해는 없으나 심한 포장은 수량을 기대할 수 없을 만큼 피해가 크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27℃전후로서 고온기인 7~8월에 많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조직에서 소립균핵 상태로 겨울을 지내며 주로 지표면에 접촉된 줄기 부위를 침입한다. 초기에는 병징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장마가 오래 계속되고 온도가 낮을 때 병원균의 생장이 왕성하여 심하게 병든 개체는 잎이 누렇게 된다. 장마가 계속되면 줄기는 생육이 가능하지만 장마가 끝나고 건조하면 잎이 황화된다. 병에 걸린 식물체에 형성된 자낭과.. 2022. 6. 10. 보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6.속깜부기병 (堅黑穗病,Covered smut) 병원체 Ustilago hordei [ = Ustilago hordei ] 발생환경 속깜부기병균은 후막포자(동포자)형태로 종자에 부착하거나 토양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종자가 발아하면서 포자도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하고 이것이 자엽초(떡잎짚)를 침입한 후 생장점 아래에 도달한다. 꽃이 형성될 때 균은 씨방 조직으로 들어가서 종자 대신 균 덩어리를 형성한다. 후막포자는 전체 이삭을 둘러싸는 막 내에 존재하다가 수확기에 방출된다. 증상설명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속깜부기병은 겉깜부기병보다 피해가 적고 건전한 보리보다 다소 늦게 출수하거나 많은 경우에는 잎집에 싸여 출수하지 못한다. 암갈색~흑색의 후막포자 덩어리가 씨알에 발생하며 백색의 피.. 2022. 6. 9. 보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겉깜부기병 (裸黑穗病,Loose smut) 발생환경 겉깜부기병균은 종자의 배에서 휴면 균사체로 생존한다. 감염종자가 발아하면 병원균도 발아하여 경정부위로 이동하고, 종자 원기에 도달한다. 모든 이삭조직은 후막포자로 전환된다. 후막포자는 보리 개화기에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주두와 자방벽을 침입한다. 균사체는 세포사이로 퍼져나가며 주로 배반조직에 존재한다. 개화기 중 상대습도가 높고 16~22℃의 온도가 유지되면 균의 포자 발아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개화기간을 증가시켜 포자가 화기조직과 접촉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므로 서 균의 침입을 쉽게 한다. 증상설명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겉깜부기병은 출수 직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 전염한다. 출수기와 성숙기사이에 뚜렷하여 처음 발병된 이삭은 검.. 2022. 6. 9.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섬서구메뚜기 (lata) 목/과명 메뚜기목/섬서구메뚜기과 속명 Atractomorpha 생태정보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하순~6월 상순에 부화하고 약충은 식물체를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어린 약충은 섭식량이 적지만 다자란 약충과 성충은 잎을 폭식한다. 예찰은 잎을 들추어보거나 작물체를 털어서 약충과 성충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며, 발생이 심한 경우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어 치운다. 8~9월경에 야산근처의 포장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약충과 성충이 주로 벼과 식물의 잎을 폭식하므로 발생이 많으면 즉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9.애멸구 (striatellus) 목/과명 매미목.. 2022. 6. 8.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먹노린재(lurida)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Scotinophara 생태정보 우리나라에는 1971년에 최초로 보고된 해충이며 1997년부터 충북 산간지역인 옥천, 충남 서산지역에서 다량 발생하여 문제가 된 해충이다. 2001년 이후에는 중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낙엽 밑이나 말라죽은 잡초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6월 상순부터 본논으로 이동한다. 본논에서의 월동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상순이며, 약충은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새로운 성충은 8월 하순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한다.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30.7개이며, 최고 55개까지 산란한다. 성충은 난괴로 산란하는데 난괴당 알수는 12~16개이며, 알기간은 평균 4.3일이.. 2022. 6. 8. 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2.이삭누룩병 (稻麴病,False smut) 병원체 Ustilaginoidea virens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핵 또는 후막포자로 겨울을 지나고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되는데, 발병된 벼알에 형성된 균핵은 주로 토양에서 겨울을 지나고 다음해 7~8월경 발아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에서 유출된 자낭포자가 공기 중으로 날아올라 수잉기의 엽초에 부착되었다가 벼 꽃이 팰 무렵에 벼 꽃을 통하여 벼알로 침입한다. 벼 이삭누룩병은 질소질 비료를 과다시용 하면 발생이 많아지게 되는데, 저온다습, 일조부족, 강우일수 등의 환경조건이 병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예년에 비해 벼 출수기에 강우일수가 유난히 많고 일조시간이 매우 적은 1998년 중부지방에서는 이삭누룩병이 대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받은 적이 .. 2022. 6.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