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곡식류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by 투농부 2022. 6. 10.
반응형

10.세균성점무늬병 (細菌性斑點病,Bacterial leaf blight)

 

 

병원체

Pseudomonas savastanoi

 


발생환경

비바람이 많고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
병원세균은 병든 잎이나 줄기 또는 종자에 붙어서 겨울을 지내며 다음해의 1차 전염원으로 작용한다.
병원세균에 오염된 종자를 심으면 발아 초기부터 자엽에 병이 발생하고 증식된 세균은 식물체간 접촉, 비바람, 물방울 등에 의해 주위의 식물체로 전염된다.
또한 병원세균은 비바람, 농기구, 농작업 등에 의해 전반되며 주로 식물체의 기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종자는 생육기중 꼬투리 감염, 수확, 저장 시 오염된 종자와 접촉되어 감염된다.
세균성 점무늬병은 저온이면서 잦은 강우나 안개가 심한 지역에서 발생이 심한데 주로 두류의 생육 초기인 5~6월경에 병 발생이 증가하고 7~8월의 고온기에는 병 발생이 줄어들며 9월 이후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다시 증가한다.
주로 병든 식물체의 잔해에서 겨울을 지내거나 병에 걸린 식물체에서 수확한 종자를 통해 전염을 한다.
병든 식물체 잔해에서 겨울을 지낼 경우 춥고 건조한 환경에서 병원균의 생존기간이 길어진다.겨울을 지낸 병원균이 먼저 떡잎을 침해하고 이차 감염이 일어나는데 이 때 빗물 또는 바람에 의해 주변의 잎으로 전파된다.
세균은 기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 다음 7~8일 사이에 식물세포 사이에서 증식하고 독소를 생성하여 엽록소의 합성을 저해한다.
불마름병과 달리 비교적 저온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콩 생육 초기에 병 발생이 증가하다가 7~8월의 고온기에 콩의 생육이 왕성해지면 병 발생이 줄어들며 9월 이후에 다시 약간 증가한다.

 


증상설명

콩, 강낭콩, 동부, 녹두 등의 잎에 주로 발생되며 자엽, 잎자루, 줄기, 꼬투리에도 병반이 형성된다.
생육초기에는 자엽의 끝에 갈색반점이 생기고 점차 큰 암갈색 반점이 된다.
병든종자에서 발아된 유묘는 생육이 억제되고 말라죽는 것이 흔하다.
생육 중기에는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초기에는 1㎜ 이하의 작은 수침상의 점무늬가 생기며 진전되면 흑갈색 병반으로 커지고 심하면 여러 개의 병반이 합쳐져서 큰 병반을 형성한다.
병반이 찢어지거나 일찍 낙엽이 지기도 한다.
과습할 경우 병반으로부터 세균이 흘러나와 광택이 있는 엷은 막을 형성하기도 하며 병반 주위에 노란색 띠가 형성된다.
잎자루, 줄기, 꼬투리에도 처음에는 작은 수침상의 병반이 형성되며, 진전되면 짙은 갈색이나 검은색의 움푹한 병반이 형성된다.
감염된 꼬투리는 종자감염 및 오염의 원인이 되며, 병든종자는 활력이 떨어지고 발아율이 저조하다.
병반은 주로 잎에 발생하나 줄기 또는 꼬투리에도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에는 작고 모가 진 수침상의 노란색에서 밝은 갈색 반점이 생겨서 점차 적갈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병반 주위에 황록색의 띠를 형성하는데 염해 증상과 매우 흡사하여 구분하기 어렵다.
어린잎은 뒤틀리거나 누렇게 되기도 한다.
저온, 다습한 날씨가 계속되면 병반이 넓어져 주변의 병반과 합쳐지고 강풍 또는 빗물에 의해 탈락하며, 일찍 낙엽이 진다.
유묘기 병징은 발아 후 떡잎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처음 나타나며 병반은 확대되어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병에 걸린 유묘는 위축되거나 생장점에 감염되면 죽는다.
꼬투리나 종자에도 감염되며, 줄기나 잎자루에도 검은 병반이 생긴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와 저항성품종을 재배한다.
- 발생포장은 연작을 피하고 옥수수, 수수, 맥류 등으로 2년 이상 윤작한다.
- 병든 잔재물은 제거하고, 식물체의 잎이 젖어 있는 시간에는 작업을 삼간다.

 

 


11.시들음병 (萎凋病,Fusarium wilt, Fusarium blight, Root ro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대표적인 토양전염성 병해로 사질토양에서 병발생이 많다.
토양 중에는 주로 후막포자로 생존하며 기주식물 없이도 다년간 생존한다.
병원균은 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하므로 토양해충과 선충의 밀도와 병발생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증상설명

생육 중기 이후 28℃ 이상인 고온기에 병 증상이 잘 나타난다.
줄기의 도관부는 흑갈색으로 썩고 쪼개지면서 시든다.
병든 포기의 누렇게 되고 생육이 위축되며 잎은 활력을 잃고 결국 떨어진다.
병든 포기에는 열매가 제대로 열리지 않는다.
어릴 때는 주로 뿌리썩음 증상으로 나타나며 14℃ 정도인 저온기에 발생이 많다.

 

 

방제방법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 건전한 종자를 잘 선별하여 파종한다.
- 사질토양에서 재배를 피하고 작물이 수분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
- 토양 선충과 해충을 잘 방제해야 한다.
- 콩에 등록된 약제는 없다.

 

 


 

12.역병 (疫病,Phytophthora root rot)

 

 

병원체

Phytophthora sojae

 


발생환경

두류에만 발생하며 북미지역의 콩 재배에서는 피해가 가장 큰 병해이다.
국내에는 최근에 병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전국적인 발생상황은 조사된 바 없다.
병원균은 물을 매우 좋아하는 반 수생균으로 배수가 불량하거나 침수된 포자에서 발생이 많다.
병원균은 자웅동주균으로 병든 조직 내에 다량의 난포자를 형성한다.
국내 재배 품종별 저항성 차이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증상설명

병든 포기의 뿌리와 땅가 줄기는 썩고 시들다가 결국 말라죽는다.
지상부에 나타난 병 증상은 시들음병과 비슷하게 보이기도 하여 황화 위축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전 생육기에 감염되며 어릴 때는 병이 더 빨리 진전되어 쉽게 죽는다.

 

방제방법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 건전한 종자를 잘 선별하여 파종한다.
- 사질토양에서 재배를 피하고 작물이 수분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리한다.
- 토양 선충과 해충을 잘 방제해야 한다.
- 콩에 등록된 약제는 없다.

 

 

 


 

13.오갈병 (萎縮病,Stunt)

 

 

병원체

Cucumber mosaic

 


발생환경

우리나라에서는 동부, 팥, 야생콩 등에서 흔히 발생하고 있으나, 콩에서는 쉽게 발견되자 않는다.
즙액전염, 종자전염 및 진딧물에 의해 전염이 되며, 매개 진딧물로는 복숭아혹진딧물 등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 전염된다.
기주범위는 콩과작물 및 가지과작물 등 매우 넓은 편이다.

 


증상설명

콩의 경우 많은 품종에서 뚜렷한 병징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그러나 초기에 감염되면 잎이 좁고 길어지며 잎면은 요철상으로 된다.
즉 콩모자이크바이러스(SMV) 병징의 주름이 생기는 것과 비슷하나 주름이 크고 나온 부분은 농녹색으로 되고 말리는 잎이 거의 없다.
수확기가 가까워지면 잎이 건전주보다 푸르고 늦게까지 낙엽 되는 일이 없으며, 마디 사이와 잎자루가 현저하게 짧아지고 가는 분지가 총생한다.
꼬투리는 대두 모자이크와 비슷하며 콩알은 윤문상의 갈색 무늬가 생기는 것도 있다.


방제방법

- 무병주에서 채종하며, 감염된 콩 종자는 무늬가 있으므로 종자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병든 식물을 조기에 제거하고, 진딧물을 철저히 방제한다.

 

 

 


 

14.자주무늬병 (紫斑病,Purple blotch, Purple seed stain, Purple spot)

 

 

병원체

Cercospora kikuchii

 

발생환경

병원균은 감염된 포장의 이병 잎이나 줄기 및 종자에서 월동한다.
감염된 종자를 심으면 균은 종피에서 자라서 유묘를 감염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포자는 바람에 날려 전반 된다.
잎에서는 주로 가장 위쪽 잎에서부터 감염이 이루어진다.
종자의 감염은 개화기나 그 이후에 발생한다.
균의 생장과 발달은 23~27℃에서 최적이며, 재배기간 동안 따뜻하고 축축한 날씨는 발병을 조장한다.
콩 자주무늬병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병원균은 병든 종자, 잎, 줄기에서 월동하며, 감염된 종자를 파종하면 종피에서 떡잎으로 침입하는데, 발아 전에 종피가 벗겨지면 유묘가 병원균의 감염을 피하기도 한다.
병원균이 줄기를 침입할 경우 특별한 병징 없이 식물체내에서 잠복하다가 따뜻하고 습한 날씨가 지속되면 병원균은 떡잎이나 줄기, 잎에서 자라나서 분생포자를 형성하고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하여 주변의 다른 식물체에 옮겨진다.

 


증상설명

잎, 줄기, 꼬투리 및 종자에서 나타나지만 대개는 잎과 종자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잎의 상부에는 적자색~자갈색의 각지거나 다소 원형의 병반이 형성된다.
가장 위쪽의 잎과 엽병은 마르고 갈변한다.
가장 뚜렷한 병징은 가장 어린잎에서 나타나는 황화와 마름증상이다.
대부분의 포장에서 병징은 한?두 마디 이상으로 진전되지 않는다.
꼬투리에서는 둥글고 적자색~자갈색의 병반이 발달할 수 있다.
종자에 감염되면 자색을 띈다.
감염 종자는 분홍~연자색~진자색으로 변색된다.
변색부위는 작은 반점부터 종자 전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종자는 파열되고, 거칠고, 종자의 색이 흐릿하게 될 수 있다.
감염된 종자는 병징을 나타내지 않으나 감염된 자엽은 시들고, 짙은 자색으로 변하면서 일찍 탈락하고, 식물체는 위축되거나 죽는다.
이 병에 감염된 종자는 종피에 흐린 자주색에서 짙은 자주색까지 크기와 모양도 다양한 얼룩이 생기는데, 병징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병은 종자, 꼬투리, 줄기, 잎 등에도 발생한다.
이 병에 걸린 종자는 특이하게 다른 병원균이 잘 검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감염 종자를 파종하면 입모율이 떨어지고 유묘에 병이 발생한다.
병에 걸린 떡잎은 주름이 지고 짙은 자주색으로 변하며 일찍 떨어진다.
잎에 나타나는 병징은 꼬투리가 형성되는 시기부터 햇빛에 노출된 잎들이 보랏빛을 나타내기도 한다.


방제방법

- 병이 발생하지 않은 포장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하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종자 소독을 한다.
- 다른 작물들과 적어도 1년간 윤작한다.
- 이병 잔재물은 즉시 제거하여 포장위생을 철저히 한다.
- 이병종자의 사용을 피하고 무병종자를 파종한다.
- 등록된 약제로 종자소독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골든왕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60(45+15)% 굳타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사1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디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다보인터내셔널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이내 다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업세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이내 다3 팜앤피플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파워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린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천지인바이오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꼼꼼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이내 다3 태평에이지(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다승왕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팜아그로텍(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대유아족시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대유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두루두루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인바이오(주)
살균제 프로클로라즈.테부코나졸 유제 37.5(25+12.5)% 두아졸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사1+사1 아다마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매직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이엑스아이디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60(45+15)% 모도우리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사1 (주)경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미라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한국마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빅펀치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티아그로
살균제 티람 종자처리액상수화제 26.5% 새총 Ⅳ급(저독성) Ⅰ급   30㎖/건종자㎏ 파종기 1회 이내 한국삼공(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너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태준아그로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너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미래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젠포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진케미칼(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알리바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지넥스(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에코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피에이치엘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원킥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플룩사피록사드 액상수화제 15.3% 카디스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다2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탑앤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탑앤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투빅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에이치바이오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폴리비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프리건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유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행운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하나바이오

 

15.점무늬병 (斑點病, 褐紋病, 輪紋病,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canescens

 


발생환경

균은 작물의 잔재물이나 종자에서 생존한다.
Cercospora와 Septoria는 따뜻하고 습도가 높을 때 발병하기 쉬우며, 포자들은 종자에 의해 장거리 전반 되고, 바람, 빗물에 의해서는 포장의 작물 간에 전반이 이루어진다.
Phyllosticta는 선선하고 습한 조건하에서 감염하기 쉽다.
P. exigua는 다범성 병원균으로 콩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작물들에서 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1차 전염원은 여러 곳에 존재할 수 있다.
포자가 식물로 감염되려면 28℃ 이하의 온도와 바람이 동반된 빈번한 강우와 높은 상대습도가 필요하다.

 


증상설명

두류에서는 다양한 점무늬 증상을 일으키는 6속의 병원균이 알려져 있다.
Cercospora속과 관련 속들은 구형이나 각진 황갈색 병반을 형성한다.
중앙에는 회색~황갈색이고 가장자리는 적갈색이다.
Septoria에 의해서는 단엽에 많은 구형이나 불규칙한 암갈색의 매우 작은 반점을 형성한다.
인접한 반점들은 합쳐져서 불규칙한 점무늬를 나타내며, 반점의 중앙에는 검은 점 같은 병자각이 형성되고, 심하면 잎은 황화하면서 조기낙엽 된다.
삼출 엽에서는 수많은 불규칙한 황갈색 병반으로 발달하고, 후에는 진한 갈색으로 변한다.
Phyllosticta는 잎에 구형의 병반을 형성하고, 경우에 따라서 적갈색 병반이 잎의 가장자리부터 시작하며 안쪽으로 진행되면서 불규칙하거나 V자 형을 나타낸다.
Phoma는 잎에서 갈색~흑색의 뚜렷한 윤문 증상을 나타내고, 심하면 병반은 잎 전체의 절반까지 발달한다.
병반 중앙에는 작고 검은 병자각이 형성된다.
꼬투리에서도 암갈색으로 다소 움푹 들어가는 윤문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곡류나 옥수수와 같은 비기주 작물을 윤작하여 초기 전염원의 밀도를 줄인다.
○ 포장에서 감염된 잔재물은 경운하여 매몰한다.
○ 무병종자를 사용한다.
○ 종자소독 후 파종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골든왕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60(45+15)% 굳타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사1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디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다보인터내셔널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이내 다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업세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이내 다3 팜앤피플
살균제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5.5(16+9.5)% 균카트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14일 전 2회 이내 아5+다3 팜아그로텍(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파워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린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천지인바이오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꼼꼼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21일전 3회이내 다3 태평에이지(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다승왕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팜아그로텍(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대유아족시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대유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두루두루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인바이오(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매직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이엑스아이디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60(45+15)% 모도우리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사1 (주)경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미라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한국마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빅펀치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티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너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미래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너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태준아그로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젠포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진케미칼(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알리바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지넥스(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에코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피에이치엘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원킥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5.5(16+9.5)% 캐스팅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아5+다3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탑앤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탑앤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투빅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에이치바이오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폴리비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프리건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유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행운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하나바이오

 

16.콩황화모틀모자이크바이러스 (Soybean yellow mottle mosaic virus)

 

 

병원체

Soybean yellow mottle mosaic virus

 


발생환경

콩이나 콩과식물에서만 병을 일으키며, 돌콩에서 종자로 전염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발병된 돌콩이 전염원이 되어 매개 곤충에 의해 콩으로 옮겨간다.
즙액 전염이 잘 되며, 발병 잔재물에 의해 토양전염가능성이 있다.

 


증상설명

잎에서 황화증상과 함께 퇴록반점과 모자이크 증상이 품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심하면 괴사 증상을 나타낸다.


방제방법

- 바이러스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전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병이 발생한 식물체는 즉시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포장 주변의 야생콩들과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진딧물류, 노린재류 등을 방제해야 한다.

 

 


 

17.콩황화일반모자이크바이러스 (Soybean yellow common mosaic virus)

 

 

병원체

Soybean yellow common mosaic virus

 


발생환경

콩이나 돌콩에서만 병을 일으키며, 즙액 전염이 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발생한 신종 바이러스로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증상설명

잎에서 황화증상과 함께 모자이크 증상이 품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방제방법

- 바이러스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전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병이 발생한 식물체는 즉시 제거하고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18.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병원체

Colletotrichum truncatum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사의 형태로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겨울을 보낸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종자에 감염되어 있는 병원균은 초기에 묘를 침해하여 잘록 증상을 일으키거나, 병반형성 없이 감염된 상태로 있다가 작물이 성숙할 때 2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의 감염은 온도 25~30℃, 상대습도 70% 이상에서 잘 이루어지며, 분생포자의 전반은 고온기에 관수시의 물방울이나 빗방울 혹은 바람에 의해 이루어진다.
병 증상은 주로 식물체의 생육 중기 이후에 많이 진전되어 나타나는데, 병 발생은 여름철 장마기에 시작하여 가을 수확기까지 계속된다.
이 병은 여름에서 가을까지 온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오면 심하게 발생한다.
병원균이 종자에 감염된 경우 발아를 못하게 하거나 발아 후 모잘록을 일으킨다.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체는 생육 전반기에는 잠복하다가 생육 후기에 이르러 병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유묘에 발생한 병원균은 따뜻하고 습한 날씨가 되면 증식하여 2차전염원이 된다.
식물체 표면에서 포자는 35℃이하의 온도와 수분이 존재하면 발아하여 부착기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약5시간만 건조하게 되면 발아율이 98%이상 떨어진다.
병원균의 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은 12시간으로 이 기간 동안 식물체가 젖어 있으면 감염이 일어난다.
C. dematium var. truncatum의 감염은 개화 후부터 꼬투리에 종실이 형성되는 기간에 가장 심하게 일어나며 이 시기에 발생한 병은 수확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증상설명

잎, 줄기, 꼬투리, 종자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갈색의 다각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병이 진전되면 갈색 내지 암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오래된 병반의 내부는 회색 내지 담황색으로 변하고, 까만 점이 보이며, 잘 찢어진다.
줄기에서는 갈색의 타원형 내지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는데, 후에 병반이 약간 움푹 들어가며 균열이 생기고, AF1750 오래된 병반에는 황색 내지 담홍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형성된다.
심하게 병든 줄기는 검게 변색되고, 말라죽는다.
꼬투리에서는 초기에 갈색 내지 암갈색의 원형 혹은 타원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후에 겹무늬 병반으로 확대되면서 병반이 움푹 들어가기도 한다.
오래된 병반에는 황색 내지 담홍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형성된다.
심하게 병든 꼬투리는 생장이 정지되고, 기형으로 변하며, 일찍 말라죽는다.
성숙한 꼬투리에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꼬투리 내의 종자에도 갈색 내지 흑색의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후에 종자가 전체적으로 변색되어 썩는다.
병징은 생식생장 초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생식생장 후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작고 검은 털(강모)을 볼 수 있다.
잎의 병징은 습한 기후가 지속될 때 나타난다.
감염된 종자를 파종하면 모잘록 또는 떡잎에서 짙은 갈색의 궤양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어린뿌리까지 점차로 확산되고 습한 상태가 유지되면 떡잎이 급속히 말라죽는다.
탄저병에 감염되면 조기 낙엽으로 인하여 심각한 수량 감소가 초래될 수 있다.
꼬투리가 심하게 감염될 경우 종자는 짙은 갈색으로 쭈그러진 모양이 된다.


방제방법

-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를 파종한다.
- 수확 후 병든 식물체를 제거하여 불에 태워버리거나 깊게 경운한다.
-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화본과 등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프로피코나졸 유현탁제 18.71(7.01+11.7)% 규네스타 Ⅲ급(보통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이내 다3+사1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균피아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만코제브 수화제 75% 다이센엠-45 Ⅳ급(저독성) Ⅱ급 600배 - 수확 14일전 3회 (주)경농
살균제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 20% 디렉터 Ⅲ급(보통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14일 전 까지 2회 이내 사1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디티아논.피라클로스트로빈 유현탁제 32(24+8)% 매카니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카+다3 (주)팜한농
살균제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 20% 살림꾼 Ⅳ급(저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14일 전 까지 2회 이내 사1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새론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11.5(6.5+5)% 쉴드론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다3+사1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스탠바이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인바이오(주)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쎈탄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쎈탄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30일전 1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프로피코나졸 유현탁제 18.71(7.01+11.7)% 아리킬트 Ⅲ급(보통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사1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안트라콜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어바우트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어바우트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 20% 올샷 Ⅲ급(보통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14일 전 까지 2회 이내 사1 인바이오(주)
살균제 메트코나졸.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17(8+9)% 일등탄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사1+다3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조반니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아다마코리아(주)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카네기 Ⅲ급(보통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주)태준아그로텍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카브리오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한국바스프(주)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카브리오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한국삼공(주)
살균제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22.9% 카브리오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1회 이내 다3 한국삼공(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13(12+1)% 클릭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다3+사1 (주)팜한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프로피코나졸 유현탁제 18.71(7.01+11.7)% 킬트 Ⅲ급(보통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사1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팜한농프로피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팜한농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프로랭스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헥사코나졸.펜사이큐론 액상수화제 17(2+15)% 함초롱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사1+나4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발리다마이신에이 액상수화제 11(6+5)% 항공스타 Ⅳ급(저독성) Ⅱ급 6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다3+아3 (주)경농

2022.06.10 - [병해충정보/밭작물] -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