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19

청년창업농(후계농) 융자사업 비용산정 중 고려해야 할 점 청창농(후계농) 융자사업에는 비용산정 시 고려하며 진행해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취득세 또는 증여세, 농신보에서 보증해 주는 외의 금액, 가건축물(시설하우스) 설치에 필요한 금액 등이 있습니다. 먼저 청년창업농에 선정된 경우 기반이 없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작목선택 -지역선택 -토지구매 -시설설치 작목선택과 지역선택은 준비과정에서 대부분 정하였을수 있습니다. 두 선택은 고민은 많이 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금전적인 부분이 들어가지는 않기 때문에 대충 비용산정만 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토지구매와 시설설치의 경우 실제로 금전적인 부분이 들어가며 융자 외에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토지구매 실제 토지구매에 들어가면 청창농의 경우 3억원 한도 내에서 95% 정도를.. 2023. 6. 24.
청년창업농 바우처카드 사용처 청년창업농이 되면 받을 수 있는 바우처카드의 사용처는 아래와 같으며 청년창업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시행 지침을 참조하였습니다. 위 업종에 포함되더라도 업종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제품이나 기업의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있는 만큼 바우처카드는 체크카드로 만들고 결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3. 4. 24.
2023년 청년후계농(청년창업농) 지원 개정안 2018년부터 청년창업농이라는 제도를 통해 청년들의 농업 정착을 돕는 정책을 이어가고 있으나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2%의 금리로 초기 3년 거치 7년 상환에서 5년 거치 10년 상환으로 기간을 늘렸으나 여전히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는 땅값의 상승과 자재 값의 상승으로 시도도 못해보고 있는 청년후계농들도 많습니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23년부터는 많은 부분에서 지원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중 큰 영향이 있을 개정안들을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선별 인원 조건 변동 가장 큰 조건 변동사항은 소득기준이 본인 및 직계존속 세대의 건강보험 산정액(중위소득 120%) 미만이라는 조건이 본인 세대의 건강보험 산정액(중위소득 120%) 미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 10. 12.
청년창업농이 선택한 작물(품목) 순위 목차 개요 2018년 청년창업농이라는 정책이 시작되고 4년이 지났습니다. 저는 올해 조건이 되지 않아 신청조차 할 수 없었지만 청년이 귀농할때 큰 도움이 되는 제도 입니다. 만40세 미만이라면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연초 모집할때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agro.seoul.go.kr/archives/42358 2022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신청 안내 공고 2022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신청 안내 공고 agro.seoul.go.kr 하지만 이러한 도움에도 실패하는 청년귀농인들 많다는 소문이 있으며 요즘에는 지역이나 개인의 조건에 따라 지원에 대한 규모나 조건이 다르며 땅값도 많이 올라 있던터라 청년들의 어려움이 많습니.. 2022. 8. 1.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경기도) 목차 개요 땅값이 비싸지만 않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호할 지역입니다. 서울과 가까워 도시와 농업을 함께 즐길 수 있으며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유통,체험등 경영체를 운영하는데 많은 혜택을 누릴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지역에 비해 농업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편이며 농업과 연계시킬수 있는 사업을 한다면 괜찮은 지역이라고 생각됩니다. 지역 가평군 연천군 남양주시 화성시 안성시 양주시 양평군 평택시 지원정책수 8 6 3 3 1 1 1 1 ​ 시도별 특수정책 ​1. 가평군 그나마 경기도에서 가장많은 농업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다른지역과 마찬가지로 후계농,청년창업농,주택구입지원사업을 기본으로 농자재보조,유통자재 보조, 가축방역보조,경영자금과 시설자금 융자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2.연천군 경기도에서 .. 2022. 8. 1.
국내 인구이동과 귀농귀촌인구 분석 목차 국내 인구이동 귀농 1위 지역이란 기사와 함께 귀농열풍등 기사들이 있지만 실제 귀농귀촌 인구들을 보면 굉장히 작은걸 볼 수 있습니다. 아래자료와 같이 전국적으로는 2만명정도이며 행정구역별로 따지면 1~3천명 정도로 나옵니다. 행정구역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국 17,318 17,976 19,860 20,559 19,630 17,856 16,181 17,447 19,776 경상북도 3,267 3,560 3,683 3,568 3,469 3,205 3,036 3,135 3,654 전라남도 2,791 2,882 3,071 2,999 2,909 2,963 2,784 3,108 3,453 충청남도 1,933 1,928 2,206 2,253 2,111.. 2022. 7. 31.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강원도) 목차 개요 전라도 다음으로 농업지원정책이 많은 지역입니다. 땅은 넓은편이나 산지가 많고 환경이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값싼땅과 자연을 생각하신다면 원하는 생활에 따라 귀농귀촌 하기 괜찮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책은 강원도를 남북으로 나눴을때 남쪽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것으로 보이는데 날씨와 연관이 있는거 같습니다. 횡성군과 영월군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특히 횡성군은 모든지역과 비교해봐도 압도적으로 많은 농업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청년창업농과 주택자금대출사업은 정책을 적어놓지 않은 지역도 있지만 해당지역관할 농업지원센터를 통해 알아 보시면 대부분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기술교육지원도 많은곳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역 횡성군 영월군 홍천군 양양군 평창군 고성군 철원군 인제군 춘천시 태백시 .. 2022.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