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19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경상남도) 목차 지자체별 지원정책의 수에 따라 그 지역이 얼마나 농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정책의 수만 보고 귀농을 결심할 수는 없습니다. 또 나에게 맞지 않는 정책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 지역별 지원정책수를 표로 살펴보고 공통정책과 차별화된 지원정책들을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 지역별 지원정책 수 지역 고성군 의령군 남해군 김해시 밀양시 하동군 합천군 양산시 사천시 거창군 함양군 거제시 창녕군 통영시 창원시 진주시 산청군 함안군 지원정책수 20 16 15 13 12 11 11 9 9 9 8 7 7 7 6 6 4 3 공통정책 ​ 1.농업창업(후계농)과 주택구입 지원정책 ​ 지원대상 및 자격조건 - 사업신청일 기준 만65세 이하 - 도시지역 거주 1년 이상, 농촌지역 전입일로부.. 2022. 7. 9.
귀농귀촌시 돈되는 작물(귀농작물 추천) 목차 개요 제목은 돈되는 작물이지만 특이작물을 얘기하지는 않을 예정입니다. 처음부터 작물을 키우는 방법도 잘 정착되어 있지 않고 판매도 어려운 특이작물은 위험한 선택이 될수있습니다. 작물선택에 있어 안정적인 귀농정착을 위해 일반적인 작물들을 비교해볼 생각입니다. 먼저 단위면적당 수익을 살펴보고 투자비용, 노동력 등을 알아보고 각 작물들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작물을 선택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면 통계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amis.rda.go.kr/portal/ap/mn/incomeAnalysisLst/lst 농업경영정보시스템 amis.rda.go.kr 자료에 따라 작물의 평균적인 소득 살펴보겠습니다. 자료참고시 유의사항 330평(1000m^2 ) 기준으로 이.. 2022. 6. 26.
귀농귀촌 농지 구하기 목차 귀농할 지역도 정하고 작물도 정했지만 원하는 땅을 구매하는것 쉽지않습니다. 특히 먼지역에서 귀농을 준비하는경우 땅이 나와도 확인하러가기 힘듭니다. 이런 과정들을 그나마 줄여줄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농지 구하는법 1. 지역정하기 지역을 미리 정하고 작물을 알아봤다면 상관이 없지만 작물만 먼저 정했다면 어느지역에서 그 작물들을 하는지 알아봐야합니다. 먼저 아래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https://www.nongnet.or.kr/index.do 농산물유통 종합정보시스템 수급(일일,종합,통계), 생산(품목별,동향,전망),유통(품목별,도매가,반입량),소비(품목별,소매가,장보기),알림(공지,소개,자료) 안내 www.nongnet.or.kr 아래 표시된 메뉴로 들어갑니다 (수집정보->도매시장 거래정보) 이.. 2022. 6. 25.
귀농귀촌 작물 선택시 고려해야할 점(귀농귀촌) 목차 귀농귀촌을 결심해도 막상 작목을 선택하기 쉽지않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작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많은것을 고려해야합니다. 어딜 찾아봐도 명확히 알려주는곳이 없어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봅니다. 이후 잘 정리하여 쉽게 테스트 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할 예정이니 현재는 아래 사항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귀농귀촌 작물 선택시 고려해야 할점 1.작목을 선택할때 기본적인것은 지역을 고려해야합니다. 지역에 따라 환경이 다르고 환경에 맞는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그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판매하기 편합니다. 능력에 따라 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어 환경제어가 잘되는 시설하우스를 지을수도 있고 판매능력에 따라 개인판매등을 통해 위 사항들을 극복해 나갈 수도 있지만 웬만하면 해당지.. 2022. 6. 20.
귀농귀촌시 현실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귀농절차) 목차 지친 도시생활과 귀농의 평화로운 풍경을 보고 귀농귀촌을 꿈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면 정부의 귀농정책에 대한 홍보글과 영상이 매우 많습니다. 교육만 받으면 지원 또한 많은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을 받고 막상 귀농귀촌을 실행할려고 보면 하나부터 열까지 다시 알아보아야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를 막기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귀농귀촌시 현실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 첫째, 귀농에 대한 나의 의지와 정보수집 일단 내가 귀농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를 충분히 생각하고, 주변 귀농인분들(특히 초기 귀농인들)의 얘기도 들어보고, 관련 기관(농어촌공사,귀농귀촌종합센터,농업교육포털 등)에서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귀농에서 성공한 사람 뿐만아니라 실패한 경험.. 2022.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