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

귀농귀촌 작물 선택시 고려해야할 점(귀농귀촌)

by 투농부 2022. 6. 20.
반응형

목차

     

    귀농귀촌을 결심해도 막상 작목을 선택하기 쉽지않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작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많은것을 고려해야합니다.

    어딜 찾아봐도 명확히 알려주는곳이 없어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봅니다.

    이후 잘 정리하여 쉽게 테스트 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할 예정이니

    현재는 아래 사항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귀농귀촌 작물 선택시 고려해야 할점 

    1.작목을 선택할때 기본적인것은 지역을 고려해야합니다.

    지역에 따라 환경이 다르고 환경에 맞는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그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는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판매하기 편합니다.

    능력에 따라 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어 환경제어가 잘되는 시설하우스를 지을수도 있고

    판매능력에 따라 개인판매등을 통해 위 사항들을 극복해 나갈 수도 있지만

    웬만하면 해당지역에서 밀어주는 작물을 키우는것이 좋습니다.

     

     

     

    2.내가 가지고 있는 기술들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많은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과일이나 채소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그것도 중요하지만 나의 영농기술이나 그외기술들이 바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좋은 상품을 낼 수 없을 것입니다.

    과수의 경우 초기 기간이 많이들고 정지전정같은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채소의 경우도 하우스 관리나 작물에 따라 판매기술들이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논농사의 경우에도 많은 기계들을 다룰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렇듯 각 작물마다의 기술이 다르게 요구되며

    귀농 초보라면 회전이 빠른 엽채류나 토마토,오이등

    수확이 비교적 빨리 이루어 지는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수익구조 결정 및 작물별 수익

    원하는 수익에 따라 작물이나 경작평수가 달라져야 합니다.

    금전적인 부분보다는 농촌의 여유로운 삶을 원한다면

    과수나 특수작물들을 해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빚을 내고 귀농을 했다면 얘기는 달라집니다.가족들이 있다면 더욱 금전적인 요소가 중요합니다.

    부족한 영농지식을 가지고 처음부터 수익을 많이 내는것은 쉽지않습니다.

    하지만 영농지식을 빨리 쌓을수 있고 당장의 현금흐름이 필요하다면

    수확기간이 빠르고 노동은 힘들더라도 수확량이 많고 공판장에서 받아줄 수 있는 작물들이 좋습니다.

    작물별 소득자료 참고: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t/pstb/pstbc/mngmtDtaDtl.ps?menuId=PS03213&nttSn=803&totalSearchYn=Y

     

    4. 내가 꾸준히 할 수 있을것 같은 작물

    사실 어떤 작물이든 잘키우면 돈이 될 수 있고,

    노동을 많이 들인만큼 돈이 많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 과정에 있어 지쳐서 떠나는 농업인들도 많습니다.

    작물을 선택함에 있어 많은 경험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엽채류나 채소를 키우는 하우스에서 일도 조금 해보고 과수에 대한 교육을 들어보는것도 좋습니다.

    위 사항들을 고려하여 작물을 몇개 선택하고 경험한 후 선택한다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외에도 작업강도와 시간, 계절적 요소등 많은것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귀농절차에 관한 글에 이어 작성해본 작목선택에 관한 글에도 부족함이 많을것입니다.

    초보 귀농 귀촌인들을 위해 좀 더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전국의  귀농 귀촌인들을 응원합니다.

     

    농지가 구하기 힘들다면?

    2022.06.25 - [귀농귀촌] - 귀농귀촌 농지 구하는 법

     

    귀농귀촌 농지 구하는 법

    귀농할 지역도 정하고 작물도 정했지만 원하는 땅을 구매하는것 쉽지않습니다. 특히 먼지역에서 귀농을 준비하는경우 땅이 나와도 확인하러가기 힘듭니다. 이런 과정들을 그나마 줄여줄수 있

    agriculturediar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