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자체별 지원정책의 수에 따라 그 지역이 얼마나 농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정책의 수만 보고 귀농을 결심할 수는 없습니다.
또 나에게 맞지 않는 정책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
지역별 지원정책수를 표로 살펴보고 공통정책과 차별화된 지원정책들을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지역별 지원정책 수
지역
|
고성군
|
의령군
|
남해군
|
김해시
|
밀양시
|
하동군
|
합천군
|
양산시
|
사천시
|
거창군
|
함양군
|
거제시
|
창녕군
|
통영시
|
창원시
|
진주시
|
산청군
|
함안군
|
지원정책수
|
20
|
16
|
15
|
13
|
12
|
11
|
11
|
9
|
9
|
9
|
8
|
7
|
7
|
7
|
6
|
6
|
4
|
3
|
공통정책
1.농업창업(후계농)과 주택구입 지원정책
지원대상 및 자격조건
- 사업신청일 기준 만65세 이하
- 도시지역 거주 1년 이상, 농촌지역 전입일로부터 만5년이 경과하지 않은 농업인
- 영농관련 교육 100시간 이수자
사업내용
-농업 창업자금: 3억원 한도/1세대 당
-주택구입 및 신축자금: 7천5백만원 한도/1세대 당
- 대출금리 2%(5년 거치 10년 원금 균등 분할상환)
위와같이 융자를 지원해주고 있으며 한도내에서 빌려주기 때문에 최대금액을 빌리지 못할 수 도 있습니다.
각지자체의 농업기술센터를 통하여 자세한 지원금액의 경우 문의해봐야합니다.
2.청년창업농
지원대상및 자격조건
-만18세이상 40세미만 독립경영 3년이하(예정자)
-해당 시·군·구 거주, 4대보험 적용 상시근로자 제외, 재산·소득 일정수준 이하 등
사업내용
-독립경영 경력별 월100/90/80만원 지원
청년창업농의 경우도 국가 주도 사업이다보니 모든지역에 있다고 보면됩니다.
이 정책은 년초 1회 지원을 받으며 자격조건을 확인해보고 지원하시는것이 좋습니다.
3.귀농인 안정정착 지원
지원대상
-만 65세 미만
-귀농 5년 이내인 실제 영농 종사자
지원금액
-세대 당 900천원
농업에 조금 관심이 있는 지자체에서 하고있습니다.
약 90만원정도를 지원해줍니다.
시도별 특수정책
1.주택관련(합천,하동,산청 등)
주택수리,신축과 관련한 사업들이 대상입니다.
대부분 5년이내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사람들을 대항으로 하며 인원수를 제한에 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금액이 집의 수리와신축에 비하면 작을 수 있지만 해당지역에 귀농을 결심했다면 지원받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2.교육관련(고성,남해,사천 등)
현장실습이나 멘토를 통한 학습에 지원을 해주는 정책이며 귀농에 있어 필요한 지식들을 현장이나 멘토들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책입니다.
3.기타지원(의령,고성,김해 등)
고용지원,농기계임대,동아리(모임),유통판매 등 기타 농업에 필요한 여러 자재나 서비스들에 대한 지원을 해줍니다.
해당지역에 살고 있다면 경영비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별 정책 찾아보기
'귀농귀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전라남도) (0) | 2022.07.17 |
---|---|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경상북도) (0) | 2022.07.14 |
귀농귀촌시 돈되는 작물(귀농작물 추천) (0) | 2022.06.26 |
귀농귀촌 농지 구하기 (0) | 2022.06.25 |
귀농귀촌 작물 선택시 고려해야할 점(귀농귀촌)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