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2018년 청년창업농이라는 정책이 시작되고 4년이 지났습니다.
저는 올해 조건이 되지 않아 신청조차 할 수 없었지만 청년이 귀농할때 큰 도움이 되는 제도 입니다.
만40세 미만이라면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연초 모집할때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agro.seoul.go.kr/archives/42358
2022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신청 안내 공고
2022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신청 안내 공고
agro.seoul.go.kr
하지만 이러한 도움에도 실패하는 청년귀농인들 많다는 소문이 있으며
요즘에는 지역이나 개인의 조건에 따라 지원에 대한 규모나 조건이 다르며
땅값도 많이 올라 있던터라 청년들의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래도 성공한 청년귀농인들도 있는것을 보니 귀농에 적합한 작물을 선택한 것이 중요하다 생각하여
농업ON의 데이터드림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청년창업농 작물순위를 알아 보았습니다.
청창농 작물 순위
1위 한우
초기비용이 많이들고 가축사육에는 허가가 필요하며 규모가 어느정도 있어야 수익창출이 가능합니다.
즉 처음 귀농을 생각하는 사람이 가축사육을 생각하기도 힘들며
다른 채소작물들을 키우는데 비해 굉장히 비용이 많이들기때문에 후계농일 확률이 높습니다.
2위 벼
벼 역시 일정 규모 이상이 되야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수익을 평당 3~4000원 정도로 계산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기본적인 가족의 생활을 위해서는
만평이상의 논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 규모는 처음 들어가는 귀농인에게 빌린다고해도 큰 비용이 들며
잘 빌려주지도 않으며 구매한다고 한다면 평당 5만원만 잡아도 5억이상의 자금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요즘 벼농사는 기계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어 이앙기,콤바인 등 벼농사에 필요한 기계가 없다면
시도하기 힘든 농사입니다.(대여도 쉽지 않습니다.)
벼 역시 후계농일 확률이 높습니다.
3위 딸기
후계농이 아니라면 귀농인들이 가장 많이찾는 작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디어에서도 많이 소개되며 고설재배를 통해 재배환경도 많이 편해졌습니다.
수익도 좋은편이며 특히 남녀노소 찾는 과채류라 인기가 좋습니다.
체험프로그램도 운영이 가능하며 카페 등 6차산업과도 잘 어울립니다.
일이 많은편이기는 하나 매력적인 과채류입니다.
시설또한 추위에 강한 작물이라 영하로만 떨어지지 않으면 되기때문에
물이 많고 조금 따뜻한 지역은 수막시설을 통해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4위 고추
한국음식중에 고추가 들어가지 않은 음식을 찾기 힘듭니다.
그만큼 수요도 많고 가공을 통해 장기보관이 가능합니다 .
수익도 좋은 편이며 노지와 하우스 모두 가능합니다.
고추도 일이 많은편이만 수확이 가장 손이 많이 필요함으로
일손을 구할 수 있다면 운영하기 좋습니다.
5위 사과
과수중에서는 1위를 차지한 작물 입니다.
과수 특성상 수확량이 적어 초기에는 수익이 잘 나지 않습니다.
사과는 기술의 발달로 보관창고만 있다면 오래 보관가능하며
일이 작은만큼 채소에 비해서는 큰 평수의 과원을 필요로 하는편 입니다.
넓은 과원과 보관창고, 어린나무일 경우 수익이 작다는 측면을 보았을때 후계농이 많을것으로 보입니다.
또 일이 한번에 몰려 있는편이라 짧은기간의 일손을 구할 수 있다면 좋습니다.
요즘은 다양한 품종의 사과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청년창업농 선정 작물 1~25위
순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
0 |
11
|
12
|
13
|
1
4 |
15
|
16
|
17
|
18
|
1
9 |
20
|
21
|
22
|
23
|
2
4 |
25
|
품목
|
한우
|
벼
|
딸기
|
고추
|
사과
|
포도
|
표고버섯
|
콩
|
복숭아
|
벌꿀
|
토마토
|
오이
|
수박
|
방울토마토
|
상추
|
배
|
젖소
|
호박
|
고구마
|
감자
|
감귤
|
마늘
|
배추
|
옥수수
|
인삼
|
결론
후계농일 경우 한우,벼,콩,젓소 등 넓은땅이나 큰 시설을 필요로 하는 작물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처음 귀농하는 사람의 경우 딸기,고추 등 비교적 작은땅에서 큰수익을 낼 수 있는 작물을 선택하였습니다.
요즘은 철재가격이나 인건비가 올라 후계농업인이 아니라면 시설일 짓기 힘듭니다.
또 몇년지나며 발견된 정책의 문제를 제한을 통해 해결할려다 보니 자금대출이 원할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따라 땅값이 싸고 지원이 좋은 지역으로의 귀농이 유리해 보입니다.
지역별 귀농정책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귀농정책 사이트
https://www.returnfarm.com:444/cmn/returnFarm/locgov/locgovMain.do
'귀농귀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경기도) (0) | 2022.08.01 |
---|---|
국내 인구이동과 귀농귀촌인구 분석 (0) | 2022.07.31 |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강원도) (0) | 2022.07.31 |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충청북도) (0) | 2022.07.30 |
지자체별 농업지원정책(충청남도)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