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
유기농업은 환경생태계의 보호,토양쇠퇴와 유실의 최소화,환경오염의 최소화,생물학적 생산성의 최적화,자연환경의 우호적 건강성 촉진 등을 추구하고 있고,유기농업 생산체계의 목적은 생물학적 생산력,환경의질, 공동체의 건강을 최적화 하는 것이다.
유기농업 기준
작물과 품종의선택 : 병해충 저항성이 있으면서 유기농업 인증농가에서 채종된 것
*윤작 실시:화학 비료 대신 경제적인 수확이 가능하도록 녹비작물,두과 작물 및 심근성 작물의 윤작 실시
시비 관리:토양의 잠재적 생산력과 생물학적 활동력을 유지 향상 시킬 목적으로 시비되어야 하며 , 장기적으로 토양 중 부식함량을 높여야 하고, 시용 질소는 유기질 비료이어야 하므로 가축분 활용을 위해 자급할 만큼의 가축 두수 확보
*병해충 관리:농약 사용을 금하고 천적 보호와 번식을 추진하며 생물학적 해충 관리(일부 식물성 조절제 및 식물즙액의 사용은 허용)
잡초관리: 윤작,경운 등 경종적 방법이 근간이 되어야 하고 화학제초제 시용은 금지
유기농업 종류
생명 과학 기술형 유기농업:각종 화학제품들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동식물성 유기물을 토양에 환원시킴으로써 지력을 유지 증진 회복 시키는 농법
환경 친화적 유기농법:인간과 자연속의 생물이 공생 공존 하도록 하는 자연농법
자연 농법:무경운,무비료,무제초,무농약 등 4대 원칙에 입각한 유기농업
경제형 유기농법:유기농업을 사용하여 농업 생산력을 지속 발전 시켜 먹거리 생산을 장기적으로 안정시켜 농가 경제의 안정과 수익을 보장하는 농법
철학형 유기농법: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튼튼하게 하는 풍요로운 복지 사회를 만드는 농법
친환경 농산물 인증의 종류
*유기농산물: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전환기간 : 다년생 작물은 3년, 그외 작물은 2년)
유기축산물:유기농산물의 재배 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무농약 농산물:유기합성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3이내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무항생제 축산물:항생제,합성항균제,호르몬제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자격증 > 유기농업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1편 - 유기원예 (0) | 2022.08.06 |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0편 - 품종과 육종 (0) | 2022.08.06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8편 - 토양관리 (0) | 2022.07.10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7편 - 토양생물 및 토양오염 (0) | 2022.07.08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6편 - 토양의 성질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