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초록장님노린재 (lucorum)
목/과명
노린재목/장님노린재과
속명
Apolygus
생태정보
자세한 생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년간 2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충은 국화과 식물 등에서 자라는데, 포도나무에서 피해가 특히 많고, 박과류나 가지의 잎을 가해하기도 한다.
감귤원에서는 신초 발생기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데 특히, 과원에 잡초가 많거나 건초 등으로 피복이 되어 있는 유목에서 많이 발생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신초 부위의 어린잎에서 즙액을 흡즙하여 가해한다.
피해 받은 잎은 초기에는 흡즙에 의해 잎의 표면에 백색 반점이 발생하는데, 시간이 경과하면 상처부에 구멍이 생겨서 생육이 위축되고 기형화된다.
방제방법
성목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유목에서 간혹 피해를 주기는 하나 약제를 살포해야 할 정도로 피해가 많지는 않다.
32.털매미 (kaempferi)
목/과명
매미목/매미과
속명
Platypleura
생태정보
각종나무에서 생활하나 배나무나 감귤나무에 많으며, 전세계의 매미 중에서 분포가 가장 넓은 종 중의 하나이다.
6월 초·중순경에 탈피하여 9월 초순까지 볼 수 있고, 평지부터 해발 700~800m에 이르기까지 분포하는데, 나무의 낮은 곳에 앉는 것이 보통이다.
피해정보
성충은 가지에 산란하여 가지를 고사시키고, 유충은 땅속에서 생활하면서 뿌리를 가해한다.
방제방법
말매미에 비해 피해가 적어서 특별한 방제를 요하지 않는다.
33.풀색꽃무지 (jucunda)
목/과명
딱정벌레목/꽃무지과
속명
Gametis
생태정보
나뭇가지 속에서 알로 월동하고, 5월 중·하순에 부화한 유충은 7월에 성충이 되며, 성충의 수명은 약 2개월로 9월까지 산다.
덩굴성 식물을 기주로 많이 이용하여 서식하므로 과원 주변에 담쟁이 등과 같은 덩굴성 식물이 많은 경우에 발생하기가 쉽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신초나 잎의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며 기생하여 피해를 준다.
유충은 흰솜털 같은 것을 가지에 많이 붙여 놓기 때문에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동화작용이 저하되어 생육이 저하될 수 있으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발생밀도가 높지 않아서 방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며, 죽은 가지 속에서 겨울을 보내므로 전년도에 발생이 확인되었던 과원에서는 돌담 주변의 덩굴성 식물을 제거하거나 봄 전정시에 말라죽은 가지를 철저히 제거해서 태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34.풀색노린재 (antennata)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Nezara
생태정보
성충으로 월동하며, 년간 2회 발생하는데, 5월경부터 월동성충이 나타나 짝짓기 한 후 산란한다.
알기간은 약 4~5일이며, 유충기간은 약 20~30일이다.
잡식성으로 채소 및 두류 등 각종작물과 배, 사과, 감귤 등의 과수를 가해한다.
기상이 고온 건조할 때 증식율이 높고, 과원에 채소나 두과작물이 심겨 있거나 방풍수로 둘러싸여 통풍이 잘 안 되는 곳은 좋은 서식처가 되기 때문에 발생이 많으며, 한낮에는 그늘에 숨어 있다가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 주로 가해한다.
피해정보
과실의 착색이 시작될 무렵, 보통 극조생의 경우 9월초부터, 조생 온주밀감은 9월 말부터 피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제초가 안되어 잡초가 많이 있는 과원의 경우 발생이 더 심하다.
구침으로 흡즙하여 가해하는데, 가해 받은 과실은 초기에 외관으로 볼 때에는 별 이상이 없어 보이나 몇일 있다가 과경부부터 노랗게 변하면서 낙과되며 과피를 벗겨보면 과피에 흑갈색 반점이 생기며, 과육은 스폰지 모양이 되고 착색이 나쁘게 된다.
낙과되지 않은 과실은 피해과는 저장 중에 부패하기 쉽다.
방제방법
그 해의 발생상황에 따라 다르나 노지에서는 보통은 9월 하순경부터 가해하므로 과원을 수시로 둘러보아 발생이 확인되면 약제를 살포한다.
유충의 번식 장소가 과원 주위의 기주식물 혹은 간작 작물이므로 발생이 확인되면 가능한 과원 주변에도 약제를 살포한다.
주변 울타리 및 야산 등 식생에서 계속 날아 들어오므로 약제 방제가 쉽지 않다.
특히 잔류성이 긴 유기합성 농약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피해를 받기 쉽다.
무농약 재배의 경우 특별한 방제약제가 없으므로 물리적 방제를 동원해야 한다.
노린재는 건드리면 밑으로 떨어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수관 밑에 망사천 등을 바치고 떨어진 성충을 포살한다.
고추나무에 잘 유인되므로 과원에 고추 포트 묘를 두었다가 모여든 노린재를 구제한다.
노린재는 합성 피레스로이드 계통약제에 매우 감수성이므로 제충국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람다사이할로트린.티아메톡삼 입상수용제 | 8.1(1.4+6.7)% | 스토네트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4a | 신젠타코리아(주) |
살충제 | 설폭사플로르 입상수화제 | 7% | 스트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c | (주)동방아그로 |
35.호랑나비 (xuthus)
목/과명
나비목/호랑나비과
속명
Papilio
생태정보
번데기로 월동하며, 년간 2~3회 발생한다.
암컷은 탱자나무, 귤나무, 산초나무의 잎 뒷면이나 줄기에 알을 1개씩 낳으며, 1세대는 4월 중순~5월 하순에, 2세대는 6월 초순~7월 하순에 그리고 3세대는 8월 하순~10월 초순에 발생하는데, 1세대는 봄형, 2세대와 3세대는 여름형이라고 한다.
피해정보
유충이 잎을 갉아먹는데, 피해가 많지는 않으며, 성목보다는 유목에서의 피해가 더 많다.
방제방법
유목원에서 다소 발생량이 많을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방제를 요할 정도로 피해가 많지는 않다.
36.화살깍지벌레 (yanonensis)
목/과명
매미목/깍지벌레과
속명
Unaspis
생태정보
다자란 암컷 성충의 깍지는 길이 2.8~3.6mm, 폭1.4~1.9mm이고 암갈색이며 화살촉과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다.
깍지는 중앙부가 융기되어 있고 양쪽으로 경사를 이루어 지붕 모양을 하고 있다.
깍지 밑에 있는 암컷성충은 어두운 황색으로 길이 2.5mm 폭 1.0mm로 긴 모양이고 몸은 마디로 나누어져 있다.
머리 부분은 깍지의 뾰족한 쪽을 향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구침을 식물체 내부에 박고 있다.
수컷 성충은 어린벌레 시기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한 날개가 있는 작은 날파리 형태를 하고 있으며 몸길이 0.5mm, 날개 편 길이는 1.8mm이다.
몸은 밝은 오렌지색이고 촉각 및 다리는 어두운 황색이다.
암컷성충은 깍지 밑에 등황색의 장타원형 알을 낳는데, 알 길이는 0.18㎜, 폭은 0.09mm 정도이다.
알에서 부화한 약충(1령 약충)은 몸길이 0.23㎜, 폭 0.14mm 정도이고 납작한 계란 모양이다.
부화 직후 약충은 담황색을 띄는데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약간 더 진한색이고 엷은 홍색을이다.
부화약충은 다리가 있어 활발히 움직이다가 적당한 장소에 정착한 다음에는 다리가 소실되어 평생 고착생활을 한다.
피해정보
잎이나 가지에 기생하며, 즙액을 흡수하여 나무가 고사하게 되고, 과실에 기생하면 기생부위는 착색이 덜되고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비대가 나빠져서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현재 감귤원에 발생하는 깍지벌레 중 화살깍지벌레가 가장 늦게 발생되기는 하지만, 일단 발생하게 되면 매우 급속하게 확산되며, 고밀도로 기생하여 나무를 말라죽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약제를 살포하지 않고 2~3년 정도 방치하게 되면 폐원에 가까울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게 된다.
잎 또는 줄기에 하얗게 비늘(흰 자루)처럼 보이는 것은 수컷이 집단적으로 발생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다.
방제방법
화살깍지벌레가 심하게 발생된 가지는 전정 시 제거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뷰프로페진.디노테퓨란 수화제 | 35(20+15)% | 검객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16+4a | (주)팜한농 |
살충제 | 뷰프로페진.피리플루퀴나존 액상수화제 | 25(20+5)% | 골드윈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이내 | 16+9b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뷰프로페진.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 | 15.1(12+3.1)% | 기사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16+4c | (주)경농 |
살충제 | 뷰프로페진.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 23(20+3)% | 깍자바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2회 이내 | 16+4a | (주)경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 25(5+20)% | 깍지마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16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바멕틴.뷰프로페진 입상수화제 | 20.6(0.6+20)% | 깍지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6+16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입상수화제 | 23(15+8)% | 깍지치온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16+3a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수화제 | 24(4+20)% | 깍지탄골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16 | (주)팜한농 |
살충제 | 뷰프로페진.티아메톡삼 액상수화제 | 23.3(20+3.3)% | 뉴자비왕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16+4a | 신젠타코리아(주) |
살충제 |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 | 8% | 똑소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뷰프로페진.메톡시페노자이드 액상수화제 | 28(20+8)% | 마르코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16+18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벤퓨라카브.뷰프로페진 입상수화제 | 40(20+20)% | 마일스톤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1a+16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유제 | 19(4+15)% | 바람탄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16 | (주)경농 |
살충제 | 람다사이할로트린.설폭사플로르 액제 | 8.2(2+6.2)% | 백만장자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4c | (주)팜한농 |
살균제 | 결정석회황 합제 | 22% | 석회황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50배 | - | - | - | 카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아바멕틴.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 | 7.7(1.5+6.2)% | 슈퍼펀치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6+4c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 40% | 스미치온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2회 이내 | 1b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뷰프로페진.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25(20+5)% | 스타포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 | 16+1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설폭사플로르 입상수화제 | 7% | 스트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c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뷰프로페진.메톡시페노자이드 액상수화제 | 28(20+8)% | 스프린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 | 2회 이내 | 16+18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충제 | 플루피라디퓨론 액제 | 17.09% | 시반토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4d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뷰프로페진.크로마페노자이드 액상수화제 | 29(24+5)% | 엄선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16+18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아바멕틴.피리플루퀴나존 입상수화제 | 6.5(1.5+5)% | 왕중왕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6+9b | (주)경농 |
살충제 | 아바멕틴.뷰프로페진 입상수화제 | 20.6(0.6+20)% | 청단패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까지 | 3회 이내 | 6+16 | ㈜이엑스아이디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노발루론 유제 | 16(7+9)% | 코모란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15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뷰프로페진.티아메톡삼 액상수화제 | 23.3(20+3.3)% | 킬충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16+4a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아바멕틴.아세타미프리드 입상수화제 | 9.5(1.5+8)% | 타이틀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이내 | 6+4a | (주)팜한농 |
살충제 | 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 | 7% | 트랜스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c | (주)팜한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피리프록시펜 분산성액제 | 26.4(15.8+10.6)% | 트리보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4a+7c | 아다마코리아(주) |
2022.06.26 - [병해충정보/과수] -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0) | 2022.06.26 |
---|---|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0) | 2022.06.26 |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0) | 2022.06.26 |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0) | 2022.06.26 |
감귤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0) | 2022.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