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고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by 투농부 2022. 6. 17.
반응형

 

1.갈색날개매미충 (speculum)

 

목/과명

매미목/좀매미충과

 


속명

Ricania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세대 발생한다.
가지 속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며 이듬해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부화한다.
* 봄철 기온에 따라 약충 발생 시기가 1∼2주정도 차이가 남 부화한 약충은 4번 탈피(1령∼5령 약충)한 후 7월 중순∼8월 상순경에 성충이 된다.
우화한 성충은 1개월 정도 영양을 보충한 후 8월상순경부터 기주식물의 1년생 가지 속에 알을 낳는다.
발육영점온도는 9.3℃, 유효적산온도는 693.3일도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감나무, 블루베리,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자귀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 140종이 넘는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흡즙하여 생육을 저해한다.
* 블루베리의 경우 부화한 약충은 블루베리나무에서 서식하지 않고 과원 밖의 다른 기주식물로 이동하여 생활하다가 성충이 된 후 산란하기 위해 과원으로 날아옴 1년생 가지 속에 난괴형태로 알을 낳아 가지에 1.5∼2.5㎝ 정도 크기의 상처를 생겨서 양·수분의 공급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여 가지가 마르거나 심하면 말라죽기도 한다.
그을음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갈색날개매미충에 의해 그을음이 발생하는 경우는 적으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산란에 의한 간접피해가 더 문제가 되고 있다.
산란특성 - 1년생 가지를 산란관으로 파고 그 속에 길이 1.24㎜, 폭 0.55㎜ 크기의 알을 45°각도로 두 줄로 낳고 가지를 파낸 톱밥과 흰색의 밀납 물질을 혼합하여 난괴 윗부분을 덮어 놓는다.
- 난괴 길이는 기주 및 가지마다 차이는 있으나 15.2∼18.0㎜이며 난괴 하나에 들어 있는 알 수는 25.0∼30.9개이다.
- 가지 굵기가 작은 1년생 가지에 산란하는 특성으로 인해 가지 굵기의 약 30∼50%가 상처를 입어 양수분의 이동이 불량해져서 가지가 마르게 되거나 심할 경우 죽게 되며, 상처로 인해 가지가 약해져서 산란 가지에 과실이 달린 경우 과실의 무게에 의해 가지가 부러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방제방법

난괴 : 산란에 의해 발생한 난괴가 붙은 가지를 제거한다.
* 복숭아나 블루베리의 경우 난괴가 붙은 가지를 전정(12월∼3월)할 경우 가지가 마르기 때문에 부화율이 1% 이하가 되므로 가지를 태우거나 땅에 묻을 필요는 없음 

약충 : 약충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인 5월 하순∼6월 상순에 2주 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한다.
성충 : 성충이 산란을 위해 과수원으로 날아오는 시기인 8월 하순∼9월 중순경에 약제를 살포한다.

 


2.꽃노랑총채벌레 (occidentalis)

 

목/과명

총채벌레목/총채벌레과

 


속명

Frankliniella

 


생태정보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으로, 1993년 9월에 제주도 감귤하우스에서 처음으로 피해가 관찰되었으며, 1995년 말까지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의 총 23개 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현재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시설 원예작물의 주요 해충으로 되었다.
온실 내의 적합한 환경 하에서는 년 10회 이상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은 식물의 조직에 산란하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은 식물체를 가해하면서 성장하여 2령 약충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제1, 제2번데기 기간을 거친 후 성충이 된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18일(25℃)이고, 성충 수명은 60일(20℃)로 오이총채벌레 보다길고, 암컷 한마리당 산란수도 많아 번식력이 뛰어나다.
암컷성충은 교미를 한 것이 교미를 하지 않은 개체보다 생식력이 우수하다.
고온 건조한 환경이 계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예찰의 경우 어린 유충과 성충의 예찰은 작물체의 잎 뒷면을 확대경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백색 또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작물의 상부 20~30㎝위에 매달아 놓고서 총채벌레 성충이 끈끈이에 부착하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쉽게 총채벌레 발생을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

주로 꽃봉오리와 어린잎을 가해한다.
어린 잎은 총채벌레가 가해하였을 때 기형으로 되어 쭈그러진다.
잎에는 은백색 반점이 많이 생기고 심하면 회색∼담갈색 얼룩이 생긴다.


방제방법

오염되지 않은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한랭사를 설치하여 시설내로 성충의 유입을 막는다.
약충이나 성충은 효과적인 약제 살포 시 사망률이 높으나 땅속의 번데기는 방제가 어렵다.
정식 전에 전작물의 잔존물, 잡초 등 발생원을 제거하고, 토양소독을 하여 번데기를 죽인다.
끈끈이를 설치하여 유인하여 죽인다.
토양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은색 필름으로 멀칭한다.
시설재배에서 작물재배 후 50℃ 이상으로 5~7일간 밀폐하여 고온으로 죽인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 나방앤드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13 (주)그린시티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 나방앤드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13 (주)그린시티
살충제 아바멕틴.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5(0.5+10)% 스타포스 Ⅲ급(보통독성) Ⅰ급 3000배 - 수확 3일전 3회 6+13 아그로스타(주)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 와일더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 3회 이내 13 (주)천지인바이오텍
살충제 아바멕틴.에톡사졸 액상수화제 9.3(1.8+7.5)% 응애스타 Ⅲ급(보통독성) Ⅰ급 3,000배 - 수확 5일전 2회 6+10b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아이소사이클로세람 액상수화제 18.3% 인시피오 Ⅳ급(저독성) Ⅲ급 2500배 - 수확3일전 2회 비대상 신젠타코리아(주)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 잭큐어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1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10.5(2.5+8)% 젠토시대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4a+3a 아그리젠토(주)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10.5(2.5+8)% 충도사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4a+3a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8(6+2)% 컷세이퍼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일전 2회 이내 13+6 성보화학(주)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 팍자바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13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충제 브로플라닐라이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6.65(4.5+2.15)% 포르티스브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일전 2회 이내 30+6 (주)팜한농

3.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진다.
성충수명은 암컷은 9.8~11.7일, 수컷은 13.8~15.8일로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노숙유충은 식물체 주변의 토양내에 흙고치를 짖고 번데기가 된다.


피해정보

거의 모든 채소류와 밭작물은 물론 과수, 화훼, 특용작물, 사료작물, 정원수,잡초, 가로수 등을 가해하며,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군집생활을 하고 2~3령이 되면 분산한다.
발생이 많으면 식물체의 줄기만 남기고 폭식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시설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막는다.
야간에 황색등 설치로 교미를 못하게 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한다.
어린 유충발생기(3령이하)에 등록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유충은 야간에 활동하는 습성이 있어 작물체에 붙어있는 아침이나 저녁에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곤충병원성선충, 또는 곤충기생균을 이용한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살포는 자외선이 없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하고 젖을 정도로 흠뻑 뿌려 주어야 한다.

 

 


4.담배나방 (assult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Helicoverpa

 


생태정보

1년 3회 발생하고 번데기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잎에 피해를 받는 담배보다 과일이 피해를 받는 고추가 피해는 심하지만 발생량은 담배가 더많다.
1세대는 담배에서 재내고 2세대는고추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담배와 고추가 동시에 재배되는 지역에 발생이 많다.
성충발생은 1회 6월 상~하순, 2회 7월 하순~8월 상순, 3회 9월 상순이다.
1세대 경과기간은 보통 26~32일이다.
성충 1 마리당 300~400개 산란하지만 산란수는 개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많이 낳는개체는 약 700개 까지도 산란한다.
산란위치는 고추의 잎, 꽃, 과일에 낱개로 낳아 찾기가 쉽지 않다.
성페로몬 예찰은 콘(Cone)트랩을 설치하여 예찰할 수 있다.
왕담배나방 성페로몬과 가까이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


피해정보

유충이 과실속으로 들어가 종실을 가해함으로서 피해를 주고 피해를 받은 과실은 썩게 되고 낙과의 원인이 된다.
비가오면 피해구멍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썩어 떨어진다.


방제방법

방제적기는 1차 6월 중순, 2차 7월말, 3차 8월초 이다.
1차는 적게 발생시 생략할 수 있다.
심하게 발생하면 등록농약을 10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담배나방 유충은 고추의 과일 속에 들어가 가해하므로 농약살포는 고추 과일에 집중 살포하여 담배나방 유충이 뚫고 들어간 곳으로 농약이 침투하도록 한다.
다른 나방류에서와 같이 BT제, IGR계, 곤충기생선충을 이용하여 방제도 가능하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아바멕틴.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8.1(1.5+6.6)% 마스터킬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전 3회 이내 6+13 (주)천지인바이오텍
살충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10.7(2.7+8)% 마징가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전 3회 28+4a (주)농협케미컬
살충제 델타메트린 유탁제 1.5% 매트릭 Ⅲ급(보통독성) Ⅰ급 1666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3a 지우바이오텍 주식회사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플루페녹수론 수화제 13(8+5)% 모카스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4a+15 (주)농협케미컬
살충제 인독사카브 유제 4% 샤로트 Ⅳ급(저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22a (주)태준아그로텍
살충제 인독사카브.테플루벤주론 수화제 3(1+2)% 송골매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22a+15 (주)팜한농
살충제 아바멕틴.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10.5(0.5+10)% 스타포스 Ⅲ급(보통독성) Ⅰ급 3000배 - 수확 3일전 3회 6+13 아그로스타(주)
살충제 델타메트린 유제 1% 신농팜델타린 Ⅲ급(보통독성) Ⅰ급 1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3a (주)케이씨생명과학
살충제 인독사카브 입상수화제 30% 아바타 Ⅳ급(저독성) Ⅱ급 6000배 - 수확 5일 전 3회 이내 22a (주)팜한농
살충제 아바멕틴.클로란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6(1.714+4.286)% 아피스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일전 3회 6+28 아다마코리아(주)
살충제 인독사카브.루페뉴론 액상수화제 14(10+4)% 캐논볼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전 2회 이내 22a+15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5% 킬버튼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2회 이내 22a (주)신농팜케미컬
살충제 에토펜프록스.피메트로진 유현탁제 18(10+8)% 킹스타일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전 2회 3a+9b (주)천지인바이오텍
살충제 인독사카브 입상수화제 30% 토르 Ⅳ급(저독성) Ⅱ급 6000배 - 수확 5일전까지 3회 이내 22a 인바이오(주)
살충제 아바멕틴.루페뉴론 액상수화제 6.5(1.5+5)% 투어택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6+15 (주)천지인바이오텍
살충제 브로플라닐라이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6.65(4.5+2.15)% 포르티스브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일전 2회 30+6 (주)팜한농

5.목화진딧물 (gossypii)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Aphis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시설내 박과작물에서 가장 문제되는 해충 중 하나이다.
무궁화, 석류나무 등의 겨울눈이나 겉껍질에서 알로 겨울을 지낸다.
이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이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10여 세대를 단위생식으로 번식한다.
7~8월부터 한여름에는 밀도가 줄지만 9월부터 다시 번식이 왕성해진다.
한세대 발육기간은 약8일, 생식기간은 19일, 수명은 약 29일 정도이다.
암컷은 70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피해정보

성충이나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뒷면, 순 등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가해를 한다.
진딧물에 의한 작물의 피해는 일차적 흡즙에 의해 탈색, 왜소해질 뿐만 아니라 각종 식물바이러스를 전염시키므로 그 피해는 더 크다.
또한 이들이 배설한 감로는 식물체의 잎을 오염시키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동화작용을 억제시키거나 배설물에 의한 오염으로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방제방법

진딧물은 비가 많이 오면 밀도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가뭄이 지속되면 다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방제조치를 해야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비래해 오는 진딧물을 차단한다.
입제 농약을 정식할 때 구멍을 파고 0.5~2g씩 넣어주거나, 희석제를 살포한다.
약제 살포여부 결정은 진딧물 발생추이를 관찰하여 천적 발생이 없거나, 발생환경이 좋아 지속적으로 밀도 증가가 예상될 때 살포한다.
이와 달리 천적 발생이 많거나 발생환경이 좋지 않아 밀도증가가 멈출 때는 약제방제를 하지 않는다.
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이 시설작물에서 널리 이용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8% 드롭킥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지넥스(주)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10% 록키 Ⅳ급(저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2일전 3회 이내 29 (주)태준아그로텍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플루페녹수론 수화제 13(8+5)% 모카스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4a+15 (주)농협케미컬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람다사이할로트린 수화제 11(10+1)% 모히칸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4a+3a 인바이오(주)
살충제 아피도피로펜 미탁제 2.5% 베르시스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전 2회 이내 미분류 (주)농협케미컬
살충제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18.66% 베리마크 Ⅳ급(저독성) Ⅲ급 400배 4㎖/주 수확 3일 전까지 2회 이내 28 (주)팜한농
살충제 디노테퓨란 입제 2% 보스 Ⅳ급(저독성) Ⅲ급   1g/주 정식기 1회 이내 4a (주)경농
살충제 아피도피로펜 분산성액제 2.5% 세피나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전 2회 이내 미분류 성보화학(주)
살충제 비펜트린.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14(6+8)% 썬쿠르즈 Ⅳ급(저독성) Ⅰ급 3,000배 - 수확 2일전 2회 3a+29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아세페이트 입제 5% 쓰나미 Ⅳ급(저독성) Ⅲ급   6㎏/10a 정식기 1회 1b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유상수화제 10% 애피킬 Ⅲ급(보통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2일전 3회 29 ISK바이오사이언스 코리아(주)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유상수화제 10% 애피킬 Ⅲ급(보통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2일전 3회 이내 29 (주)팜한농
살충제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10% 어퍼컷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전까지 3회 이내 4a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10% 코란도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주)신농팜케미컬
살충제 에토펜프록스.피메트로진 유현탁제 18(10+8)% 킹스타일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전 2회 이내 3a+9b (주)천지인바이오텍

 


2022.06.17 - [분류 전체보기] - 고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