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갈색점무늬병 (褐色斑點病,Cercospora 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capsic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고온,다습한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잎자루, 과경, 가지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흰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원형의 둥근 갈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안쪽에는 눈동자와 같은 작은 원형병반이 한 개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겹무늬반점으로 보인다.
병반의 모양이 개구리눈과 닮았다 하여 일명 개구리눈무늬병이라고도 불린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마르고 잘 떨어진다.
잎자루와 과경 및 가지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 반점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한다.
- 고온 시 비료가 부족하면 많이 발생하므로 비배관리(肥培管理)에 유의한다.
- 병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를 사용방법에 따라 살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누리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아진케미칼(주)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리버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바이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방파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보스칼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1.6(13.6+8)% | 벨리스에스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5일전 | 2회 | 다2+다3 | (주)경농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시크릿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아리비타놀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오제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지넥스(주) |
2.검은곰팡이병 (黑黴病,Black mold)
병원체
Alternaria alternata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감염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이 병은 노지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며, 여름철 고온이 계속되어 과실이 열상(熱傷) 혹은 생리적 장해 등에 의해 피해를 받았을 때 발생하기 쉽다.
증상설명
과실에 발생한다.
감염부위는 약간 움푹 들어가고, 원형 또는 부정형의 병반으로 나타나며, 그 내부에 검은 곰팡이가 많이 형성된다.
병반의 가장자리는 담황색 혹은 회백색으로 변하여 마른다.
심하게 병든 열매는 모양이 쭈그러지고 말라서 상품가치를 잃게 된다.
방제방법
- 재배포장에 퇴비와 석회를 충분히 시용한다.
- 재배 시 균형시비(均衡施肥)를 한다.
- 토양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3.검은점열매썩음병 (黑點果實腐敗病,Black dot fruit rot)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과실에서 자낭각 혹은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자낭포자나 병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하며, 포장에서의 병 발생은 주로 병포자(α포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노지포장에서의 병 발생은 여름부터 가을 수확기까지 계속되는데, 태양열 혹은 생리장해 등에 의해 과실에 상처가 있을 경우 병원균의 감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증상설명
과실에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작고 검은 점무늬가 불규칙한 모양으로 생기고, 진전되면 원형 내지 타원형의 흰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내부에는 검은 점으로 보이는 병자각이 산재(散在)하고, 병반의 테두리는 암갈색 내지 흑색을 띤다.
방제방법
- 병든 열매는 제거하여 불 태운다.
- 관리를 철저히 하여 생리장해 등에 의한 과실의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4.겹무늬병 (輪紋病,Alternaria leaf spot, Early blight)
병원체
Alternar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고온,다습한 시기의 노지재배에서 간혹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에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갈색의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암갈색의 부정형 겹무늬 병반으로 확대된다.
후에 병반들이 서로 융합하여 커지고 잎이 마른다.
방제방법
- 종자를 소독하거나 건전 종자를 사용한다.
- 생육을 건전하게 관리하다.
- 병든 잔사물은 일찍 제거한다.
5.궤양병 (潰瘍病,Bacterial canker)
병원체
Clavibacter michiganensis
발생환경
발생생태 및 전염경로는 아직 조사된 바 없으나, 종자 및 토양으로부터 전염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증상설명
잎에는 처음에 수포(水泡)와 같은 작은 흰색의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점점 커진다.
반점의 중심에는 괴사가 일어나고 갈색으로 변하며, 약간의 하얀색 테두리가 형성된다.
잎 뒷면에는 반점이 돌출되어 더뎅이를 형성한다.
피망의 과실에서는 작고 희며 돌출된 둥근 반점이 생겨 진전되면서 점점 커져 새눈 모양의 반점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한다.
- 모판흙을 소독하여 사용한다.
- 작업시에 식물체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하고, 병든 식물의 잔재물을 모아서 불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6.균핵병 (菌核病,Sclerotinia rot)
병원체
Sclerotinia sclerotio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혹은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지상부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나, 주로 줄기와 가지에 발생한다.
줄기에서는 지제부에서부터 표피층이 약간 무르고, 흰 균사가 자라다가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감염된 식물체는 지상부가 시들고, 생육이 부진하다.
후에 감염부위는 지상 약 10㎝까지 변색되어 약간 잘록해진 모습으로 나타난다.
가지에서는 주로 상처부위에서 발생하며,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줄기에서와 같은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低溫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정식 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담수(湛水)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7.꼭지썩음병 (果梗腐敗病,Rhizopus fruit rot)
병원체
Rhizopus stolonifer
발생환경
일반적으로 포장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수확 후 온도와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오래 저장하거나 수송 혹은 판매 시 많이 발생한다.
전염은 포자의 비산에 의해 이루어지며, 비온 후 바로 수확하거나 비에 젖은 과실을 수확하여 보관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증상설명
과실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과실의 꼭지부위가 물러 썩는 증상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흰 균사가 자라면서 과실의 끝쪽으로 썩어 들어간다.
감염부위에는 흑색의 둥글고, 검은 입자모양의 포자낭이 많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고추 열매의 수확 시 비에 젖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저장 혹은 수송 시 상자내가 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8.누른모자이크병 (Yellow mosiac)
병원체
Broad bean wilt virus Ⅱ
발생환경
BBWV는 기주범위가 넓고, 기주가 되는 잡초나 작물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서 전염원은 어느 곳에나 존재하고 있다.
BBWV는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형으로 쉽게 전염된다.
진딧물 중에서도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전염율이 높아서 60~90%나 된다.
또한 즙액전염이 잘 되어 작업중 전염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종자전염이나 토양전염은 되지 않는다.
호주, 미국, 일본, 유럽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고추 외에 시금치 등에서도 이 바이러스에 의한 병 발생이 확인되었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약한 모자이크가 엽맥투명(葉脈透明)으로 나타나며, 진전되면 잎이 위축(萎縮)되기도 한다.
방제방법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시킨다.
-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자연 발병 기주인 고추, 시금치, 콩과 작물을 연속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2022.06.16 - [병해충정보/채소] -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2022.06.16 - [분류 전체보기] -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병해충정보 > 과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6 |
---|---|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0) | 2022.06.16 |
가지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6 |
가지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6 |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