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by 투농부 2022. 6. 16.
반응형

9.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Cucumber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온대지역에 발생이 많다.
우리 나라에서도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각종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PVX는 즙액전염 또는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이 된다.
접촉전염은 잎이나 줄기 접촉뿐만 아니라 뿌리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PVX는 진딧물에 의하여 매개되지 않으나, 직시목에 속하는 곤충과 진균(Synchyrium endoticum)에 의하여도 전염되기도 한다.
자연 상태에서 감염이 되는 기주로는 고추, 담배, 감자, 토마토 등이다.
PepMoV를 자연상태에서 전염시키는 것은 진딧물이다.
PepMoV는 비영속형전염 바이러스로서 충체(蟲體)내 잠복기간이 없다.
또한 바이러스를 획득한 보독충(保毒蟲)도 단기간 안에 바이러스의 전염력(傳染力)을 잃는다.
자연상태에서 감염되는 것은 담배, 고추, 감자 등이다.
TMV는 종자전염이 되고, 연작지 토양내 병든 식물의 유체 등도 1차 전염원으로 중요하다.
TMV는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는 것이 아니고, 접촉전염이 되는데 자연감염 기주가 전염원으로 주위에 있으면 발병이 잘 된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기주범위가 넓어서 가지과, 국화과, 콩과 등 쌍자엽식물을 주로 하여 22과 200종 이상 침해한다.
특히 토마토, 피만, 고추, 담배가 주로 발병되는 작물이다.

 


증상설명

4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한다.
CMV에 의한 증상은 황화(黃化)되고 요철(凹凸)이 있는 모자이크로 나타난다.
병든 그루에서 새로 나온 잎은 잎폭이 좁고, 위축(萎縮)되며, 고사리잎(細葉)이 되고, 그루 전체가 왜소해진다.
PVX의 전형적인 병징은 잎맥과 잎맥 사이에 담녹색의 모자이크 병반이 약하게 나타난다.
병이 더 진전되면 잎면에 주름이 생기고 위축현상이 약하게 나타난다.
PepMoV에 의한 증상은 엽맥에 녹색띠가 있으며 황반모자이크를 보인다.
또한, 잎의 아랫쪽에서 엽맥투명(葉脈透明)의 증상이 나타나 위쪽으로 진전되어 올라간다.
TMV에 의한 증상은 모자이크로 나타나며, 새로 나온 잎이 황색으로 되는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는 병징이 잘 나타나지 않고, 잎, 잎자루, 줄기 등에 갈색반점으로 나타날 때도 있다.
심하면 잎과 꽃눈이 떨어지고, 잔가지가 고사(枯死)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 CMV 방제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 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 PVX 방제

 - 파종 간격을 넓게 하여 잎이나 줄기, 뿌리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막는다.
- 병든 포기를 조기에 제거한다.
- 감자를 파종하기 위하여 자를 때 싹을 피하여 자른다.
- 사용하는 기구(칼)의 소독을 철저히 한다.
- 오염토양, 옷,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 제거한다.
○ PepMoV 방제 

-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 식물인 가지과, 배추과 등을 주위에 재배하지 않는다.
- 자연 발병 기주인 담배, 고추, 감자 등을 연속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병든 포기는 일찍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품종간 병 발생 차이가 있으므로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 TMV 방제

 - 고추와 토마토를 연속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종자 소독 처리를 철저히 한 후 파종한다.
- 오염 토양, 옷,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 이식, 적아, 수확 등 작업 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 전염원으로부터 격리된 지역에서 재배한다.

 

 


10.무름병 (軟腐病,Soft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겨울을 지나고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과실에 주로 발생한다.
주로 과실의 상처 부위에서 감염이 시작되며, 병든 과실은 물러 썩고 속이 소실되며, 회백색으로 변하며. 심한 악취를 발산한다.
잎이나 줄기에도 발생하지만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 벼과나 콩과 작물로 윤작한다.
- 이 병원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잘되는 밭을 선택한다.
- 담배나방 유충을 제거한다.

 

 


11.세균성점무늬병 (細菌性斑點病,Bacterial spot)

 

병원체

Xanthomonas campestris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및 종자에서 겨울을 지나고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의 전반(傳搬)은 주로 비, 바람, 농기구 등에 의해 이루어지며, 병원균은 기공과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증상설명

잎에 처음에는 회갈색의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중심부는 흰색으로 변하며, 병반의 가장자리는 암갈색을 띠게 된다.
병반의 주위에는 황색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심한 경우에는 잎 전체가 갈색으로 변해 떨어진다.
잎자루와 과경에는 갈색의 둥근 반점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암갈색 부정형으로 약간 확대된다.
피망의 과실에서는 갈색 내지 암갈색의 반점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비가 자주 오면 병원세균이 식물체에 침입하거나 식물체내에서 증식하기가 매우 쉬어지므로 비가림 재배를 한다.
- 연작을 피하고 병든 조직은 빨리 밭에서 제거한다

 - 농작업은 맑은 날에 하고 사용하였던 농작업용 자재는 소독한 후 사용한다

 - 약제방제는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심하게 발병하면 방제하기 어렵다.

 


 

12.시들음병 (萎凋病,Fusarium wil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Schlecht. Fr.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이나 토양에서 균사나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한다.
보통 토양중에 널리 분포하며,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은데, 주로 흙 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된다.
병원균은 식물체의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며,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수확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병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 이상이며, 16℃ 이하와 33℃ 이상에서는 발병되지 않는다.
토양이 산성(pH 5.0-5.5)이고,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은데, 월동체인 후막포자는 기주식물 없이도 토양중에서 수 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해이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아랫잎이 시들며 밑으로 처지는데, 역병의 초기 증상과 비슷하지만 병 진전이 느리고 잎이 약간 누렇게 변하면서 서서히 죽는다.
주로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병원균이 침입하는데, 병든 부위는 암갈색을 띠고, 괴저가 생기며, 진전되면 지제부의 둘레가 썩는다.
병든 뿌리나 땅가 줄기는 불에 탄 것처럼 검게 보이고 껍질은 쉽게 벗겨지는 것이 특징이다.
역병과는 달리 지상부위는 직접 침해를 받지 않으나 병든 그루의 과실은 작고 품질이 나빠진다.


방제방법

- 연작을 피하고, 병발생이 심한 토양은 5년 이상 돌려짓기를 해야한다.
- 석회시용으로 토양 산토를 높이고(pH 6.5~7.0) 토양 선충이나 토양 미소동물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 미숙퇴비 시용을 금하고 토양내 염류 농도가 높지 않게 주의한다.
- 토양을 장기간 담수하거나 태양열소독을 하면 병원균의 밀도를 줄일 수 있다.
- 국내에는 고추 시들음병 방제 전문약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음.

 

 


13.역병 (疫病,Phytophthora blight)

 

병원체

Phytophthora capsici

 


발생환경

육묘상에서부터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시설재배에서는 연중 발생된다.
노지에서는 6월 초순부터 발생되고, 장마기에 주로 전반되어 8, 9월에 발생이 가장 심하다.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고, 침수되면 병 발생이 조장되는데 연작지에서 발생이 많다.
병원균은 종자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낸 후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병원균은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두 가지의 유성생식형 (A1, A2형)도 거의 전 재배지역에서 분리된다.

 


증상설명

유묘기부터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주로 뿌리와 땅가 줄기부위에 발생되지만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올라 잎, 열매, 가지 등의 지상부에 발생되기도 한다.
유묘기에 감염되면 그루 전체가 심하게 시들고 죽는다.
생육 중기나 후기의 병든 그루는 처음에 시들다가 후에 적황색으로 변해 말라 죽는다.
병든 그루의 줄기 지제부와 굵은 뿌리는 수침상으로 썩는데, 껍질을 벗겨 보면 줄기 내부가 연한 갈색이나 암갈색으로 썩어 있다.
잎, 열매, 가지 등은 수침상으로 썩으며, 감염 부위에는 병원균의 포자 덩어리가 하얗게 보이기도 한다.


방제방법

- 건전토양에서 육묘하고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를 철저히 한다.
- 저항성 품종을 재배한다.
- 병든 포기는 뿌리주변 흙과 함께 제거하여 포장 밖으로 버리고 등록약제를 병든 포기 주변에 흠뻑 관주한다.
- 발생 포장에서는 3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헥사코나졸.메탈락실 입제 2.5(1.5+1.0)% 골드문 Ⅳ급(저독성) Ⅰ급   6㎏/10a 정식기 1회 사1+가1 (주)팜한농
살균제 만코제브.옥사딕실 수화제 64(56+8)% 굳케어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4회 이내 카+가1 (주)팜한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디스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주)다보인터내셔널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5.5(16+9.5)% 균카트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7일전 2회이내 아5+다3 팜아그로텍(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전 5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대유아족시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주)대유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두루두루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인바이오(주)
살균제 만코제브.메탈락실 수화제 63.5(56+7.5)% 리도다다센 Ⅳ급(저독성) Ⅲ급 400배 - 수확 15일 전까지 2회 이내 카+가1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코퍼옥시클로라이드.메탈락실-엠 수화제 42.5(35+7.5)% 리도밀골드 플러스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4회 이내 카+가1 (주)경농
살균제 코퍼옥시클로라이드.메탈락실-엠 수화제 42.5(35+7.5)% 리도밀골드 플러스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4회 이내 카+가1 성보화학(주)
살균제 코퍼옥시클로라이드.메탈락실-엠 수화제 42.5(35+7.5)% 리도밀골드 플러스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4회 이내 카+가1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코퍼옥시클로라이드.메탈락실-엠 수화제 42.5(35+7.5)% 리도밀골드플러스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4회 이내 카+가1 (주)팜한농
살균제 만코제브.메탈락실 수화제 63.5(56+7.5)% 리도밀엠지 Ⅳ급(저독성) Ⅲ급 400배 - 수확 15일 전까지 2회 이내 카+가1 (주)경농
살균제 디티아논.메탈락실-엠 수화제 35(30+5)% 리도밀큐골드 Ⅳ급(저독성) Ⅰ급 5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카+가1 성보화학(주)
살균제 만코제브.메탈락실 수화제 63.5(56+7.5)% 마크원 Ⅳ급(저독성) Ⅲ급 400배 - 수확 15일 전까지 2회 이내 카+가1 (주)팜한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빅펀치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티아그로
살균제 코퍼옥시클로라이드.이프로발리카브 수화제 70.8(58.8+12)% 승부처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카+아5 한국삼공(주)
살균제 만코제브.메탈락실 수화제 63.5(56+7.5)% 아리메타실엠지 Ⅳ급(저독성) Ⅲ급 400배 - 수확 15일 전까지 2회 이내 카+가1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알리바바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지넥스(주)
살균제 에타복삼.파목사돈 수화제 16(7+9)% 어화둥둥 Ⅳ급(저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4회 이내 나3+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에코랑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다3 (주)피에이치엘
살균제 디메토모르프 입상수화제 50% 엑스트론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7일전 3회 아5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에타복삼.메탈락실 수화제 25(10+15)% 오차드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나3+가1 (주)팜한농
살균제 디메토모르프 수화제 50% 임페투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2회 이내 아5 지우바이오텍 주식회사
살균제 이프로발리카브.족사마이드 수화제 22(12+10)% 자부심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아5+나3 한국삼공(주)
살균제 에타복삼 액상수화제 15% 텔루스 Ⅳ급(저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4회 이내 나3 인바이오(주)
살균제 에타복삼 액상수화제 15% 텔루스 Ⅳ급(저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4회 이내 나3 한국삼공(주)
살균제 사이아조파미드 액상수화제 10% 파인더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200㎖/주 수확 7일전 4회 이내 다4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디메토모르프.메탈락실-엠 수화제 19.5(12.5+7)% 포루밀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아5+가1 성보화학(주)
살균제 디메토모르프.디티아논 수화제 38(8+30)% 포룸디 Ⅳ급(저독성) Ⅰ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아5+카 한국삼공(주)
살균제 디메토모르프.디티아논 수화제 38(8+30)% 포룸디 Ⅳ급(저독성) Ⅰ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아5+카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코퍼하이드록사이드.옥사딕실 수화제 70(62+8)% 포미사이드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3일 전까지 4회 이내 카+가1 (주)팜한농

14.옆맥투명병 (葉脈透明病,Vein clearing)

 

병원체

Broad Bean Wilt Virus

 


발생환경

BBWV는 기주범위가 넓고, 기주가 되는 잡초나 작물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서 전염원은 어느 곳에나 존재하고 있다.
BBWV는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형으로 쉽게 전염된다.
진딧물 중에서도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전염율이 높아서 60~90%나 된다.
또한 즙액전염이 잘 되어 작업중 전염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종자전염이나 토양전염은 되지 않는다.
호주, 미국, 일본, 유럽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고추외에 시금치 등에서도 이 바이러스에 의한 병발생이 확인되었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약한 모자이크가 엽맥투명(葉脈透明)으로 나타나며, 진전되면 잎이 위축(萎縮)되기도 한다.


방제방법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이병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시킨다.
-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자연 발병 기주인 고추, 시금치, 콩과 작물을 연속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15.원형반점병 (輪紋病,)

 

병원체

Tomato spotted wilt virus

 


발생환경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1915년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처음 발생되어 1920년에는 호주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세네갈, 인디아, 스페인, 브라질 등 거의 세계 전역에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대부분 시설재배포장에서 발생을 하였지만, 2008년부터 충남 예산, 전남 영광 지역 등 노지재배 고추에서도 큰 피해를 주었고, 각 포장 단위에서 마을 단위로 확산되어 대발생하는 새로운 양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종자 및 접촉 전염은 하지 않으며, 즙액전염 및 총채벌레에 의한 충개전염이 된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총채벌레에 의해 영속전염을 하며, 매개충인 총채벌레는 세계적으로는 6종이 보고 되었으며, 국내는 꽃노랑총채벌레 등 4종이 국외에서 유입되어 서식하고 있다.
또한 총채벌레는 토양 중에서 번데기 및 성충 형태로 겨울기간 중에 존재하므로, 시설재배의 경우 전염원이 늘 만연해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보고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기주식물은 고추, 토마토, 감자, 국화, 콩, 땅콩, 알타리무 등 25 종의 작물에서 발생을 하며, 중간기주로는 미국자리공, 별꽃, 쇠별꽃, 큰메꽃, 까마중, 명아주, 털쇠무릎, 계요등, 쇠비름, 박주가리 등 13종이 보고되어 있다.

 


증상설명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에 감염된 작물체는 신초부위가 위축 또는 괴사되고 심하면 작물이 고사하게 되며, 이병된 과일은 원형반문이 나타나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가 전혀 없는 치명적인 병이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과채류 등 세계적으로 860여종의 식물에서 괴사, 생육저하, 품질퇴화, 생산량 감소 등을 유발하지만, 일반적으로 매개충이 가해한 부위에서 퇴록과 괴사 병반을 일으키거나 윤문모양의 반점, 줄모양 병반, 위조, 왜소, 얼룩, 줄기 괴사 등의 병징을 보이지만, 병징의 발현 양상은 기주, 감염 시기 및 온도 등 주변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방제방법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자가 육묘 농가뿐만 아니라 육묘장에서도 발생하여 감염된 묘가 전국적으로 판매되어 전국적 발생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발생지역간 육묘 이동을 최소화하고, 건전 종자 이용 및 육묘의 바이러스 검정이 필요하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 주요 매개충인 꽃노랑총채벌레 방제를 위하여 발생초기부터 전용약제를 사용하여 철저하게 방제하여야 한다.

 


16.위조병 (萎凋病,)

 

병원체

Broad Bean Wilt Virus2

 


발생환경

BBWV2는 기주범위가 넓고, 기주가 되는 잡초나 작물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서 전염원은 어느 곳에나 존재하고 있다.
BBWV2는 진딧물에 의해 비영속형으로 쉽게 전염된다.
진딧물 중에서도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전염율이 높아서 60~90%나 된다.
또한 즙액전염이 잘 되어 작업중 전염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종자전염이나 토양전염은 되지 않는다.
호주, 미국, 일본, 유럽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고추 외에 시금치 등에서도 이 바이러스에 의한 병 발생이 확인되었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약한 모자이크가 엽맥투명(葉脈透明)으로 나타나며, 진전되면 잎이 위축되기도 한다.


방제방법

○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하고,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가지과와 콩과 작물 이외의 비기주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2022.06.16 - [병해충정보/채소] -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2022.06.16 - [분류 전체보기] -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