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2

배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기간은 7일, 유충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는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 등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 2022. 6. 18.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3.역병 (疫病,Phytophthora root rot) 병원체 Phytophthora cryptogea 발생환경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침수되면 발생하기 쉽다. 거의 모든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배추와 시금치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병원균은 종자 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되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에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토양 온도가 10℃ 이상 올라가면 활동하기 시작한다. 배추 역병균은 국내에 널리 퍼져 있으며, 각종 채소와 약초류 및 수목 등을 침해하지만 아직 배추에는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추 역병균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배추는 감수성, 무는 중도저항성, 양배추, 케일, 치커리, .. 2022. 6. 17.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7.무름병 (軟腐病,Bacterial soft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잎의 밑둥에 처음에는 수침상의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담갈색 내지 회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2022. 6. 17.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spot) 발생환경 종자나 병든 잎에서 균사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생존하다가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 시 8월~10월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잎에 원형의 검고 작은 반점을 형성한다.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띠고, 진전됨에 따라서 겹둥근무늬로 확대되고 심하게 진전되면 잎이 누렇게 변해 말라 죽는다. 후에 꼬투리에 병이 발생하면 종자의 임실이 나빠진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기 않도록 균형시비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테부코나졸.. 2022. 6. 17.
농약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목차 개요 농약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동물시험을 거치기는 하나 사람한테 얼마나 피해가 있을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농약에 대한 반응이 즉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추후 큰 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매우 주의해서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농약을 사용함에 있어 적정량을 사용하여 방제 효과를 얻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농약 주의사항 1.용도에 맞는 농약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병인지 충인지 잡초인지 용도에 따라 살균제,살충제,제초제를 선택해야 하며 뚜껑의 색깔을 통해 바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살균제 - 분홍색(분홍) 살충제 - 초록색(초록) 제초제 - 황색(황색) 또한 적용병해충과 작물에 맞는 농약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농약검색사이트 2.정.. 2022. 6. 17.
농약의 사용목적 및 작용 특성에 따른 분류와 형태에 따른 살포방법 목차 사용목적 분류 1.살균제 a.보호살균제 병원균의 포자가 발아하여 식물체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로 병이 발생하기 전에 작물체에 처리하여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호 살균제는 약효 지속기간이 길어야 하며 물리적으로 부착성 및 고착성이 양호하여야 한다 (예 : 석회보르도액 등) 농약 살포방법 식물 전체를 코팅해준다는 생각으로 농약을 뿌려주는것이 좋다. b.직접살균제 나병원균의 발아, 침입방지는 물론이고 침입한 병원균에 독성을 나타내는 작용을 하는 약제로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발병 후에도 충분한 방제가 가능하다 (예 : 항생물질 등) 농약 살포방법 발병부의에 뿌려주는것이 좋다.(ex. 잎의 뒷면에 생기는 병증이 있는경우(노균병 등) 잎의 밑에 농약이 묻을수 있도록.. 2022. 6. 17.
농약의 작용기작 표시 (농약관리법 참조) 목차 농약 용도 구별법 농약의 작용기작을 표시되어있는것을 많이 보았을 것입니다. 이렇게 크게 표시되어 있는것을 보면 농약을 구매하는 농민들에게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작용기작을 보면 대분류+(소분류)로 표기되며 한글+(숫자)은 살균제 숫자+(영어소문자)는 살충제 영어대문자+(숫자)는 제초제 입니다다. 뚜껑의 색으로도 판단할수 있고 작용기작 위에 용도가 적혀있으나 작용기작을 보고도 판단할수 있습니다. 이제 표시기호를 아래표에서 참조해보면 어떤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계통이고 어떤 성분인지등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정보들을 본다고 해서 바로 활용하기는 힘듭니다다. 많은 농부들이 공부하며 농사짓기 힘든것이 현실이고 농약판매처의 권유나 자신의 경험을통해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농약의 작용.. 2022.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