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2

참다래(키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갈색고약병 (褐色膏藥病,Felt) 원체 Septobasidium tanakae (Miyabe) Boed. 발생환경 병든 줄기나 가지에서 균사로 겨울을 지나고, 다음해 6~7월에 형성된 담자포자가 제1차전염원이 된다. 제주도 지방에서 일부 발생하고 있으나 큰 피해는 없다. 증상설명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회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서 갈색 융단과 같은 부드러운 균사층이 뒤덮힌다. 심하면 균사층이 가지둘레를 전부 뒤덮어 수세가 약해지고, 가지는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병든 줄기나 가지는 제거하여 불태운다 2.갈색점무늬병 (褐點病,Brown leaf spot) 병원체 Pestalotiopsis sp. 발생환경 포자층에서 분출된 분생포자가 빗물에 의하여 전반, 주로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2022. 6. 23.
포도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갈색날개매미충 (speculum) 목/과명 매미목/좀매미충과 속명 Ricania 생태정보 갈색날개매미충은 1년에 한 번 발생하며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낸 뒤 5월경 부화해 일정 기간 약충 상태로 지낸다. 약충 기간에는 성충보다 많은 수액을 먹으며 4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 7월 중순 무렵 성충이 되고 약 1개월의 산란 전기간을 거친 뒤 8월 중순부터 나뭇가지 속에 산란한다. 주로 1년생 어린 나뭇가지에 산란하며 그로 인해 나무의 생장에 피해를 줄 수 있다. 피해정보 약충기간 동안 농작물이나 과일나무 등의 수액을 빨아 먹으므로 식물의 생장에 지 장을 초래하고, 열매의 수량이 적어질 수 있다. 약충의 분비물이 과일이나 잎, 가지 등에 남 아 그을음병을 일으키는 등 과일의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특히 .. 2022. 6. 23.
포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3.큰송이썩음병 (大戾枯病,Berry rot) 병원체 Pestalotia uvicola 발생환경 다습한 여름철에 다소 발생하나 과일에 발생하는 꼭지마름병, 탄저병, 흰빛썩음병 등과 혼합 발생하여 과수원에서 병징만으로는 구분하기가 어렵다. 병원균의 생리생태적 특성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증상설명 과실과 과경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과면에 암갈색의 소형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과면 전체가 암갈색으로 변하며, 부분적으로 주름이 진다. 오래되면 흑색의 소립점이 생기고, 흑색으로 경화되어 부패한다. 방제방법 - 밀식을 피하여 통풍을 좋게한다 - 병든 잔사물을 모아서 불 태운다. 14.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병원체 Glomerella cingulata (Stonem.) Spauld. [.. 2022. 6. 23.
포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7.덩굴쪼김병 (蔓割病,Dead arm) 병원체 Cryptosporella viticola (Reddick) 발생환경 결과모지의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으로 겨울을 지난다. 5월에 강우로 병포자가 분출되어 1차전염원이 되며, 주로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잠복기간은 1개월 정도 걸리며, 여름의 건조한 기후에서는 발병하지 않는다. 증상설명 주간 및 덩굴에서는 지제부 혹은 1m정도의 높이까지 암갈색의 조반(條斑)이 생기며, 나중에는 흑변하며 목질부까지 균열이 생긴다. 다발하면 생육이 부진하고, 퇴색 위축한다. 가지는 적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변하고, 유과 및 미숙과는 기형이 되고, 열과가 생기며 흑색소립점이 생긴다. 피해받은 나무는 만성적으로 수세가 약해진다. 방제방법 - 배수관리를 잘 하여 포장이 과습하지 않도.. 2022. 6. 23.
주말농장 구하는법(매매,임대) 목차 주말농장이란 주말에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도시 근교에 마련한 소규모 농장. 도시민을 비롯한 비농업인이 주말에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농장입니다. 주말농장 취득방법 주말농장을 취득하기전 준비해야 될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농지법살펴보기 먼저 농지법을 살펴봅시다. 농지법 제7조에 따르면 ③ 주말ㆍ체험영농을 하려는 사람은 총 1천제곱미터 미만의 농지를 소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면적 계산은 그 세대원 전부가 소유하는 총 면적으로 한다. 이렇듯 농업인이 아니여도 1천제곱미터(약 302.5평)의 농지를 소유 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하지만 농지는 농지법 제3조(농지에 관한 기본 이념) ①농지는 국민에게 식량을 공급하고 국토 환경을 보전(保全)하는 데에 필요한 기반이며 농업과 국민경제의 조화로운 발전.. 2022. 6. 23.
농업경영체 등록 방법과 혜택 목차 농업 관련 법률이 강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법들이 생겨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 먼저 법에 근거한 자격요건들을 살펴보는것이 좋습니다. 농업경영체등록 방법 농업경영체등록을 위한 자격요건들을 알아봅시다. 1.준비 먼저 농업인의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농업인이란? 제3조(농업인의 기준) ① 법 제3조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1. 1천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농어촌정비법」 제98조에 따라 비농업인이 분양받거나 임대받은 농어촌 주택 등에 부속된 농지는 제외한다)를 경영하거나 경작하는 사람 2.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인 사람 3.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4... 2022. 6. 23.
농지제도(농지법) 알아보기 - 농지의 소유,임대,증여,상속,처분 목차 개요 국가에서는 농지가 투기의 대상이 되는것을 막기위해 농지에 대한 법률이 강화하고 있습니다. 투기를 목적으로 한 농지들이 워낙많아서 한번에 바뀌기는 힘들겠지만 알아두면 좋을거 같습니다. 어떤땅을 농지라고 하는지 또 소유,상속,처분에 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농지란? 농지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실제로 농작물을 경작하는 토지 또는 다년생식물(약초, 잔디, 과수 등)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입니다. (농지법 제2조제1호) - 위 토지의 개량시설(양 · 배수시설, 수로, 농로, 제방 등)의 부지 - 농지에 설치하는 고정식온실 · 버섯재배사 및 비닐하우스의 부지 - 농막(비 주거목적의 연면적 20㎡ 이하) · 간이저온저장고 (연면적 33㎡ 이하) 및 간이액비저장조(저장 용량 200톤 이하)의 부지 -.. 2022. 6. 23.
포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무늬병 (褐斑病,Leaf spot) 병원체 Pseudocercospora vitis (Lev.) [ = 동균이명 : Phaeoisariopsis vitis (Lev.) Sawada, Cercospora viticola (Cesati) Sacc. ] 발생환경 결과모지의 조치간극에 부착된 분생포자와 낙엽 병반 조직의 균사나 분생포자 상태로겨울을 지낸다. 개화 직후 강우로 형성된 분생포자가 잎뒷면의 기공을 통해 침입하며, 15~20일의 잠복기간을 거쳐 발병한다. 초발은 6월 상,중순이 되며, 여기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2차전염원이 된다. 증상설명 성숙된 잎에 등황색 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 초기 병징은 흑색의 작은 반점으로 시작, 병반 주위는 노란 환문이 생기며, 병이 진전 되면서 직경 1~2㎝ .. 2022. 6. 23.
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갈색고약병 (褐色膏藥病,Felt) 병원체 Septobasidium tanakae 발생환경 자실층에서 형성된 담자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 된다. 깍지벌레류의 분비물을 영양삼아 번식하며 가지에 균사로 침입한다. 이 균은 다른 많은 활엽수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증상설명 가지에 발생한다. 자갈색 내지 암갈색의 균사체가 가지의 표면에 들러붙어 옅은 융단 모양, 혹은 가루 모양으로 보인다. 방제방법 - 깍지벌레류의 방제를 철저히 한다. - 병든 가지를 잘라내어 불 태운다. 2.검은가지마름병 (黑斑胴枯病,Black blight) 병원체 Cryptodiaporthe japonica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형성된 자낭포자 및 병포자가 전염원이 되어 줄기 및 가지의 상처를 통해 감염이 된다. 부러지거나 쇠약한 나.. 2022.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