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2

귀농귀촌시 현실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귀농절차) 목차 지친 도시생활과 귀농의 평화로운 풍경을 보고 귀농귀촌을 꿈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면 정부의 귀농정책에 대한 홍보글과 영상이 매우 많습니다. 교육만 받으면 지원 또한 많은것 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을 받고 막상 귀농귀촌을 실행할려고 보면 하나부터 열까지 다시 알아보아야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를 막기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귀농귀촌시 현실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 첫째, 귀농에 대한 나의 의지와 정보수집 일단 내가 귀농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를 충분히 생각하고, 주변 귀농인분들(특히 초기 귀농인들)의 얘기도 들어보고, 관련 기관(농어촌공사,귀농귀촌종합센터,농업교육포털 등)에서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귀농에서 성공한 사람 뿐만아니라 실패한 경험..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목차 27.푸른곰팡이병 (靑黴病,Blue mold, Penicillium rot) 병원체 Penicillium expansum 발생환경 과점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며, 환경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저장 중이나 운송 도중에 피해가 크다. 증상설명 저장중인 과일에 많이 발생하고, 일반포장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담갈색의 소형 반점이 생기고, 점차 진전되면 병반상에 백색의 균사가 점점이 형성된다. 오래되면 병반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청색으로 변하고, 과실전체가 부패한다. 방제방법 - 과실 수확 시 조심하여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 과실 저장고는 될 수 있는 한 저온으로 유지하고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공기 습도가 90%를 넘는 경우는 부패과의 발생이 많으므로 환기에 ..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목차 21.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Gray mold) 병원체 Botrytis cinerea 발생환경 이 병원균은 분생포자나 균핵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나 토양에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되며, 주로 비,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전파된다. 사과잎에서 병 발생은 6~7월경과 9~10월경 비가 자주 오고 기후가 서늘한 지역에서 다소 발생하나 피해율은 0.1%미만 정도로 아주 경미하며, 생육 중의 과실에 발병되는 일은 거의 없다. 증상설명 잎, 과실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과실이나 잎에 담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 점차 커지면서 보통 직경 1~2㎝의 병반을 형성하나, 크게는 직경 3~4㎝의 대형 병반을 형성하기도 한다. 잎의 둘레 혹은 끝부분에서 발병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하면 낙엽이 되는 수도 있다. 과..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목차 15.붉은별무늬병 (赤星病,Cedar apple rust) 병원체 Gymnosporangium yamadae 발생환경 사과나무 잎 뒷면에서 9~10월에 형성된 녹포자는 형성 직후 발아하지 않고 겨울을 지낸 후 봄에 향나무에 침입한다. 그 해 여름을 지낸 후 병반을 형성하고 그 다음 해 봄 3~5월에 동포자퇴가 형성된다. 겨울포자퇴는 4~5월 강우에 부풀어 담포자가 형성되고 바람에 의해 비산되며 비산거리는 1㎞ 내외에 달한다. 비산된 담포자는 사과나무에 침입, 발병하여 피해를 주고 다시 소생자와 녹포자를 형성한다. 향나무에서의 생활은 약 21개월이 되며 사과나무에서는 3개월로서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병이 해마다 발생하는 것은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진 병원균이 서로 엇갈려 발생하기 때문..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목차 8.그을음병 (煤病,Sooty blotch) 병원체 Gloeodes pomigena 발생환경 사과와 배를 재배하는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며 22종의 식물에 기생성이 있고 비가 많은 조건하에서 특히 6~7월에 일조시간이 부족할 때 많이 발생한다. 그을음병은 봄에 포자를 형성하며 강우에 의해 포자가 분산되는 과실의 감염은 빠른 경우 낙화 2~3주부터 시작되며, 최적 조건하에서 12~18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되며 포장조건에서는 20~25일의 잠복기간이 소요된다.그을음병의 발생시기는 6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인데 봄과 가을에 발생이 많고 특히 이 기간에 기온이 낮고 강우가 잦으면 발생이 많아지며, 여름의 고온 기간에는 발생이 적다. 증상설명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표면에 흑녹색 내지 흑..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목차 1.가지검은마름병 병원체 Erwinia pyrifoliae 증상설명 꽃 : 물에 데친 것 같아서 후에 갈변하여 꽃자루로 번지며, 이병된 꽃자루는 잘 떨어지지 않음. 유과 : 물에 데친 것 같이 되며, 진한 갈색으로 변하며 표면에 진물이 생김. 과총 : 꽃 하나 또는 전체가 갈변하여 죽으며 진물이 생겨 아래 가지로 병반이 번짐. 신초 : 갈색으로 변하여 진물이 생긴다. 진물은 아침에 생겨 햇빛이 나면 말라버리나 자세히 보면 흔적을 볼 수 있음. 잎 : 기공이나 상처로 침입하여 처음에는 잎자루에서 엽맥을 따라 갈색 괴사반점이 나타나며 중간 엽맥이나 엽병으로 번져 진한 갈색의 병반을 형성함. 줄기 : 수침상으로 되어 번지며 진물이 흘러내리고, 오래된 병반은 거북등처럼 갈라짐. 방제방법 (1) 발생과원 ○.. 2022. 6. 20.
더덕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녹병 (Rust) 병원체 Septoria sp. 발생환경 이 속균은 이종기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더덕 녹병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밝혀진 바 없다. 증상설명 잎의 앞면은 처음 황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커지면서 병반과 병반이 합쳐져 대형 병반이 형성되기도 하며, 심하면 잎 전체가 노랗게 변하고 고사한다. 잎 뒷면은 주황색, 황색의 하포자가 무수히 밀생하고, 앞면에는 잘 형성되지 않는다. 흰색의 포자가 생성되기도 하나 이런 종류의 곰팡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되거나 연구된 바가 없다. 방제방법 - 지역적인 차이는 있으나 장마기 전 건조한 시기에 발병이 시작되며 응애류와 발생하는 환경이 비슷하여 응애류의 병징인 흰색 작은 반점과 함께 동시에 관찰되기도 한다. - 초세를 양호하게 관리.. 2022. 6. 20.
파슬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무름병 (軟腐病,Soft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겨울을 지나고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보통 뿌리의 상부에 병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된 뿌리는 담갈색으로 물러 썩고 악취가 난다. 지상부는 시들고,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2022. 6. 20.
케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목차 1.균핵병 (菌核病,Sclerotinia rot) 병원체 Sclerotinia sclerotio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거나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줄기의 지제부 혹은 상부가 감염되어 무른 상태로 썩고,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란다. 후에 병반부위에는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2022.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