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5.붉은별무늬병 (赤星病,Cedar apple rust)
- 16.뿌리혹병 (根頭癌腫病,Crown gall)
- 17.역병 (疫病,Phytophthora fruit rot, Phytophthora crown, collar)
- 18.은엽병(銀葉病) (Silver leaf)
- 19.자색점무늬병 (紫色斑點病,Septoria leaf spot)
- 20.자주날개무늬병 (紫紋羽病,Violet root rot)
- 2022.06.20 - [병해충정보/과수]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 2022.06.20 - [분류 전체보기]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15.붉은별무늬병 (赤星病,Cedar apple rust)
병원체
Gymnosporangium yamadae
발생환경
사과나무 잎 뒷면에서 9~10월에 형성된 녹포자는 형성 직후 발아하지 않고 겨울을 지낸 후 봄에 향나무에 침입한다.
그 해 여름을 지낸 후 병반을 형성하고 그 다음 해 봄 3~5월에 동포자퇴가 형성된다.
겨울포자퇴는 4~5월 강우에 부풀어 담포자가 형성되고 바람에 의해 비산되며 비산거리는 1㎞ 내외에 달한다.
비산된 담포자는 사과나무에 침입, 발병하여 피해를 주고 다시 소생자와 녹포자를 형성한다.
향나무에서의 생활은 약 21개월이 되며 사과나무에서는 3개월로서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병이 해마다 발생하는 것은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진 병원균이 서로 엇갈려 발생하기 때문이며, 향나무에서 겨울포자퇴는 2~3년간 전염력을 가진다.
이 병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국한해서 발생하는데 사과나무, 개아그배나무, 꽃아그배나무, 아그배나무, 능금나무, 야광나무, 털야광나무, 들해당화 등의 사과나무속 식물(Malus spp.)에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18년 수원에서 처음 발생이 보고되었고, 1975년이후 경북 지역 등 전국에서 발생량이 증가하여 피해가 늘어났으나 현재는 사과원에서 그 피해는 경미하다.
5월 상, 중순부터 잎 표면에 1㎜ 정도의 황색 반점이 나타나 윤기있는 등황색(오렌지색)으로 변하며 병반은 0.5~1㎝정도로 커지고 부풀어 올라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잎 뒷면이 두터워져서 6월부터 털 모양의 수포자기(銹胞子器)를 많이 형성함. 드물지만 병의 발생이 심할 경우에는 과실, 가지에도 병반이 형성됨.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나 과실, 신소에도 발생한다.
5월 하순경부터 등황색의 선명한 작은 병반이 생기고, 점차 진전되면서 정자각이 형성되고, 병반은 두터워지며, 뒷면이 볼록하게 나타난다.
7월경부터 회황색, 수술모양의 모상체(수자강)가 생기고, 심한 잎은 붉은색을 띄기도 한다.
2종 기생으로 향나무에도 감염되는데, 겨울을 지낸 후 봄이되면 적황색의 설상돌기(舌狀突起)를 형성한다.





방제방법
- 사과원 부근 1㎞ 이내에 중간기주인 향나무류를 심지 않는 것이며, 풍향, 풍속 등에 의해 달라지나 보통 500m를 넘을 경우 발병력이 줄어든다.
- 향나무에 형성된 혹(동포자퇴)이 터져서 젤리 모양이 되기 전에 잘라서 태우든가 4월~5월에 석회유황합제나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 사과나무에는 낙화 후 검은별무늬병, 점무늬낙엽병, 그을음(점무늬)병과 동시 방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펜티오피라드 액상수화제 | 15% | 골드타임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이내 | 다2 | (주)경농 |
살균제 | 플루실라졸.크레속심메틸 액상수화제 | 11.5(1.5+10)% | 귀품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다3 | (주)팜한농 |
살균제 | 페나리몰 유제 | 12.5% | 동부훼나리 | Ⅳ급(저독성) | Ⅱ급 | 3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페나리몰 수화제 | 12% | 동부훼나리 | Ⅳ급(저독성) | Ⅲ급 | 33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시메코나졸 수화제 | 20% | 디펜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사이프로디닐.디페노코나졸 유탁제 | 32.52(24.14+8.38)% | 맘모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라1+사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멀티샷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이미벤코나졸 입상수화제 | 30% | 블랙홀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디니코나졸 수화제 | 5% | 빈나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40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삼공헥사코나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 6% | 시스텐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2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만코제브.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 67(65+2)% | 시스텐엠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사1 | (주)경농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쓰리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프로피코나졸.테부코나졸 유현탁제 | 22(10+12)% | 영일베스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클로로탈로닐.디페노코나졸 입상수화제 | 24(20+4)% | 이지팜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메파니피림.마이클로뷰타닐 액상수화제 | 11.5(10+1.5)% | 탐스론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라1+사1 | (주)경농 |
살균제 | 트리플루미졸 수화제 | 30% | 트리후민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헥코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아그리젠토(주) |
16.뿌리혹병 (根頭癌腫病,Crown gall)
병원체
Agrobacterium tumefaciens
발생환경
이 병은 1915년경에 충남 조치원 근방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일본에서 수입한 사과나무 묘목에 의해 전염된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이 병은 사과나무나 배나무 재배 전 지역으로 확산되어 있다.
이 병의 기주범위는 사과나무, 배나무, 포도나무, 감나무, 장미, 토마토 등 93속의 식물과 대부분의 쌍자엽 식물에 모두 침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빗물, 바람, 병든 잔재물, 농기구, 선충에 의하여 발병주로부터 건전주로 전염되는데, 주로 토양전염이 많이 되며, 발병지에서 육묘중 감염된 묘목으로부터 전염되는 것이 제일 많다.
병원균은 식물의 상처 부위를 통하여 침입되며, 침입 2~4주일 후에는 혹형성이 시작된다.
증상설명
뿌리 및 줄기에 혹을 형성한다.
색깔은 초기에 백색을 띠고 차차 갈색 내지 암자갈색으로 변한다.
암종직경은 수 ㎜에서 수 ㎝크기의 다양한 모양으로 주로 뿌리에 발생한다.
암종은 병원균의 감염으로 나무의 세포조직분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며, 뿌리의 작은 암종은 선충에 의한 암종과 혼동되기 쉽다.
주로 뿌리 및 지제부 밑에 지름이 수 ㎜ 이상의 혹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 묘목을 심기 전에 병든 묘목을 제거하고 스트렙토마이신 등 항생제 액에 침지 후 심는다.
- 묘목을 심을 때 상처를 최소화한다.
-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불 태우고 흙을 훈증소독하며 그 자리에는 4~5년간 재배하지 않는다.
17.역병 (疫病,Phytophthora fruit rot, Phytophthora crown, collar)
병원체
Phytophthora cambivora
발생환경
MM.106대목 순으로 특히 MM.106대목은 역병에 매우 약하다.
그러나 역병의 발생은 나무의 동해, 한해, 과다 결실 등 여러가지 스트레스와 연관되어 발생하며, 토양 내 역병균 밀도 증가는 장기간 제초제 과다 살포와 연관이 있다.
따라서 M.9대목도 이 같은 불량 환경에서는 피해가 심해질 수 있다.
병원균은 물로 먼 거리를 이동하며 주 전염원은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유입된다.
포장이 과습하고 물빠짐이 나쁘거나 침수되면 병 발생이 쉬워진다.
증상설명
주로 지표부분의 주간 및 열매에 발생하나 심하면 어린 가지에도 발생 한다.
과일에는 처음 엷은 갈색의 병반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 과일표면 전체에 확산되고, 심하면 하얀 균사가 발생한다.
과일은 잘 부패하지 않고, 칼로 잘라보면 과심에 하얀 균사가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병든 과일은 쉽게 낙과한다.
줄기에는 주로 지표 부분에서 침입하여 갈변시키고, 심하면 그루 전체가 고사하며, 1년생 가지는 말라 죽는다.
과실역병 : 선명하지 못한 갈색의 병반이 과실표면에 생겨 점차 진전되면서 과실전체가 갈색으로 변하고, 변색된 과실은 부패하지 않고 딱딱한 상태로 있으며 쉽게 낙과된다.
대목역병 : 땅가 부분(地際部)과 접하는 대목부에서 처음에는 목질부가 흑갈색으로 변색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건전부와의 사이에 균열이 생긴다.
줄기역병 : 보통 대목 접목부위에서부터 1m 정도 높이에서 발생하며 초기에는 줄기의 피목부에서 검붉은 색의 진물이 흘러나오며 이 부위를 칼로 벗겨내면 약한 알콜냄새와 함께 조직이 빠르게 붉은 색으로 변색된다.
뿌리역병 : 갈변되어 부패한 부분은 지표면 근처의 뿌리이고 땅속 약간 깊은 곳의 뿌리는 건전한 것이 특징이다.






방제방법
- 낮은 위치에 결실된 과실이 감염되기 쉬우므로 왜성대목 나무에서는 낮은 가지에 결과 시키지 않도록 하며 봉지 씌우기를 한다.
- 토양에 서식하고 있는 역병균이 빗물에 의해 대목부나 줄기, 과실에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지표면에 생초나 기타 피복 재료를 깔아준다.. - 대목은 토양이 다습상태가 될 때 발생이 많으므로 암거배수 등으로 배수를 잘 하도록 하고 MM.106대목에서 M.26대목으로 전환하며 M.26대목을 심을 때에는 대목부가 지하로 완전히 묻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뿌리는 나무를 고사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지만 방제방법 역시 가장 어렵다.
자연초생 재배를 통해 연차별로 토양 내에서 병원균의 밀도를 줄여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균메카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균메카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균메카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5회 이내 | 다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나타나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두루두루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지넥스(주)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두루두루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14일전 | 5회 이내 | 다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센세이션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주)팜한농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아미스타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아미트라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아티스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사이아조파미드.플루오피콜라이드 액상수화제 | 13(7+6)% | 원프로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까지 | 5회 이내 | 다4+나5 | (주)팜한농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 수화제 | 10% | 탄저.역병뚝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다3 | (주)대유 |
18.은엽병(銀葉病) (Silver leaf)
병원체
Chondrostereum purpureum
발생환경
- 자실체는 증상이 진전된 나무에서 보통 수년이 경과한 후에 발생되지만 발생최성기는 10월 하순에서 12월 상순경이다.
- 비산된 포자는 막 생긴 상처부(가지의 절단부, 전정흔, 열상부 등)에 침입하여 감염된다.
증상설명
잎이 천천히 납색(은빛)으로 변하고 증상이 진전되면 잎의 표면에 가느다란 균열이 생기고 잎이 변색되어 낙엽이 되며 과실은 작아지고 착색이 불량하게 된다.



방제방법
- 자실체가 생길 정도로 피해를 받은 나무는 벌채하고 벌채한 나무는 불 태운다.
- 병든 가지는 잘라서 태운다.
19.자색점무늬병 (紫色斑點病,Septoria leaf spot)
병원체
Septoria sp.
발생환경
병원균은 불완전균에 속하며 국내에서는 정확한 발생조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증상설명
처음에는 흑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0.5~1㎝의 원형 병무늬로 확대된다.
오래되면 중앙에 검은점(병자각)이 많이 형성되고, 중앙은 회백색으로 변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모아서 불 태운다.
20.자주날개무늬병 (紫紋羽病,Violet root rot)
병원체
Helicobasidium mompa
발생환경
산림토양이나 뽕나무 밭 등에서 많이 존재하고 생육도 왕성하므로 이러한 곳을 개간하여 과원을 조성한 곳에서 병 발생이 많다.
병원균은 토양 내에서 보통 4년간 생존이 가능하다.
이 병의 감염시기는 대략 7월 상순부터 9월 중,하순경으로 추측되며 심하게 감염된 나무의 지하부 표피를 잘 살펴보면 적자색 실모양의 균사(菌絲)나 균사속(菌絲束)을 볼 수 있다.
자주색 균사조직은 다른 토양병원균에서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쉽게 판정이 가능하며 병에 감염된 뿌리는 표피가 쉽게 벗겨지고 목질부로부터 잘 이탈 된다.
증상설명
뿌리 표면에 적색의 균사속이 얽혀져 있으며, 오래되면 균사막이 형성되어 뿌리 전체를 둘러싼다.
심하면 지표부분의 줄기까지 자색의 균사가 나타나고, 지상부는 수세가 약해져 시들고 말라죽는다.
감염된 나무의 지하부 표피를 잘 살펴보면 적자색 실 모양의 균사(菌絲)와 균사속(菌絲束)을 볼 수 있고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원줄기(樹幹)에도 자주색 구름모양의 버섯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 사과원을 새로이 조성할 때에는 토양소독을 실시하고 묘목에 병원균이 묻어서 옮겨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묘목을 심기 전에 반드시 침지 소독을 실시한다.
-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객토 및 토양개량을 실시하고 석회나 인산질 비료를 시용한다.
- 적절한 수세관리를 위하여 유기물 사용량을 늘리고, 배수 및 관수관리를 철저히 하여 급격한 건습을 피해야 한다.
- 나무에 급격한 변화를 주는 강 전정을 삼가야 한다.
- 등록약제를 토양관주 할 경우에는 뿌리를 완전히 노출시킨 다음 병든 뿌리를 제거하고 뿌리 부근에 관주처리한 후 복토할 흙에도 약제를 혼합하여 복토한다.
- 치료 후 복토할 때 완숙퇴비를 시용하면 한층 효과가 높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과채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균다이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지넥스(주)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동방지오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톨클로포스메틸 수화제 | 50% | 리조렉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바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삼공지오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샹그리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아리지오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지오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지오판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청양단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이엑스아이디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치호톱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대유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톱신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경농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팜한농지오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팜한농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 | 하이지오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40ℓ/㎡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 | (주)신농팜케미컬 |
2022.06.20 - [병해충정보/과수]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2022.06.20 - [분류 전체보기]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0) | 2022.06.21 |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