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가루깍지벌레 (comstocki)
목/과명
매미목/가루깍지벌레과
속명
Pseudococcus
생태정보
연 3회 발생하며 백색 납질물로 덮인 알 덩어리로 거친 나무껍질 속이나 굵은 가지를 잘라냈을 때 잘 아물지 않은 곳, 기타 간극에서 월동하는데 일부는 암컷 약충 또는 성충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제1회 발생은 6월, 제2회 발생은 8월 상순, 제3회 발생은 9월~10월이며, 제2회 발생하는 약충부터 봉지 속으로 침입하여 가해한다.
피해정보
암컷성충은 몸길이가 4㎜내외의 타원형으로 전체가 흰가루로 덮혀 있다.
기주범위가 넓으며 대부분의 과수에서 발생이 많다.
과총부근의 단가지, 지간의 터진 틈, 과실의 꽃자리 부근 등에 기생하여 흡즙한다.
봉지씌운 과실에 주로 피해가 많고, 피해과실은 흡즙부위가 움푹움푹 들어간 기형과로 되고, 배설물로 그을음병이 생겨 품질을 저하시킨다.
방제방법
겨울을 보낸 알은 주지 등의 껍질 밑에 많으므로 이곳의 껍질을 긁어모아 불태운다.
늙은 나무에서는 공동이나 절단구가 많은데 이와 같은 곳은 가루깍지벌레의 좋은 산란 장소가 되므로 잘 긁어내고 페인트 등으로 봉하며, 주지 밑 부분을 마대나 볏짚 등을 감아서 유인한 다음 2월에 풀어서 소각한다.
살충제 방제는 월동 알이 부화한 제1세대 약충기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 시기를 놓쳐 성충이 되면 몸에 백색의 납질물 때문에 약효가 저하된다.
2.갈색날개노린재 (stali)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Plautia
생태정보
ㅇ 성충으로 활엽수나 칡 등의 낙엽, 돌밑 등에서 월동하고, 연 1~2회 발생하며, 4월 이후 월동 장소에서 나온 후 여러가지 기주식물을 옮겨가면서 가해한다.
ㅇ 풀색노린재와 마찬가지로 기상이 고온 건조할 때 증식율이 높고, 과원에 채소나 두과작물이 심겨 있거나 방풍수로 둘러싸여 통풍이 잘 안 되는 곳 등에서 발생이 많다.
그리고 한낮에는 그늘에 숨어 있다가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 주로 가해한다.
ㅇ 성충은 5~6월에 과원에 날아와서 어린 과실을 가해하며 알을 낳는다.
ㅇ 알은 무더기로 낳으며, 무더기 당 알의 수는 약 15~25개 정도이다.
ㅇ 갓 부화한 유충은 집단생활을 하고, 7~8월에 성충이 되어 과실을 가해한다.
ㅇ 7~8월에도 과실을 가해하지만 피해가 크지 않고, 9~10월의 피해가 크다.
피해정보
ㅇ 성숙 과실을 직접 흡즙 함으로써 현저한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해충으로 최근 여름 구기자에 발생하여 과실에 상처를 내 즙액이 유출되어 부패하거나 과실내부에 세균이 증식하여 부패시켜 피해를 주고 있다.
ㅇ 사과원에서는 2000년이후 과실 겉면에 고두병과 같이 약간 움푹 들어가며 중앙에 불분명한 구멍이 있는 노린재 피해가 증가하였다.
ㅇ 피해증상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고두병은 과실의 아래쪽 꽃받침 부위에 나타나며 과육이 코르크화 된다.
반면에 노린재에 의한 과실피해는 노린재 성충과 약충이 과실에 앉아서 구침을 찔러 가해하므로 과실 윗부분이나 옆면에 주로 나타나고 과육이 코르크화 되며, 가운데 피해부에 구침으로 찌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ㅇ 사과원에서 주로 문제 되는 노린재류로는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가 우점종이지만, 지역이나 해에 따라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풀색노린재 등도 피해를 준다.
방제방법
ㅇ 사과원 주변의 노린재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잡초나 식물류는 가능한 정리하고, 사과를 가해하는 시기에 따라 적기 방재한다.
ㅇ 추출물제재나 유인트랩을 설치하면 어느 정도 방제할 수 있다.
3.갈색날개매미충 (speculum)
목/과명
매미목/좀매미충과
속명
Ricania
생태정보
ㅇ 중국 동부지역 원산으로, 여러 과수류와 가로수의 해충으로 기록 되어 있다.
산수유, 때죽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밤나무 등을 선호한다 ㅇ 2009년 공주 사과원에서 최초 발견된 후 급속히 확산되어 2016년 현재는 경기, 충남북, 전남북, 경남 지역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점차 동쪽으로 확산되고 있다.
ㅇ 연 1회 경과하며, 알로 줄기에서 월동한다.
약충은 5월 중순부터 8월중순에 나타나고 약충기간에는 성충보다 많은 수액을 먹으며 4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되며, 성충은 7월 중순부터 11월 중순에 나타나며 8월 중순부터 나뭇가지 속에 산란한다.
ㅇ 주로 1년생 가지에 2줄로 산란한 후 톱밥과 흰색 밀납 물질을 섞어서 덮는다.
피해정보
ㅇ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블루베리, 대추 등 주로 목본류에 피해를 주고, 밀도가 높을 때는 초본류에도 피해 발생 한다.
ㅇ 성충과 약충이 기주를 흡즙하여 수세를 약화 시킨다.
암컷 성충은 1년생 가지 속에 2줄로 비스듬히 산란하며, 산란으로 인하여 가지가 말라 죽어 결과지 형성에 피해를 준다.
배설물에 의한 왁스 물질 분비로 잎, 줄기, 과실에 그을음 증상을 유발하며,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심할 경우 기주를 고사시킨다.
방제방법
물리적 방제법으로 8월 중순부터 다음해 5월 이전까지는 산란된 나뭇가지를 제거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가지 겉면이 아닌 조직 속에 산란하므로 해당 부위를 제거하지 않으면 방제가 어렵다.
성충이 나타나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는 산란을 막기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다.
노란색 끈끈이 트랩은 약 3m 간격으로 설치하며 높이는 1~1.5m 정도가 적합하다.
또한 방충망을 설치하여 과원으로 성충의 유입을 막는다.
등록약제 방제는 알에서 약충이 부화하는 5월~6월 무렵이 가장 효과적이다.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일수록 약제에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성충은 산란하기 전인 8월 초순부터 9월 초순까지 방제적기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장원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주)팜한농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신농팜델타린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 이내 | 3a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광파워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신농팜델타린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14일전까지 | 3회 이내 | 3a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데스플러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주)경농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데시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선문델타린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충앤드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이내 | 3a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케오왕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 이내 | 3a | 팜아그로텍(주) |
살충제 | 델타메트린 유제 | 1% | 델타시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주)대유 |
살충제 | 디노테퓨란 수화제 | 10% | 오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팜한농 |
살충제 | 디노테퓨란 입상수용제 | 50% | 보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경농 |
살충제 |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 20% | 팬텀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디노테퓨란.에토펜프록스 수화제 | 13(5+8)% | 청실홍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3a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디클로르보스.람다사이할로트린 분산성액제 | 20.8(20+0.8)% | 돌격대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 | 1b+3a | (주)팜한농 |
살충제 | 비펜트린.노발루론 액상수화제 | 9.4(4.7+4.7)% | 다이몬파스트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500 | - | 수확 14일전 | 2회 | 3a+15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 | 7% | 트랜스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c | (주)팜한농 |
살충제 | 설폭사플로르 입상수화제 | 7% | 스트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4c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설폭사플로르 입상수화제 | 7% | 스트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4c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아바멕틴.아세타미프리드 입상수화제 | 9.5(1.5+8)% | 타이틀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2회 이내 | 6+4a | (주)팜한농 |
살충제 | 아바멕틴.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 10.7(1.2+9.5)% | 완타치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 6+29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 8% | 모스피란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경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 8% | 샤프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대유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 8% | 어택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 8% | 젠토스타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아그리젠토(주)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 입상수화제 | 8% | 히든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4a | (주)팜한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루페뉴론 액상수화제 | 13(8+5)% | 젠토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 4a+15 | 아그리젠토(주)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메타플루미존 액상수화제 | 20(8+12)% | 가시리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22b | (주)경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 25(5+20)% | 깍지마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 4a+16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비펜트린 입상수화제 | 9(6+3)% | 직격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4a+3a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분산성액제 | 10(8+2)% | 크레모아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6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분산성액제 | 22.01(18.82+3.19)% | 스코프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5,000 | - | 수확14일전 | 3회이내 | 4a+6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 10.5(2.5+8)% | 피리처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3a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 10.5(2.5+8)% | 만장일치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3a | (주)경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 10.5(2.5+8)% | 충도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3a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에토펜프록스 수화제 | 10.5(2.5+8)% | 젠토시대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3a | 아그리젠토(주)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플루벤디아마이드 입상수화제 | 13(6+7)% | 진검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28 | 한국삼공(주) |
살충제 | 에토펜프록스 유탁제 | 10% | 명타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주)팜한농 |
살충제 | 크로마페노자이드.에토펜프록스 유제 | 13(3+10)% | 프라우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2회 이내 | 18+3a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플로니카미드 입상수용제 | 50% | 헥사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29 | ISK바이오사이언스 코리아(주) |
살충제 | 플로니카미드 입상수용제 | 50% | 헥사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29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플루피라디퓨론 액제 | 17.09% | 시반토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4d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피리플루퀴나존 액상수화제 | 6.5% | 팡파레에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9b | (주)경농 |
4.갈색여치 (ussuriensis)
목/과명
메뚜기목/여치과
속명
Paratlanticus
생태정보
성충은 1년 1회 발생하며, 가을에 땅속에 알을 낳고 죽는다.
알은 4월 상순~중순경에 부화하여 약충으로 산에 낙엽 쌓인 곳에서 생활한다.
산에서 증식한 갈색여치는 5월 초부터 한두 마리씩 과수원으로 내려오기 시작하여 5월 말부터 약 한 달간 밀도가 가장 높고 피해가 심하며, 7월 초부터는 다시 산으로 돌아가 산란한다.
성충은 날개가 있지만 퇴화되어 날지 못하고 뛰어 다닌다.
예찰은 농작물재배 인근 산에서 서식하며, 성충은 크기가 약 3㎝로 크며, 검은 얼룩을 띠고 있는 메뚜기가 집단으로 서식하면 갈색여치로 판단하고 자세히 형태를 관찰한다.
페트병의 위 부분을 잘라 만든 함정트랩(pitfall)에 설탕을 첨가한 막걸리를 넣어 두면 이 트랩에 빠져 죽는다.
이 트랩에 유인되는 마릿수로 발생을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
ㅇ 산지 인접 과원에서 한 나무에 수십 마리씩 모여서 주로 과실을 갉아 먹는다.
참나무 등 활엽수가 많은 지대에서 피해가 심하다.
ㅇ 잡식성이어서 주로 곤충 등 미소동물의 사체를 먹지만, 최근에 사과, 복숭아, 자두, 포도 등에 피해를 준다.
방제방법
발생정도에 따라 끈끈이판, 비닐막 설치와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 40% | 스미치온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2회 이내 | 1b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펜토에이트 유제 | 47.5% | 엘산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1b | 한국삼공(주) |
살충제 | 펜토에이트 유제 | 47.5% | 충자비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1b | (주)유일 |
5.꽃무지 (pilifera)
생태정보
나뭇가지 속에서 알로 월동하고, 5월 중·하순에 부화한 유충은 7월에 성충이 되며, 성충의 수명은 약 2개월로 9월까지 산다.<br/>덩굴성 식물을 기주로 많이 이용하여 서식하므로 과원 주변에 담쟁이 등과 같은 덩굴성 식물이 많은 경우에 발생하기가 쉽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신초나 잎의 뒷면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며 기생하여 피해를 준다.
유충은 흰솜털 같은 것을 가지에 많이 붙여 놓기 때문에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동화작용이 저하되어 생육이 저하될 수 있으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발생밀도가 높지 않아서 방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며, 죽은 가지 속에서 겨울을 보내므로 전년도에 발생이 확인되었던 과원에서는 돌담 주변의 덩굴성 식물을 제거하거나 봄 전정시에 말라죽은 가지를 철저히 제거해서 태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6.녹색콩풍뎅이 (quadriguttata)
목/과명
딱정벌레목/풍뎅이과
속명
Popillia
생태정보
산란은 토양 2-3cm 깊이에 주로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10cm 이상의 깊이에 하기도 한다. 산란 최성기는 성충 발생 15일 전후로 7월 중순 정도이다. 산란수는 20-65개 정도이고, 분산해서 산란한다. 난 기간은 8-18일로 수분 조건이나 토양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어린 유충은 토양 부식물과 식물의 가는 뿌리를 가해하는데 대부분 8월 중순에 대부분이 3령충이 된다.
피해정보
산지 인근 또는 미숙퇴비 시용 사과원에서 6~7월 풍뎅이가 다발생하여 어린 잎에 피해를 줌
방제방법
성충을 중점적으로 방제하여야 하는데 성충이 지상에 출현하는 시기에 방제하는 것이 좋다.
유충에 대한 방제는 성충에 대한 것에 비해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등유인물질과 트랩 등을 통해 유인 포획하여 장기적으로 발생 밀도를 낮추는 방법도 고려해 볼만하다.
2022.06.21 - [병해충정보/과수] - 사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0) | 2022.06.21 |
---|---|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0) | 2022.06.21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