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7.푸른곰팡이병 (靑黴病,Blue mold, Penicillium rot)
병원체
Penicillium expansum
발생환경
과점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며, 환경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저장 중이나 운송 도중에 피해가 크다.
증상설명
저장중인 과일에 많이 발생하고, 일반포장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담갈색의 소형 반점이 생기고, 점차 진전되면 병반상에 백색의 균사가 점점이 형성된다.
오래되면 병반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청색으로 변하고, 과실전체가 부패한다.


방제방법
- 과실 수확 시 조심하여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 과실 저장고는 될 수 있는 한 저온으로 유지하고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공기 습도가 90%를 넘는 경우는 부패과의 발생이 많으므로 환기에 유의한다.
- 병든 과실과 붙어있는 과실은 옮아 썩게 되므로 저장 중 썩은 과실이 보이면 골라내어 다른 과실에 번지지 않도록 한다.
28.화상병 (火傷病,Fire blight)
발생환경
○ 월동 : 세균은 오래된 궤양의 주변에서 월동한다.
○ 전반 : 궤양에서 분출되는 세균액의 세균이 곤충과 비에 의해 다른 나무나 가지로 이동벌이 세균을 꽃에 옮긴다.
○ 침입 : 세균은 꽃의 밀선을 통해 침입하고, 기공과 상처를 통해 잎에 침입한다.
○ 증식 : 세균은 세포 간극에서처 증식하고 퍼진다.
○ 병징발현 : 감염된 꽃은 쭈그러들고 짙은색으로 변해 죽고 감염이 다른 꽃, 가지, 잎으로 번지게 되고 심해지면 새로운 가지와 줄기에 새로운 궤양이 형성한다.
증상설명
○ 병든 꽃은 수침상이 되고 쭈그러든 후 흑갈색으로 변하고 꽃이 달린 가지나 인접한 가지로 진전되어 잎맥을 따라 흑갈색의 병반이 생기 는데 병이 진전됨에 따라 병든 잎은 말리고 쭈그러들어 보통은 가지에 매달려 있다.
○ 병든 가지의 수피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졌다가 후에 위축되고 단단해지고 잔가지의 끝부분은 구부러진다.
○ 열매가 달린 잔가지로부터 병징이 아래쪽의 큰 가지로 진전되어 궤양병반이 형성되고 궤양 병징을 보이는 가지의 수피는 수침상의 병반 을 나타내고 짙은 색으로 함몰된 채 마르면서 궤양이 커져 가지를 둘러싸면 그 윗부분은 고사한다.



방제방법
1) 발생과원
○ 발생과원 내 전체 기주식물은 이동을 금지하고 모두 폐기한다.
- 폐기순서는 발병주 - 인접주 - 발병과원 내 기주식물 순으로 한다.
- 폐기는 굴취한 후 매몰을 원칙으로 한다.
*발병과원 : 하나의 과원에서 동일한 경작자가 재배하고 있는 기주 식물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되어 확진된 과원
○ 기타사항 - 발생과원 내 벌통은 폐기하거나 이동을 제한한다.
- 방제도구, 방제복 등 방제 및 전정 등에 사용한 농기구는 전체 소독한다.
- 발생과원 내 기주식물 재배를 3년간 금지한다.
* 단 과수화상병 박멸검증 연구 등 연구 목적으로 폐기과원에 식재를 희망할 경우 확산방지, 인위적 전염방지 등의 제한요건이 포함된 연구계획서를 제출하고
농촌진흥청(재해대응과, 작물보호과)의 허가를 득한 후 한시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2) 발생구역
○ 병 발생 확진 후 발생과원 인근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주 1회 집중예찰을 실시한다.
○ 예방을 위하여 동계방제 1회와 만개후 2회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 방제도구, 방제복 등 방제 및 전정 등에 사용한 농기구는 전체를 소독한다.
○ 발생구역 밖으로 기주식물 및 벌통의 이동을 금지한다.
○ 발생구역은 발생포장의 가장 바깥의 발병주를 중심으로 반경을 설정한다.
(3) 방제구역
○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병 발생과원을 중심으로 5~7월 동안 매월 1~2회 주기적으로 병 발생상황을 예찰한다.
또한, 농가의 자체 예찰 및 의심주에 대한 자진신고를 적극 유도한다.
○ 예방을 위하여 동계방제 1회와 만개 후 2회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 방제도구, 방제복 등 방제 및 전정 등에 사용한 농기구는 전체를 소독한다.
○ 방제구역 밖으로 기주식물 및 벌통의 이동을 금지한다.
(4) 관리구역
○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병 발생상황을 예찰한다.
○ 예방을 위하여 동계방제 1회와 만개 후 2회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5) 관리구역 외 기주식물 재배 지역
○ 전체과원을 대상으로 매년 2회 이상 발생상황을 예찰하고 동계방제 1회와 만개 후 1회(권장)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바실루스서브틸리스큐에스티713 수화제 | 5.0X10^9cfu/g | 세레나데맥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바6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균제 | 바실루스서브틸리스큐에스티713 액상수화제 | 1.0×10^9cfu/g | 세레나데아소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바6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
살균제 | 바실루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디747 입상수화제 | 5.0×10^10cfu/g | 에코샷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 | - | 바6 | 한국삼공(주) | ||
살균제 | 바실루스아밀로리퀴파시엔스엠비아이600 수화제 | 5.5×10^10cfu/g | 세리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 | - | 비대상 | (주)팜한농 |
살균제 | 박테리오파지액티브어게니스트어위니아아밀로보라 액상제 | 5.0×10^12pfu/L | 아그리파지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250㎖/10a | - | - | 비대상 | (주)경농 |
살균제 | 블라드 액제 | 20% | 프로블라드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미분류 | 한국삼공(주) |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만개 후 15일 | 2회 이내 | 라4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티제이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만개 후 15일 | 2회 이내 | 라4 | (주)태준아그로텍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부라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만개 후 15일 | 2회 | 라4 | (주)팜한농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아리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만개 후 15일 | 2회 이내 | 라4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아그렙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만개 후 15일 | 2회 | 라4 | (주)경농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발리다마이신에이 수화제 | 20(5+15)% | 방범대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20일 전까지 | 2회 이내 | 라4+아3 | (주)팜한농 |
살균제 | 아시벤졸라-에스-메틸 입상수화제 | 50% | 비온 | Ⅳ급(저독성) | Ⅲ급 | 25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 차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옥솔린산 수화제 | 20% | 유니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60일전 | 2회 | 가4 | (주)피에이치엘 |
살균제 | 옥솔린산 수화제 | 20% | 일취월장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60일전 | 2회 | 가4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옥솔린산 수화제 | 20% | 일품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60일전 | 2회 | 가4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옥솔린산 수화제 | 20% | 무름반점뚝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60일전 | 2회 이내 | 가4 | (주)대유 |
살균제 | 옥솔린산 수화제 | 20% | 고수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60일전까지 | 2회 이내 | 가4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옥솔린산 입상수화제 | 20% | 배차엔진품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30일전 | 3회 | 가4 | (주)팜한농 |
살균제 | 옥솔린산 입상수화제 | 20% | 명품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 가4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옥솔린산.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5(10+15)% | 스타나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30일전 | 2회 | 가4+라4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옥솔린산.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17+3)% | 옥토퍼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60일 전까지 | 2회 이내 | 가4+라4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옥솔린산.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5(10+15)% | 아무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30일전 | 2회 | 가4+라4 | (주)팜한농 |
살균제 |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20(12+8)% | 빅히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40일전 | 3회 | 가4+라5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34% | 브래이브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40일전 | 3회 | 라5 | (주)하나바이오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34% | 옥싸이클린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40일전 | 3회 | 라5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 수화제 | 17% | 성보싸이클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40일전 | 3회 | 라5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수화제 | 20.3(1.5+18.8)% | 아그리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4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라5+라4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입상수용제 | 20.3(1.5+18.8)% | 엠블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60일전 | 2회 이내 | 라5+라4 | 아진케미칼(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입상수용제 | 20.3(1.5+18.8)% | 젠토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60일전 | 2회 | 라5+라4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입상수용제 | 20.3(1.5+18.8)% | 젠토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60일전 | 2회 | 라5+라4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코퍼설페이트베이식 수화제 | 58% | 네오보르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가스가마이신 수화제 | 50.75(45+5.75)% | 가스란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라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55(45+10)% | 크러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신초발아 전 | 1회 이내 | 카+라5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코퍼하이드록사이드 액상수화제 | 34(17.6+16.4)% | 에스지세균박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카+카 | 한국삼공(주) |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동방쿠퍼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대유코퍼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주)대유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코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주)팜한농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경농쿠퍼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주)경농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입상수화제 | 46.1% | 고운손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 | - | 카 | (주)팜한농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60(50+10)% | 타미나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신초 발아전 | 1회 이내 | 카+라4 | (주)팜한농 |
살균제 | 큐프러스옥사이드.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38(30+8)% | 탐나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신초발아 전 | 1회 이내 | 카+라4 | (주)경농 |
살균제 | 트리베이식코퍼설페이트 액상수화제 | 15% | 새빈나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신젠타코리아(주) |
생장조정제 | 프로헥사디온칼슘 액상수화제 | 20% | 비비풀 | Ⅳ급(저독성) | Ⅲ급 | 1600배 | - | - | - | 비대상 | (주)경농 |
29.흰가루병 (白粉病,Powdery mildew)
병원체
Podosphaera leucotricha
[ = 불완전세대 : Sphaerotheca leucotricha ]
발생환경
병든 새순이나 가지에서 균사나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봄에 잎이 전개할 때 자낭포자에 의해 1차 감염이 이루어진다.
1차 감염된 잎에서 형성된 흰가루 모양의 분생포자에 의해 2차 감염이 이루어진다.
5~6월에 발생이 많으며 홍옥이 감수성 품종이다.
이른 봄 기온이 한랭하고 안개가 많이 낄 때 발생이 많다.
이 병은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17년 마산에 서 처음 발견된 이후 1940년대까지는 함경남도 원산 지방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는 사과원에서 평균 병든엽율 1% 미만, 발생과원율 5% 미만으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증상설명
잎, 과실 가지 등을 침해하는데, 주로 새순에 발생이 심하다.
처음에는 잎 뒷면에 회백색의 균총이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서 전면이 흰가루로 덮히고, 심하면 생장이 되지 않는다.
과실에는 낙화 후 극히 어릴 때 발병하며, 녹과(銹果)의 원인이 된다.
신초에 흰색의 균총이 나타나고 병반이 확대되어 잎 전체가 흰가루 모양의 분생포자가 덮힌다.



방제방법
- 피해 받은 새순의 끝이나 피해가지를 잘라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 개화전~낙화기(4월 중순~5월 중순)에 검은별무늬병, 점무늬낙엽병, 붉은별무늬병, 그을음병과 동시방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결정석회황 합제 | 22% | 석회황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50~120 | - | - | - | 카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 6% | 시스텐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2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리버티 | Ⅳ급(저독성) | Ⅲ급 | 2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바이코 | Ⅳ급(저독성) | Ⅲ급 | 2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아리비타놀 | Ⅳ급(저독성) | Ⅲ급 | 2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비터타놀 수화제 | 25% | 방파제 | Ⅳ급(저독성) | Ⅲ급 | 2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사이플루페나미드.디페노코나졸 액상수화제 | 11.5(1.5+10)% | 월계수 | Ⅳ급(저독성) | Ⅱ급 | 4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미분류+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시메코나졸 수화제 | 20% | 디펜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이미벤코나졸 입상수화제 | 30% | 블랙홀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 5% | 선문티디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30ℓ/주 | 수확 3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트리플루미졸 수화제 | 30% | 트리후민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페나리몰 수화제 | 12% | 동부훼나리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페나리몰 유제 | 12.5% | 동부훼나리 | Ⅳ급(저독성) | Ⅱ급 | 3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폴리옥신비 수화제 | 10% | 팜한농포리옥신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5회 이내 | 아4 | (주)팜한농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삼공헥사코나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쓰리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멀티샷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2% | 헥코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황 액상수화제 | 52% | 마코니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 | - | 카 | (주)태준아그로텍 |
살균제 | 황 입상수화제 | 80% | 쿠무러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배 | - | - | - | 카 | 한국바스프(주) |
살균제 | 황 입상수화제 | 80% | 트리로그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배 | - | - | - | 카 | (주)농협케미컬 |
살균.살충제 | 황.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 39.5(35.5+4)% | 황영웅 | Ⅳ급(저독성) | Ⅲ급 | 250배 | - | 개화전 | 1회 이내 | 카+16 | 한국삼공(주) |
30.흰날개무늬병 (白紋羽病,White root rot)
병원체
Rosellinia necatrix
발생환경
배수가 잘 되고 수분이 충분한 토양에서 잘 발생하며 유기물을 많이 사용하면 유기물에서 병원균이 증식되어 밀도가 높아진다.
토양병해로서 항상 토양속에 존재하며 나무가 쇠약해지면 침입한다.
강전정, 과다한 결실, 과도한 건조를 피해야 한다.
증상설명
피해나무의 뿌리에 백색의 흰균사가 얽히고 수피속의 형성층에도 얇은 균사층이 형성된다.
병든 나무는 쇠약해져 잎이 누렇게 변하고 낙엽된다.
굵은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면 목질부에 백색 부채모양(白紋羽)의 균사막과 실모양의 균사속을 확인할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하면 흰색의 균사는 회색 혹은 흑색으로 변함.



방제방법
- 피해가 심한 그루는 제거하여 불 태운다.
- 강전정을 피하고 균형시비를 하여 수세를 강건하게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다코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경농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동방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베노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대유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하이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팜한농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팜한농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임팩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유원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아리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하나바이오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선문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사일런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유일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벤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베노밀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40ℓ/㎡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입제 | 12% | 신문고 | Ⅳ급(저독성) | Ⅲ급 | 4㎏/근권㎡ | 개화기 | 2회 이내 | 바2 | (주)경농 | |
살균제 |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입제 | 12% | 후치왕 | Ⅳ급(저독성) | Ⅲ급 | 4㎏/근권㎡ | 개화기 | 2회 이내 | 바2 | 한국삼공(주) | |
살균제 |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입제 | 12% | 후치왕 | Ⅳ급(저독성) | Ⅲ급 | 4㎏/근권㎡ | 개화기 | 2회 이내 | 바2 | (주)팜한농 | |
살균제 | 플루아지남 분제 | 0.5% | 후론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5㎏/주 | 휴면기 | 1회 이내 | 다5 | (주)팜한농 | |
살균제 | 플루아지남 분제 | 0.5% | 후론트 | Ⅳ급(저독성) | Ⅰ급 | 5㎏/주 | 휴면기 | 1회 이내 | 다5 | 아그리젠토(주) | |
살균제 | 플루아지남 분제 | 0.5% | 다쏘 | Ⅳ급(저독성) | Ⅰ급 | 5㎏/주 | 휴면기 | 1회 이내 | 다5 | (주)태준아그로텍 | |
살균제 | 플루아지남 수화제 | 50% | 후론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50ℓ/주 | 휴면기 | 1회 이내 | 다5 | (주)팜한농 |
살균제 | 플루아지남 액상수화제 | 50% | 모두랑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50ℓ/주 | 휴면기 | 1회 이내 | 다5 | (주)팜한농 |
31.흰무늬병 (白斑病,Leptosphaeria leaf spot)
병원체
Leptosphaeria sp.
[ = 불완전세대 : Phoma sp. ]
발생환경
상세한 발생소장 및 피해정도는 아직 조사된 바 없으며, 안성군 일부에서 발견되었으나 피해는 아주 미약하다.
증상설명
처음에는 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회갈색의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상에는 흑색의 돌기(병자각 및 자낭각)가 형성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모아서 불태운다.
32.흰비단병 (Southern blight)
병원체
Sclerotium rofsii
발생환경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증상설명
줄기 밑과 뿌리에 백색 견사(絹絲)와 같은 균사가 생기며 백색구형의 좁쌀만한 균핵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심한 경우 제거하여 불 태운다
2022.06.20 - [병해충정보/과수]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0) | 2022.06.21 |
---|---|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0) | 2022.06.21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