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8.그을음병 (煤病,Sooty blotch)
병원체
Gloeodes pomigena
발생환경
사과와 배를 재배하는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며 22종의 식물에 기생성이 있고 비가 많은 조건하에서 특히 6~7월에 일조시간이 부족할 때 많이 발생한다.
그을음병은 봄에 포자를 형성하며 강우에 의해 포자가 분산되는 과실의 감염은 빠른 경우 낙화 2~3주부터 시작되며, 최적 조건하에서 12~18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되며 포장조건에서는 20~25일의 잠복기간이 소요된다.그을음병의 발생시기는 6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인데 봄과 가을에 발생이 많고 특히 이 기간에 기온이 낮고 강우가 잦으면 발생이 많아지며, 여름의 고온 기간에는 발생이 적다.
증상설명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표면에 흑녹색 내지 흑색의 그을음증상이 부정형으로 나타난다.
표면에만 기생하며, 조직내부에 침입,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발생하면 상품 가치가 떨어진다.
나뭇가지에도 그을음 증상이 나타나나 큰 피해는 주지 않는다.
과실 표면에 흑녹색의 원형 또는 부정형의 그을음 모양의 병반이 형성되며 나뭇가지에도 장타원형의 병반이 형성됨. 병반은 과실전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문질러도 간단히 제거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 사과원내 통풍이 나쁜 나무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정지,전정을 할 때에 가지의 배치를 적절하게 한다.
- 비가 올 때 봉지 씌우기 작업은 절대하지 않도록 하며 봉지 씌우기 전 약제살포를 하도록 한다.
- 점무늬낙엽병 및 겹무늬썩음병의 방제를 위해 정기적으로 약제를 살포하면 그을음병과 그을음점무늬병은 동시에 방제된다.
9.그을음점무늬병 (煤點病,Fly speck)
병원체
Zygophiala jamaicensis
발생환경
그을음병의 발병과 비슷하며, 그을음병과 같이 과실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관리가 소홀한 과수원에서는 매우 심하게 발생한다.
증상설명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주로 성과의 과피에 많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침으로 찌른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점차 융기한 흑점이 형성된다.
흑점은 여러개가 모여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하면 과실 전체에 형성된다.
과실의 표면에 6~8개 때로는 50개 이상의 암흑색의 작은 점이 원을 이루어 형성되며, 이들 작은 점은 광택이 있고 약간 융기해 있어 마치 파리똥처럼 보이므로 이 병을 영명으로는 flyspeck이라고 한다.
방제방법
- 사과원내 통풍이 나쁜 나무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정지,전정을 할 때에 가지의 배치를 적절하게 한다.
- 비가 올 때 봉지 씌우기 작업은 절대하지 않도록 하며 봉지 씌우기 전 약제살포를 하도록 한다.
- 점무늬낙엽병 및 겹무늬썩음병의 방제를 위해 정기적으로 약제를 살포하면 그을음병과 그을음점무늬병은 동시에 방제된다.
10.근두암종병 (根頭癌腫病,Crown gall)
병원체
Agrobacterium tumefaciens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환부에 있는 균사나 유주자낭이 토양속에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되며, 빗물에 튀어올라 땅가부분의 과일에 침입한다.
주로 강우가 많고 다습한 해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뿌리 및 줄기에 혹을 형성한다.
색깔은 초기에 백색을 띠고 차차 갈색 내지 암자갈색으로 변한다.
암종직경은 수 ㎜에서 수십 ㎝크기의 다양한 모양으로 주로 뿌리에 발생한다.
암종은 병원균의 감염으로 나무의 세포조직 분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며, 뿌리의 작은 암종은 선충에 의한 암종과 혼동되기 쉽다.
방제방법
- 병든 줄기는 즉시 제거하여 불 태운다.
- 빗물이 튀기지 않도록 땅가부분의 가지를 제거한다.
11.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Apple mosaic virus
발생환경
ApMV는 오래 전부터 발생되었으며 1923년에 접목 전염에 의하여 바이러스병임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풍수, 야마다까 등 몇 품종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발병률이 극히 낮다.
이 바이러스는 Prunus necrotic ring spot virus와 유연관계가 있으며 Rose mosaic virus, Plum line pattern disease와 같은 바이러스이거나 유연관계가 밀접한 바이러스이다.
병징이 약한 계통과 강한 계통이 있으며 이들의 병원력은 초본 지표식물에서도 차이가 난다.
이 바이러스에 의한 경제적 피해는 영국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조사한 결과 병원성이 강한 계통은 30~40% 감수가 잇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눈의 발아율이 감소한다.
이 바이러스는 거의 전세계적으로 분포, 발생되고 있다.
증상설명
접목, 아접, 대목의 영양번식 등에 의하여 전염되며 초본식물에 즙액전염이 가능하다.
개암나무에 발생되는 ApMV는 종자 전염되며 간혹 사과 유묘에 나타나는 모자이크 증상으로 보아 종자 전염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토양이나 충매전염은 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 묘목 생산 시 건전 접수 및 대목을 사용하며 건전묘는 열처리 및 조직 배양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 발병주는 비배 관리 및 재배기술을 통하여 수세관리를 하여야 하며 피해가 심한 나무는 베어내고 건전주로 다시 심는것이 바람직하다.
12.바이러스 잎반점병 (Leaf spot)
병원체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발생환경
이 바이러스병은 사과 나무에 잠복감염된다.
이병성 대목에 감염된 접수가 접목되었을 때 고접병증상을 일으키는 병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인과류 이외에 핵과류에도 심한 피해를 주는 병으로 알려져있다.
1959년 최초로 Platycarpa line pattern virus로 명명되었다.
우리나라 사과나무에 많이 잠복감염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증상설명
CLSV는 아접, 접목, 삭아접에 의하여 전염되며 즙액전염에 의하여 명아주 등 초본식물에, 순화된 바이러스로 사과 어린 유묘에 즙액전염이 가능하다.
수체내 바이러스 분포는 불균일하며 5~10개의 눈을 가진 단가지에서는 거의 전부가 감염되어 있으나, 20~40개의 눈을 가진 장가지에는 건전 부분이 많으며 가지 끝으로 갈수록 건전 눈이 많다.
꽃이나 열매에 바이러스의 농도가 높으며 잎에는 농도가 낮다.
재식된 나무와 나무의 접촉이나 사람에 의하여 전염되지 않으며 토양 전염은 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 가장 기본적인 방제 방법은 건전묘를 육성해서 재배하는 방법이며 건전여부가 부정확할 때는 이 병에 잘 걸리는 품종 대목의 이용을 회피하는 것이 좋다.
○ 건전묘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37~38℃에서 30~40일 열처리로 생장점을 분리하여 조직배양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ribavirin 등을 처리 후에 접수를 채집하여 건전묘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이 바이러스는 사과에는 저항성 대목을 사용하였을 경우는 병징이 은폐되어 피해가 크지 않으나 피해가 나타나는 경우 심할 경우에는 다시 심는 것이 좋으며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배관리로 수세증진에 노력하여야 한다.
13.바이로이드병
병원체
Apple scar skin viroid
발생환경
바이로이드는 바이러스보다 더 작고 핵산으로만 구성된 병원체로 국내에서 1998년 미끼라이프 품종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된 이후 후지, 홍로, 산사 품종 등에서도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준다.
전염은 즙액, 뿌리, 접목에 의한 전염이 쉽게 이루어지고 전정 등 재배 작업도구에 의해서도 전염이 될 수 있다.
증상설명
잎이나 줄기에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고 과실에만 증상이 나타난다.
과피에 노란색 반점들이 생긴 후 과실이 성숙되면서 크기가 점점 커지고 과실 수확기에 과피가 얼룩얼룩해지면서 착색이 불균일해 진다.
또한 품종에 따라 동녹이 심하게 발생하고 정상과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꽃받침부위에서 꼭지부위로 골이 지는 기형과가 되어 상품성이 전혀 없어진다.
과실 표면에 노란색 반점들은 과실이 성숙하여 과피가 붉은색을 띔에 따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고 크기가 1~2㎝까지 점차 확대되어 8월중순 수확기에는 과피 전체의 50% 이상을 덮게 된다.
방제방법
- 접목이나 전정 등 작업 후에 작업 도구들을 화염 소독이나 소독액(2% NaOCl 용액 또는 락스액)으로 도구를 소독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 외국에서 도입하여 배포되는 품종들의 사용을 지양하고 정식 검역과정을 거친 건전한(virus-free) 묘목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과실에 바이로이드병 증상이 발견되면 뿌리까지 완전히 굴취하여 소각 처리하여야 한다.
14.부란병 (腐欄病,Valsa canker)
병원체
Valsa ceratosperma(Tode ex Fries)
발생환경
병반상에서 형성된 자낭포자와 병포자가 전염원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자낭포자의 형성 빈도가 매우 낮아 주 전염원은 병포자 이다.
병자각내에서 형성된 병포자는 빗물에 의해 이동하여 사과나무의 상처부위에서 발아하여 감염된다.
병원균이 가장 쉽게 침입하는 곳은 과대, 전정부위, 밀선, 큰 가지의 분지점, 동, 상해를 입은 곳 등인데 반드시 죽은 조직을 통해서 감염된다.
감염은 포자만 있으면 연중 어느 시기에나 일어날 수 있는데 감염최성기는 12월에서 4월까지이다.
감염 후 발병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데 수 개월에서 3년까지 소요된다.
일단 발병하면 병반은 연중 진전되며 봄에서 초여름까지 가장 빠르게 진전하고 여름에는 일시 정체하나 가을에 다시 진전하며, 겨울에도 느린 속도이긴 하지만 병반의 진전은 계속된다.
이 병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발생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처음 알 려진 것은 1919년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과의 상업적 생산이 시작된 직 후이다.
그 후 1960년대 중반까지는 별로 큰 문제가 없었으나 1960년 대 후반부터 차츰 피해가 증가하여 1970년대 초에는 우리나라의 사과 산업에 중대한 위협이 되었으며 이 시기에 많은 사과원이 이 병으로 인해 폐원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1989년 네오아소진액제를 분무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이후에는 사과원에서 평균 이병주율 1~3.0%, 발생과원율 40%정도이다.
증상설명
주간(主幹)이나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수피가 갈색으로 변색되어 부풀어 오르고 쉽게 벗겨지며, 알콜냄새가 난다.
병환부가 건조하면 수분을 상실, 함몰되며 그 표면에 흑색의 작은 점(병자각)이 형성된다.
작은 가지에는 봄에 발생, 여름철의 고온기에 말라죽는데 겹무늬썩음병의 병징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나무껍질이 갈색으로 되며 약간 부풀어 오르고 쉽게 벗겨지고 시큼한 냄새가 난다.
병이 진전되면 병에 걸린 곳에 까만 돌기가 생기고 여기서 노란 실모양의 포자퇴가 나온다.
방제방법
- 비배관리를 좋게 한다.
- 전정부위나 동해를 입은 곳 등을 통해 감염하기 때문에 전정부위는 바짝 잘라 등록약제를 바르고 동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 전정은 이른 봄에 하고 병에 걸린 부위를 일찍 발견하여 깍아 내거나 잘라내고 등록약제를 바른다.
- 잘라낸 병든 가지는 모아서 태워 전염원을 제거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유탁제 | 25% | 대잔치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14일전 | 4회 이내 | 카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플루퀸코나졸.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도포제 | 2.4(0.4+2)% | 도포박사 | Ⅳ급(저독성) | Ⅱ급 | 원액1g/10㎠ | - | - | 사1+사1 | 성보화학(주) | |
살균제 |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제 | 25% | 듀팩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카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 4(2+2)% | 방호벽 | Ⅳ급(저독성) | Ⅲ급 | 원액1g/10c㎡ | - | - | 카+나1 | (주)팜한농 | |
살균제 |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제 | 25% | 베푸란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카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폴리옥신디.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41.13(1.13+40)% | 보람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40g/10a | - | - | 아4+나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폴리옥신디 연무제 | 0.55% | 부란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원액 | - | - | 아4 | (주)농협케미컬 | |
살균제 | 사이프로코나졸 액제 | 4.5% | 아테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4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사이프로코나졸 액제 | 4.5% | 아테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10배 | 2㎖/병환부10c㎡ | 수확 4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사이프로코나졸 액제 | 4.5% | 아테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4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사이프로코나졸 액제 | 4.5% | 아테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10배 | 2㎖/병환부 10c㎡ | 수확 4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액제 | 25% | 영파워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5회 이내 | 카 | (주)경농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 3% | 톱신페스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 | 원액1g/10c㎡ | - | - | 나1 | (주)경농 |
살균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 3% | 톱신페스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 | 원액1g/10c㎡ | - | - | 나1 | 닛소코리아(주 |
2022.06.20 - [병해충정보/과수]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2022.06.20 - [병해충정보/과수] - 사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0) | 2022.06.21 |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0) | 2022.06.20 |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