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갈색고약병 (褐色膏藥病,Felt)
병원체
Septobasidium tanakae
발생환경
자실층에서 형성된 담자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 된다.
깍지벌레류의 분비물을 영양삼아 번식하며 가지에 균사로 침입한다.
이 균은 다른 많은 활엽수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증상설명
가지에 발생한다.
자갈색 내지 암갈색의 균사체가 가지의 표면에 들러붙어 옅은 융단 모양, 혹은 가루 모양으로 보인다.
방제방법
- 깍지벌레류의 방제를 철저히 한다.
- 병든 가지를 잘라내어 불 태운다.
2.검은가지마름병 (黑斑胴枯病,Black blight)
병원체
Cryptodiaporthe japonica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형성된 자낭포자 및 병포자가 전염원이 되어 줄기 및 가지의 상처를 통해 감염이 된다.
부러지거나 쇠약한 나무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줄기와 가지에 발생한다.
병든 부위는 흑갈색으로 변하고, 후에 이곳에 병자각이 모인 자좌가 형성된다.
자좌내에는 또한 자낭각이 형성되어 흑색소립상으로 돌출한다.
방제방법
- 병든 줄기와 가지는 잘라내어 불 태운다.
- 줄기 및 가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유의한다.
-비배관리를 철저히하여 나무를 강건하게 한다.
3.그을음병 (煤斑病,Sooty mold)
병원체
Capnophaeum sp.
발생환경
잎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자낭포자를 비산하여 1차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며, 통풍이 불량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에 그을음 모양의 물질이 묻은 것처럼 보이고, 심한 경우에는 잎 전면이 그을음 모양의 물질로 뒤덮혀 잎의 색깔 및 생장이 불량해진다.
방제방법
- 병든잎은 모아서 불 태운다.
- 통풍을 좋게한다.
4.둥근갈색무늬병 (圓形褐斑病,Circular brown spot)
병원체
Tubercularia sp.
발생환경
분생포자에 의해 공기전염 되는데, 특히 비, 바람에 의해 병 발생이 조장된다.
증상설명
주로 밤송이에 발생하며, 잎과 어린가지에도 발생한다.
처음에는 병든 가시가 갈색으로 변하고, 진전되면 많은 가시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둥글고 큰 병반을 형성한다.
후에 가시가 붙어 있는 송이의 껍질부위가 암갈색으로 변하여 썩고, 심한 경우에는 과실에도 침입하여 부패를 일으킨다.
방제방법
- 병든 밤송이는 제거하여 땅속에 묻거나 불 태운다.
5.부채버섯썩음병 (Wood rot)
병원체
Schizophyllum commune Fries
발생환경
담자포자가 줄기나 가지의 상처부위를 통하여 침입한다.
증상설명
줄기나 가지의 절단 부위 및 상처 부위에서 발생한다.
병든 나무의 껍질은 갈색으로 변하고, 조직이 물러진다.
병이 진전되면 목질부가 갈색으로 변하여 썩으며, 병든 부위의 표면에는 부채모양의 작은 회백색 버섯이 많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줄기나 가지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든 줄기나 가지는 잘라내어 불 태운다.
6.점무늬병 (斑點病,Leaf spot)
병원체
Pestalotiopsis guepini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 후 분생포자를 비산하여 공기전염 한다.
증상설명
잎에 작은 원형 내지 부정형의 갈색반점을 형성하고, 병반의 주위는 노란색깔의 테를 두른다.
진전되면 병반의 직경이 2~3㎜로 커지고, 병반의 내부는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검은 소립점으로 보이는 분생자층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모아서 불 태운다.
7.줄기마름병 (胴枯病,Chestnut blight)
병원체
Cryphonectria parasitica (Murr.)
[ = 동균이명 : Endothia parasitica (Murr.) ]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형성된 자낭각 및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자낭포자 및 병포자가 비산되어 전염원이 된다.
이 병원균은 주로 줄기와 가지의 상처 부위를 통하여 침입하는데, 주로 비, 바람에 의해서 전반이 되며, 곤충, 새 등에 의해서도 전반이 된다.
증상설명
주로 줄기와 가지에 발생하며, 지표면에 노출된 뿌리에 발생하기도 한다.
병든 줄기의 껍질은 처음에 적갈색으로 변하고, 약간 움푹 들어간 후 표면에 병원균의 자좌가 다수 돌출하여 드러난다.
병든 부위의 껍질은 파괴되어 황색 내지 등황색으로 변하며, 다습시에는 등황색의 점질상의 포자 덩어리가 누출된다.
병든 부위가 진전되고 확대되면 수세가 약해지고, 후에 줄기와 가지는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줄기 및 가지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한다.
8.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병원체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발생환경
자낭각과 균사의 형태로 병든 부위에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된다.
분생포자는 강우가 많은 7~8월에 빗물에 튀어 전반되는 일이 많으며, 곤충이나 조류에 의해 분생포자가 전반되기도 한다.
성숙기 및 저장 중에 많이 발생하며, 비가 자주 오는 8~9월경에 심하게 발생한다.
기주범위가 넣어 포도나무, 배나무, 고추 등 수백종의 작물에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에서 초기에는 갈색의 원형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부정형으로 확대된다.
때때로 잎끝에서부터 말라들어가는 수도 있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모아서 불태운다.
- 물방울이 튀어 오르지 않도록 관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균가이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태준아그로텍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누리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아진케미칼(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대유균박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대유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론케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마꼬잡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태평에이지(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버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보증샷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이엑스아이디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시크릿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예스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오제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지넥스(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칸타타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캐스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아그리엠 |
살균제 | 펜헥사미드.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 | 36.3(30.5+5.8)% | 타이브랙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원액1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3+사1 | (주)경농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탄부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유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테부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테부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테부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전 | 2회 이내 | 사1 | (주)장유산업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호리쿠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호리쿠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테부코나졸 유제 | 25% | 호미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원액2ℓ/ha | 수확 3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 | (주)피에이치엘 |
9.흰가루병 (白粉病,Powdery mildew)
병원체
Microsphaera alni (Wallr.)
발생환경
자낭각을 형성하여 겨울을 지낸 다음 자낭포자가 1차 전염원이 되며, 발병후에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2차 전염이 된다.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한다.
증상설명
잎에 부정형의 흰 반점을 형성하며, 병이 진전되면서 잎 전면이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하얗게 보이며, 후에 잎이 말라죽는다.
가을에 이르러 병든 잎에 자낭각이 형성되어 흑색의 작은 점으로 보인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모아서 불 태운다.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0) | 2022.06.23 |
---|---|
포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23 |
복숭아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22 |
복숭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22 |
복숭아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