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능사 필기 9편 - 유기농업의 의의
유기농업 유기농업은 환경생태계의 보호,토양쇠퇴와 유실의 최소화,환경오염의 최소화,생물학적 생산성의 최적화,자연환경의 우호적 건강성 촉진 등을 추구하고 있고,유기농업 생산체계의 목적은 생물학적 생산력,환경의질, 공동체의 건강을 최적화 하는 것이다. 유기농업 기준 작물과 품종의선택 : 병해충 저항성이 있으면서 유기농업 인증농가에서 채종된 것 *윤작 실시:화학 비료 대신 경제적인 수확이 가능하도록 녹비작물,두과 작물 및 심근성 작물의 윤작 실시 시비 관리:토양의 잠재적 생산력과 생물학적 활동력을 유지 향상 시킬 목적으로 시비되어야 하며 , 장기적으로 토양 중 부식함량을 높여야 하고, 시용 질소는 유기질 비료이어야 하므로 가축분 활용을 위해 자급할 만큼의 가축 두수 확보 *병해충 관리:농약 사용을 금하고 천적 ..
2022. 8. 6.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8편 - 토양관리
토양관리 *논 우리나라 논토양의 토양 생성 모암은 산성암인 화강암류가 70%를 차지하고 있어 산성 토양이 많다. 기후는 온난 습윤하여 토양 중에서 유기물의 분해는 촉진되는 반면 집적량은 적어서 유기물 함량이 낮은 척박한 토양이 대부분이다. *논토양의 지력증진 방안 심경 ,객토,유기물시용,규산질 비료의 시용,아연 시용,석고 시용 논토양 종류별 개량 보통논,모래논,미숙논,습답,염해논,특이 산성논 *담수(물을 논에 가두어 놓는 것) 효과 수소 이온농도 조절 식물 양분이나 독성 물질의 농도 조절 화학적평형과 흡착 및 방출 미생물의 변화 탈질현상 질산염의 환원에 의해 질소를 분해하는 생물산화의 현상을 말함. 하수 중에 포함된 유기질소 화합물은 질화작용에 의하여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변화하지만, 이들은 수중의 용..
2022.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