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균병85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3.역병 (疫病,Phytophthora root rot) 병원체 Phytophthora cryptogea 발생환경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침수되면 발생하기 쉽다. 거의 모든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배추와 시금치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병원균은 종자 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되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에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토양 온도가 10℃ 이상 올라가면 활동하기 시작한다. 배추 역병균은 국내에 널리 퍼져 있으며, 각종 채소와 약초류 및 수목 등을 침해하지만 아직 배추에는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추 역병균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배추는 감수성, 무는 중도저항성, 양배추, 케일, 치커리, .. 2022. 6. 17.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7.무름병 (軟腐病,Bacterial soft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잎의 밑둥에 처음에는 수침상의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담갈색 내지 회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2022. 6. 17.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spot) 발생환경 종자나 병든 잎에서 균사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생존하다가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 시 8월~10월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잎에 원형의 검고 작은 반점을 형성한다.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띠고, 진전됨에 따라서 겹둥근무늬로 확대되고 심하게 진전되면 잎이 누렇게 변해 말라 죽는다. 후에 꼬투리에 병이 발생하면 종자의 임실이 나빠진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기 않도록 균형시비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테부코나졸.. 2022. 6. 17.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7.잘록병 (立枯病,Damping-off) 병원체 Pythium ultimum 발생환경 발병에 관여하는 병원균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AG-1(IB), AG-2-1, AG-4인데, 주 로 AG-4에 의해서 병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겨울을 지난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유묘기에 잘록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든 묘는 잘 쓰러지고,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이 발생하지 않은 포장의 토양을 상토(床土)로 사용하다. - 묘상(苗床)의 토양이 다습(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파종 전 싸이론훈증제로 토양소독을 하거나 파종 직전 혹은 파종 .. 2022. 6. 16.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9.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Cucumber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온대지역에 발생이 많다. 우리 나라에서도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각종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PVX는 즙액전염 또는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이 된다. 접촉전염은 잎이나 줄기 접촉뿐만 아니라 뿌리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PVX는 진딧물에 의하여 매개되지 않으나, 직시목에 속하는 곤충과 진균(Synchyrium endoticum)에 의하여도 전염되기도 한다. 자연 상태에서 감염이 되는 기주로는 고추, 담배, 감자, 토마토 등이다. PepMoV를 자연상태에서 전염시키는 것은 진딧물이다. PepMoV는 비영속형전염 바이러스로서 충체(蟲體)내 잠복기간이 없다. 또한 바이러스를 .. 2022. 6. 16.
고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점무늬병 (褐色斑點病,Cercospora 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capsic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고온,다습한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잎자루, 과경, 가지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흰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원형의 둥근 갈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안쪽에는 눈동자와 같은 작은 원형병반이 한 개 형성되어 있어 두 개의 겹무늬반점으로 보인다. 병반의 모양이 개구리눈과 닮았다 하여 일명 개구리눈무늬병이라고도 불린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마르고 잘 떨어진다. 잎자루와 과경 및 가지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 반점을 형성한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한다. -.. 2022. 6. 16.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9.역병 (疫病,Phytophthora rot) 병원체 Phytophthora nicotianae 발생환경 육묘상에서부터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시설재배에서는 연중 발생된다. 노지에서는 장마기에 주로 전반되어 8, 9월에 발생이 가장 심하다.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고 포장이 침수되면 병 발생이 조장되는데 연작지에서 병 발생이 많다. 토양전염성 병해로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 존재하며 관수로 유입될 수도 있다. 토양중의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올라 과실을 침해하게 되며, 상처 없이도 기주체를 침입 할 수 있다.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나고 이듬해에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은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두 종류의 유성생식형(A1, A2형)이 거의.. 2022.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