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균병85

딸기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겹무늬병 (輪紋病,Phyllosticta leaf spot) 병원체 Alternar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잎에서 병자각으로 월동후, 1차 전염원이 되며, 공기전염 한다. 고온성 균으로 7~8월에 강우가 많으면 심하게 발생 한다. 보교조생 품종은 이 병에 약하고, 사계성 품종은 강한 편이다. 증상설명 잎, 잎자루,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자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직경 1~2㎝크기의 대형병반으로 확대된다. 오래된 병반의 중앙은 회갈색, 주위는 자갈색으로 변화되며, 병반상에는 흑색의 소립점(병자각)이 생긴다. 발생이 심한 잎은 말라죽는다. 잎자루와 줄기에서는 암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이식 포복경에 병원균이 감염되지 않도록 관리를 철저히 .. 2022. 6. 14.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7.줄기무름병 (莖軟腐病,Bacterial stem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subsp.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1차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줄기에 발생하며, 수확기에 식물이 시들기 시작하면서 물러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2022. 6. 13.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9.시들음병 (萎凋病,Fusarium wil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전국의 토마토 재배지역에서 고루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한 토양전염성 병해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이나 토양속에서 균사나 후막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된다.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된다. 병원균은 주로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데,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 증상이 나타난다. 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30℃이며 16℃이하나 35℃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022. 6. 13.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점뿌리썩음병 (黑點根腐病,Black dot root rot) 병원체 Colletotrichum coccodes (Wallr.) Hughes 발생환경 병든 부위 혹은 토양에서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월동후, 전염원이 된다. 주로 시설재배 포장에서 수확기에 이르러 병징이 나타난다. 증상설명 감염된 식물체의 지상부는 초기에 푸른 상태로 약간 시들다가 계속 진전되면 전체적으로 누렇게 변하여 시들고, 후에 말라죽게 된다. 병든 식물체의 뿌리는 콜크화되어 썩고, 감염부위에는 검은 소립의 균핵이 많이 붙어 있다. 병든 뿌리의 심부와 표피층은 쉽게 분리되고, 부서진다. 방제방법 -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가지과 이외의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병든 그루는 뽑아내서 불에 태운다. - 병이 발생한 포장의 토.. 2022. 6. 13.
참외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7.뿌리썩음병 (根腐病,Pythium root rot) 병원체 Pythium ultim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에서 난포자를 형성하여, 토양속에서겨울을 보낸 후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기온이 다소 서늘하고(20℃이하)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지만 외부 병징은 고온 건조 시에 잘 나타난다. 병든 식물체내에서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낸 병원균은 토양온도가 10℃이상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활동을 시작한다. 병원균은 물을 따라 전반되며, 관수 후 2~3일내에 식물체를 침입한다. 전염원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나 관수로 전염될 수도 있으며, 병원균은 상처 없이도 침입이 가능하지만 상처가 있을 때 침입이 더 용이하다. 종자전염이 가능하나 병원균은 주로 토양전염 되며, 작물이 습.. 2022. 6. 12.
참외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별무늬병 (黑星病,Scab) 병원체 Cladosporium cucumerin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병자각, 자낭각,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지나고 1차 전염원이 된다. 알맞은 온,습도가 되면 병자각이나 자낭각속의 포자가 분출, 빗물이나 관수에 의하여 주위에 비산되고, 기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시설재배 시 늦은 봄이나 가을에 발생이 많으나 대체로 봄부터 가을까지 오랜 기간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과실, 줄기에 발생한다. 잎과 줄기에는 처음 암갈색의 작은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갈색으로 변한다. 과실에는 암녹색 내지 암갈색의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직경 0.5~1㎝크기의 병반으로 확대된다. 잎이나 과실 모두 오래된 병반에는 흑색가루(분생포자)가 밀생하여 병반.. 2022. 6. 12.
수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9.얼룩모자이크병 (綠斑 mosaic,Green mottle mosaic) 병원체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발생환경 국내에서는 남부 지역에 한하여 분포하고 있으며, 병 발생이 심한 곳은 95% 이상의 발병율을 보이고, CGMMV와 WMV의 복합감염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CGMMV는 즙액전염, 접촉전염, 토양전염 또는 종자전염에 의하여 전염이 된다. 오이에 발생하고 있는 CGMMV는 서산 등 몇몇 지역에 한정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증상설명 잎에 불규칙적인 퇴색 또는 담황색의 모자이크로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녹색부분이 울퉁불퉁하게 되는 것도 있다. 과피의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약간 둥근 괴저 반점이 생기는 것이 많다. 과육내에는 담황색 수침상태 및 황색섬유의 .. 2022.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