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by 투농부 2022. 6. 13.
반응형

 

9.시들음병 (萎凋病,Fusarium wil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전국의 토마토 재배지역에서 고루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한 토양전염성 병해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이나 토양속에서 균사나 후막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된다.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된다.
병원균은 주로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데,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 증상이 나타난다.
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30℃이며 16℃이하나 35℃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산성토양(pH 4.5~5.5)과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은데, 이는 토양수분의 불균형에 의해 식물체가 스트레스를 받아 약해지므로 병원균의 침입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병원균은 토양중에 널리 분포하며, 겨울을 지내는 주체인 후막포자는 기주가 없이도 토양내에서 수 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해이다.

 


증상설명

병든 식물체는 생육이 억제되며 아랫 잎이 시들고 밑으로 처진다.
일반적으로 병 진전이 다소 느리고 아랫 잎이 약간 누렇게 변하여 서서히 죽는다.
주로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도관부를 침해한다.
기온이 상승한 낮 동안에 심하게 시들고, 아침과 저녁에는 다소 회복되기도 하는데, 심한 경우 줄기 내부의 도관은 아래 잎자루까지 암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땅가 부위의 줄기에 괴저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진전되면 줄기의 전 둘레가 썩는다.
병든 그루의 과실은 작고 불량해진다.

 

 


방제방법

-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 발생이 심한 토양은 5년 이상 돌려짓기를 해야한다.
- 석회시용으로 토양 산토를 높이고(pH 6.5~7.0) 토양선충이나 토양 미소동물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 미숙퇴비 시용을 금하고 토양 내 염류 농도가 높지 않게 주의한다.
- 토양을 장기간 담수하거나 태양열 소독을 하면 병원균의 밀도를 줄인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플룩사피록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12.9(4.6+8.3)% 미리본 Ⅳ급(저독성) Ⅰ급 5000배 0.75ℓ/㎡ 수확 3일전 2회 다2+다3 (주)팜한농
살균제 플룩사피록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입제 0.8(0.5+0.3)% 미리본 Ⅳ급(저독성) Ⅰ급   4㎏/10a 정식기 1회 다2+다3 (주)팜한농
살균제 플룩사피록사드.메탈락실-엠 액상수화제 8(4+4)% 속시원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1ℓ/㎡ 수확 3일전 3회 다2+가1 (주)팜한농
살균제 메탈락실.테부코나졸 입제 3(1.5+1.5)% 안심탄 Ⅳ급(저독성) Ⅲ급   4㎏/10a 정식기 1회 가1+사1 아그리젠토(주)

10.잎곰팡이병 (葉黴病,Leaf mold)

 

병원체

Fulvia fulv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잎이나 종자 등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되나, 시설재배에서는 병원균이 각종 농자재에 붙어 겨울을 지내기도 한다.
2차 전염은 병반상에 형성된 포자가 전반되어 잎의 기공을 통하여 침입하여 발병된다.
20~25℃ 의 온도조건하에서 피해가 크며, 특히 시설재배지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잎의 표면에 흰색 또는 담회색의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황갈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잎 뒷면에 담갈색의 병반이 형성되는데, 병반상에는 갈색의 곰팡이가 융단처럼 밀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오래되면 균총이 갈색에서 연한 자색으로 변한다.
주로 아래 잎에서 피해가 크며, 심하면 아랫잎 전체가 누렇게되고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을 신속히 제거한다.
- 90%이상의 상대습도가 유지되지 않도록 한다.
- 통풍이 잘되게 하고 밀식하지 않는다.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고, 깨끗한 자재를 사용한다.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플로릴피콕사미드 액상수화제 10% 견인차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비대상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카벤다짐.가스가마이신 수화제 43.45(40+3.45)% 고추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라3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과채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유원에코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60(45+15)% 굳타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나1+사1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균다이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지넥스(주)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균피아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깔사미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마2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이프로디온.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30+40)% 다스린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3+나1 (주)팜한농
살균제 플룩사피록사드.메펜트리플루코나졸 액상수화제 11(5+6)% 동방아그로마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3일전 2회 다2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동방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만코제브 입상수화제 75% 만시지탄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살균제 플루오피람.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42.6(21.3+21.3)% 머큐리슈퍼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2일전 3회 다2+다3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 수화제 60(45+15)% 모도우리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5회 이내 나1+사1 (주)경농
살균제 이프플루페노퀸 액상수화제 20% 미기와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비대상 (주)경농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삼공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한국삼공(주)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새론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샹그리라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인바이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아리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안트라콜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애니팡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2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애니팡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2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어바우트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어바우트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에코렉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2 (주)그린시티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에코렉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마2 (주)그린시티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천지인바이오텍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지오판엠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청양단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이엑스아이디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치호톱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대유
살균제 플루퀸코나졸 수화제 25% 카스텔란 Ⅳ급(저독성) Ⅲ급 3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2회 이내 사1 성보화학(주)
살균제 트리플루미졸 유제 15% 큰 댁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5회 이내 사1 (주)경농
살균제 메파니피림.마이클로뷰타닐 액상수화제 11.5(10+1.5)% 탐스론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라1+사1 (주)경농
살균제 트리플루미졸 수화제 30% 트리후민 Ⅳ급(저독성) Ⅱ급 3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5회 이내 사1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팜한농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팜한농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팜한농프로피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팜한농
살균제 피디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 18.35% 푸사리언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2회 이내 다2 (주)경농
살균제 프로피네브 수화제 70% 프로랭스 Ⅳ급(저독성) Ⅲ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하이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하이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펜뷰코나졸 수화제 12% 흥이나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사1 (주)팜한농

11.잎마름병 (葉枯病,Leaf blight)

 

 

병원체

Corynespora cassiicol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감염은 16~32℃ 에서 일어나며, 병 발생 적온은 20~28℃이다.
이 병은 참깨, 콩 등의 다른 작물에서도 발생한다.

 


증상설명

주로 잎과 잎자루에 발생하며, 간혹 줄기와 과실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수침상의 둥근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누렇게 변하여 말라 죽는다.
잎자루와 줄기에서는 처음에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감염 부위를 둘러싸게 되고, 그 위쪽은 말라 죽게 된다.
과실에서는 처음에 갈색의 원형반점이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로 나타나며, 진전되면 분화구처럼 확대되고, 후에 감염부위가 쪼개지기도 한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퇴비를 시용하여 작물의 초세를 좋게 한다.
- 재배 시 균형시비를 한다.

 


12.잎마름역병 (疫病,Late blight)

 

병원체

Phytophthora infestans

 


발생환경

노지포장에서도 발생되지만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심하다.
기온이 낮고 비가 잦으면 심하게 발생하여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병해로서 1~2주만에 전 포장을 황폐화시키기도 한다.
기주작물이 재배되지 않을 때는 주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등에서 월동하는데 병든 감자 종서가 결정적인 전염원이 될 수 있다.
밤 기온은 낮고, 낮에는 따뜻하여 일교차가 크고 다습할 때 심하게 발생하며, 습도는 91~100%, 온도는 3~26℃사이에서 발병되나, 발병 최적온도는 18~22℃이고, 28℃이상에서는 거의 발병되지 않는다.
이 병은 채소작물중 주로 토마토와 감자에서만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과실, 줄기 등에서 발생한다.
잎에 발생하는 초기증상은 불명확한 수침상의 부정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점점 커져 급속히 넓은 면적으로 번진다.
병든 잎은 연한 녹색이나 갈색으로 썩고, 과습하면 잎 뒷면에 다량의 흰 균사와 유주자낭을 형성하여 이슬처럼 보인다.
병든 잎은 갈색으로 썩고 오그라들면서 말라죽는데, 병발생이 심한 포장은 냉해를 입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린 가지나 줄기 혹은 잎자루 등의 병든 부위는 갈색으로 썩으며, 저온과습하면 흰 균사와 포자가 수 없이 많이 형성된다.
과실의 병든 부위는 흑갈색으로 썩고, 비교적 단단하며 과실전체가 심하게 오그라들기도 한다.
다른 병원균이 이차적으로 침입하게 되면 과실 전체가 물컹하게 썩기도 한다.


방제방법

- 환기를 철저히 하여 시설내가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 잦은 물주기를 하지 않고 물빠짐을 좋게 한다.
- 항상 포장을 청결히 하고 병든 잎이나 줄기는 조기에 제거하여 불에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는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13.잘록병 (立枯病,Damping-off)

 

병원체

Pythium aphanidermatum

 


발생환경

토양습도가 높을 때 병 발생이 심한데, P. aphanidermatum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이나 토양속에서 난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이 균에 의한 발병적온은 28~30℃이다.
T. cucumeris는 무성세대의 균사융합군 AG-4가 병을 일으킨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겨울을 지낸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유묘기에 발생하며, 식물체의 지제부가 잘록하게 썩는다.
병든 묘는 잘 쓰러지고, 후에 말라 죽는다.
이 병은 두 종류의 병원균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Pythium균에 의한 병징은 묘의 지제부가 수침상으로 물러 썩는 증상으로 나타나고, Thanatephorus균에 의한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해 마른 상태로 썩는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한다.
- 시설하우스 재배 시 내부가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비 기주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질소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14.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Gray mold)

 

병원체

Botrytis cinerea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핵이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토양이나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되며, 2차 전염은 기주작물의 병반 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비산하여 이루어진다.
20℃ 전,후의 저온과 다습 조건이 가장 중요한 다 발생 원인이며, 특히 시설재배지에서 피해가 크다.

 


증상설명

과실, 잎, 과경, 잎자루 등 지상부 모든 부위에 발생하나 특히 잎과 과실에서의 발생이 심하다.
잎의 끝부분부터 병반이 시작되는 일이 많으며, 초기에는 갈색의 소형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대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 죽는다.
과실에는 처음 암갈색의 작은 원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과실 전체가 물러 썩는다.
줄기는 꽃잎이나 잎이 떨어져 붙어 있는 부위에서 발병이 시작되는 일이 많은데, 처음에는 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시작되어 심해지면 줄기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여 말라 죽는다.
병든 부위에는 잿빛의 분생포자가 밀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방제방법

- 하우스내 온,습도의 관리를 철저히 조절한다.
- 병든 잔사물은 비닐봉지에 넣어 하우스 밖에서 불태우거나 또는 땅에 묻는다.
- 꽃잎이 과일이나 잎, 줄기에 묻어 있지 않도록 한다.
- 식물체가 너무 도장하지 않도록 시비 조절과 투광에 유의한다.
- 병원균의 밀도증식이 매우 빨라 한번 번지면 방제하기 어려우므로 발생 초기에 집중적으로 방제를 한다.
- 약제사용은 수화제보다 분제 또는 훈연제, 연무제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본 병원균은 액제내성이 매우 잘 생기므로 약제를 살포할때는 계통이 다른 등록약제를 번갈아 살포 해야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플로릴피콕사미드 액상수화제 10% 견인차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전 3회 비대상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깔사미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마2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카벤다짐.메파니피림 액상수화제 30(20+10)% 늘존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라1 (주)경농
살균제 플루오피람.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42.6(21.3+21.3)% 머큐리슈퍼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2일전 3회 다2+다3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입상수화제 20% 모하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마2 미래아그로
살균제 이프플루페노퀸 액상수화제 20% 미기와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비대상 (주)경농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과립훈연제 30% 스미렉스 Ⅳ급(저독성) Ⅲ급   120g/10a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마3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스미렉스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미분제 25% 스미렉스 Ⅳ급(저독성) Ⅲ급   300g/10a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마3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애니팡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2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애니팡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2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에코렉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마2 (주)그린시티
살균제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20% 에코렉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마2 (주)그린시티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과립훈연제 30% 이비엠잿사이트 Ⅳ급(저독성) Ⅲ급   120g/10a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마3 인바이오(주)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인바이오프로파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인바이오(주)
살균제 카벤다짐.폴리옥신디 수화제 51.5(50+1.5)% 차세대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5회 이내 나1+아4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초그만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유원에코사이언스(주)
살균제 펜헥사미드 수화제 50% 텔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사3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펜헥사미드 액상수화제 42% 텔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사3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과립훈연제 30% 팡이큐 Ⅳ급(저독성) Ⅲ급   120g/10a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마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팡이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주)팜한농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팡자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팡청소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메파니피림 수화제 50% 팡파르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라1 (주)경농
살균제 피디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 18.35% 푸사리언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2회 이내 다2 (주)경농
살균제 블라드 액제 20% 프로블라드 Ⅲ급(보통독성) Ⅲ급 1000배 -     미분류 한국삼공(주)
살균제 프로사이미돈 수화제 50% 프로팡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1회 이내 마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플루디옥소닐.이프로디온 과립훈연제 25(15+10)% 피어나 Ⅳ급(저독성) Ⅱ급   150g/10a 수확 3일전 3회 마2+마3 (주)농협케미컬

15.점무늬병 (斑點病,Gray leaf spot)

 

 

병원체

Stemphylium lycopersici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고온,다습한 환경의 시설재배 포장에서 많이 발생하며, 병 증상은 병원균이 감염된 후 5일 이내에 나타난다.

 


증상설명

잎에 회갈색 내지 암갈색의 작은 부정형 반점을 형성한다.
병반은 후에도 그다지 진전되지 않고, 작은 반점으로 남아 있으나, 심하게 감염된 잎은 황색으로 변하면서 마르고 일찍 떨어진다.


방제방법

- 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재배 시 균형시비를 한다.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한다.
- 온실재배 시 내부가 다습하지 않도록 환기를 한다.

 

 


16.줄기끝마름병 (先端壞死病,Top necrosis)

 

 

병원체

Cucumber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N은 오이에서는 약한 모자이크 병징을 일으키는 반면, 토마토에서는 선단괴사를 일으킨다.
병 발생은 토마토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형 전염이 된다.
현재 국내 일부 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잎과 줄기에서 괴저반점이 엽맥간 괴사로 나타나고, 후에 줄기의 위쪽을 따라 올라가면서 긴 괴사를 보인다.
감염 후기에는 선단 전체가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재배한다.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옮겨심는 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2022.06.13 - [병해충정보/채소] - 토마토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2022.06.13 - [분류 전체보기] - 토마토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