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꽃노랑총채벌레 (occidentalis)
목/과명
총채벌레목/총채벌레과
속명
Frankliniella
생태정보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으로, 1993년 9월에 제주도 감귤하우스에서 처음으로 피해가 관찰되었으며, 1995년 말까지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의 총 23개 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현재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시설 원예작물의 주요 해충으로 되었다.
온실 내의 적합한 환경 하에서는 년 10회 이상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은 식물의 조직에 산란하고 알에서 깨어난 약충은 식물체를 가해하면서 성장하여 2령 약충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제1, 제2번데기 기간을 거친 후 성충이 된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18일(25℃)이고, 성충 수명은 60일(20℃)로 오이총채벌레 보다길고, 암컷 한마리당 산란수도 많아 번식력이 뛰어나다.
암컷성충은 교미를 한 것이 교미를 하지 않은 개체보다 생식력이 우수하다.
고온 건조한 환경이 계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예찰의 경우 어린 유충과 성충의 예찰은 작물체의 잎 뒷면을 확대경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백색 또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작물의 상부 20~30㎝ 위에 매달아 놓고서 총채벌레 성충이 끈끈이에 부착하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쉽게 총채벌레 발생을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
주로 꽃봉오리와 어린 잎을 가해한다.
어린 잎은 총채벌레가 가해하였을 때 기형으로 되어 쭈그러진다.
잎에는 은백색 반점이 많이 생기고 심하면 회색∼담갈색 얼룩이 생긴다.
방제방법
오염되지 않은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한랭사를 설치하여 시설내로 성충의 유입을 막는다.
약제에 약한 약충이나 성충은 약제 살포 시 사망률이 높으나 땅속의 번데기는 방제가 어렵다.
정식 전에 전작물의 잔존물, 잡초 등 발생원을 제거하고, 토양소독을 하여 번데기를 죽인다.
끈끈이를 설치하여 유인하여 죽인다.
토양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은색 필름으로 멀칭한다.
시설재배에서 작물재배 후 50℃ 이상으로 5~7일간 밀폐하여 고온으로 죽인다.
2.담배가루이 (tabaci)
목/과명
매미목/가루이과
속명
Bemisia
생태정보
1998년 6월 충북 진천군 시설장미단지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된 담배가루이 B계통은 긴급방제와 타 지역으로 확산방지 노력에 힘입어 2003년까지 충북 진천, 경기 고양 등 일부지역에서만 발생되었다.
그러나, 2004년부터 경남과 전남지방의 일부 토마토 농가에 문제가 되기 시작한 담배가루이 Q계통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2007년 현재 9개도 25시군 12작물에서 발생하고 있다.
담배가루이는 각태 모두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기생하며, 암컷 성충의 수명은 작물에 따라10~24일 정도로서식물의 어린잎에 66~224개(b biotype 32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식물체를 이동, 분산하여 한 곳에서 고착생활을 한다.
1세대 기간은 27℃에서 약 3주, 8℃이하에서는 생장이 정지되며, 야외에서는 연간 3~4세대, 시설 내에서는 10세대 이상 발생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담배가루이는 온실가루이보다 높은 온도를 좋아하며, 암컷 성충은 높은 온도(28~30℃)에서 10~15일 사는 반면, 겨울철에는 1~2개월 살기도 한다.
산란습성으로 온실가루이는 작물 상단 어린잎에 알을 낳으나 담배가루이는 작물 위 아래 구별 없이 작물 전체 잎 뒷면에 산란한다.
따라서 작물 한잎에서 알부터 번데기까지 함께 관찰되기도 한다.
담배가루이의 발생은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예찰을 하면 해충 발생초기에 발생지점과 발생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점착트랩은 황색을 사용하며 작물보다 30㎝ 정도 높은 곳에 매달아 두며, 1주일 이내의 간격으로 조사하고 새로운 트랩을 교체해 준다.
점착트랩에 담배가루이가 1마리 이상 보이면 트랩을 설치한 주변 작물의 잎 뒷면에 담배가루이 성충과 알, 약충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조사하여 방제를 결정한다.
피해정보
담배가루이의 피해는 성충 및 유충이 잎 뒷면에 기생하여 식물체의 즙액을 흡즙하여 작물 생육억제, 잎의 퇴색 위축 또는 낙엽, 수량감소 등의 피해를 주며, 토마토, 파프리카, 가지 등의 과실은 착색이 불규칙하게 된다.
약충이 배설하는 감로는 식물에 그을음병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광합성을 저해하여 과실의 수량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토마토 황화위축병, 담배잎말림병, 토란잎말림병 등 60여 종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제방법
작물을 정식하기 전에 포장내부와 주변의 잡초, 앞작물의 잔재물 등 담배가루이 또는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의 발생원을 모두 제거하여 완전히 깨끗한 상태로 포장을 정리하고 작물재배를 시작해야 한다.
또한 온실에 작물이 아직 정식되지 않았지만 온실 주변 밭두렁에 있는 호박, 고추, 콩, 해바라기 등에 담배가루이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온실 주변의 작물과 잡초를 제거하거나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를 한 후 온실 내 작물을 정식한다.
새로 정식할 묘는 담배가루이가 기생되지 않은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시설재배지에서는 측창, 통풍구 및 출입구에 방충망(16~17mesh)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담배가루이는 온실 입구와 난방기 주변에 정착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이지점에서 예찰을 강화하여 발생이 확인되면 발생초기부터 국부적으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를 한다.
담배가루이는 주로 식물 잎의 뒷면에 서식하므로 잎 뒷면에 약액이 도달하도록 충분히 농약을 살포한다.
담배가루이 알과 유충은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1주일 간격으로 3~4회 연속적으로 약제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담배가루이 Q계통은 B계통과는 달리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일반 가루이류 약제로 방제가 잘되므로 최근 담배가루이 방제약제로 등록된 약제를 사용한다.
담배가루이 천적으로는 지중해이리응애, 담배장님노린재와 같은 포식성 천적과 좀벌류(온실가루이좀벌, 황온좀벌, 담배가루이좀벌) 등의 기생성 천적이 있다.
지중해이리응애는 꽃가루를 먹고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가루이가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파프리카처럼 꽃가루가 많은 작물에서 효과가 높다.
토마토에서는 지중해이리응애는 정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으며, 담배장님노린재가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이지만 담배장님노린재 자체가 토마토 신초부위를 가해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너무 천적밀도가 높아 방제효과보다 작물 피해가 염려될 때에는 농약을 사용하여 이 천적을 죽여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 18.66% | 베리마크 | Ⅳ급(저독성) | Ⅲ급 | 8000배 | 100㎖/주 | 수확 3일 전까지 | 2회 이내 | 28 | (주)팜한농 |
살충제 | 플루피라디퓨론 액제 | 17.09% | 시반토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100㎖/주 | 수확 3일전까지 | 2회 이내 | 4d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아바멕틴.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 10.7(1.2+9.5)% | 완타치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2회 | 6+29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노발루론 유제 | 16(7+9)% | 코모란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15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클로란트라닐리프롤.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 19(4+15)% | 큐어링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1ℓ/㎡ | 수확3일전까지 | 2회 이내 | 28+4a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브로플라닐라이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6.65(4.5+2.15)% | 포르티스브이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2회 | 30+6 | (주)팜한농 |
3.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진다.
성충수명은 암컷은 9.8~11.7일, 수컷은 13.8~15.8일로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노숙유충은 식물체 주변의 토양내에 흙고치를 짖고 번데기가 된다.
피해정보
거의 모든 채소류와 밭작물은 물론 과수, 화훼, 특용작물, 사료작물, 정원수, 잡초, 가로수 등을 가해하며,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군집생활을 하고 2~3령이 되면 분산한다.
발생이 많으면 식물체의 줄기만 남기고 폭식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시설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막는다.
야간에 황색등 설치로 교미를 못하게 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한다.
어린 유충발생기(3령이하)에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유충은 야간에 활동하는 습성이 있어 작물체에 붙어있는 아침이나 저녁에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곤충병원성선충, 또는 곤충기생균을 이용한다.
곤충병원성선충의 살포는 자외선이 없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하고 젖을 정도로 흠뻑 뿌려 주어야 한다.
약제방제시 저항성 개체의 출현이 빨라 방제에 어려움이 있으나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4.대만총채벌레 (intonsa)
목/과명
총채벌레목/총채벌레과
속명
Frankliniella
생태정보
노지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각종 꽃에서 흔히 볼수 있다.
5월 상순부터 발생하여 6월 중순에서 7월 중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으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25℃에서 알 기간은 3일, 유충 기간은 4일, 번데기 기간은 3일로 알에서 우화까지 10일정도 걸리는데 암컷은 50일 정도 살면서 50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와 같이 우리나라 시설원예작물에 크게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전국에 발생한다.
예찰의 경우 어린 유충과 성충의 예찰은 작물체의 잎 뒷면을 확대경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백색 또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작물의 상부 20~30㎝ 위에 매달아 놓고서 총채벌레 성충이 끈끈이에 부착하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쉽게 총채벌레 발생을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
각종 화훼류, 가지과작물, 채소류를 가해하며 특히 딸기의 꽃과 열매를 가해하여 큰 피해를 준다.
토마토, 오크라 등에서는 흰색의 부풀은 증상이 나타나고, 완두 강낭콩 등에서는 불에 타 부풀은 증상이 나타난다.
화훼류에는 꽃잎이 탈색되고 위축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피망, 토마토의 황화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제방법
오염되지 않은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한랭사를 설치하여 시설내로 성충의 유입을 막는다.
약제에 약한 약충이나 성충은 약제 살포시 방제효과가 높으나 땅속의 번데기는 방제가 어렵다.
정식 전에 전작물의 잔존물, 잡초 등 발생원을 제거하고, 토양소독을 하여 번데기를 죽인다.
끈끈이를 설치하여 유인하여 죽인다.
토양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은색 필름으로 멀칭한다.
시설재배에서 작물재배 후 50℃ 이상으로 5~7일간 밀폐하여 고온으로 죽인다.
5.목화진딧물 (gossypii)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Aphis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시설내 박과작물에서 가장 문제되는 해충 중 하나이다.
목화진딧물의 발육은 알(겨울) - 약충(1~4령) - 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주로 목화, 무궁화나무, 석류나무, 부용나무 등의 겨울기주에서 알로 월동을 한다. 월동 후 여름작물로 이동은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은 생활환을 한다. 목화진딧물은 20~25℃에서 약충 기간 6.9~5.0일, 성충 기간 12.3~8.5일, 새끼 낳는 수는 55.4~37.5마리이다. 하루에 낳는 새끼는 4~5마리이다. 실제 야외에서 성충의 수명은 봄, 여름은 17일, 가을은 27일 정도이다.
이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이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10여 세대를 단위생식으로 번식한다.
7~8월부터 한여름에는 밀도가 줄지만 9월부터 다시 번식이 왕성해진다.
한세대 발육기간은 약8일, 생식기간은 19일, 수명은 약 29일 정도이다.
암컷은 70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피해정보
피해가 심하면 작물은 검게 또는 누렇게 변하여 죽는다.
성충이나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뒷면, 순 등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가해를 한다.
진딧물에 의한 작물의 피해는 일차적 흡즙에 의해 탈색, 왜소해질 뿐만 아니라 각종 식물바이러스를 전염시키므로 그 피해는 더 크다.
또한 이들이 배설한 감로는 식물체의 잎을 오염시키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동화작용을 억제시키거나 배설물에 의한 오염으로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방제방법
진딧물은 비가 많이 오면 밀도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가뭄이 지속되면 다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방제조치를 해야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비래해 오는 진딧물을 차단한다.
입제 농약을 정식할 때 구멍을 파고 0.5~2g씩 넣어주거나, 희석제를 살포한다.
약제 살포여부 결정은 진딧물 발생추이를 관찰하여 천적 발생이 없거나, 발생환경이 좋아 지속적으로 밀도 증가가 예상될 때 살포한다.
이와 달리 천적 발생이 많거나 발생환경이 좋지 않아 밀도증가가 멈출 때는 약제방제를 하지 않는다.
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이 시설작물에서 널리 이용된다.
2022.06.14 - [분류 전체보기] - 토마토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병해충정보 > 과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기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4 |
---|---|
토마토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4 |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3 |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0) | 2022.06.13 |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