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토마토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by 투농부 2022. 6. 14.
반응형

6.복숭아혹진딧물 (persic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yzus

 


생태정보

1년에 9~23세대를 경과하며, 복숭아나무, 매실, 자두나무의 겨울눈이나 조피 아래에서 알로 월동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교미 후 11월에 월동하는 알을 낳는다.
시설에서는 가온하고 전등을 켜주면 월동 없이 계속 번식한다.
약충은 1~5령까지 있고, 발육기간은 약 10일이며, 암컷은 죽을 때까지 평균 20일간 새끼를 낳는다.
평균수명은 41일이고, 출산수는 75마리이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설치하고 트랩에 유인하여 잡히는 마릿수를 조사한다.
작물의 잎을 육안으로 직접 조사하여 발생을 조사할 수 있다.
신초나 새잎을 주로 조사하며, 잎 뒷면을 주로 조사한다.
배설물은 그을음으로 나타나 쉽게 발생을 확인 할 수 있다.
녹색개체와 홍색개체가 섞어있으면 복숭아혹진딧물로 1차 판별한다.

 


피해정보

채소작물, 화훼작물, 과수작물 등의 원예작물의 신초나 새로나온 잎의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부위가 생장을 멈춰 세로로 말리고 위축되며, 신초의 신장을 억제하는 일차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병을 전염시켜 큰 피해를 준다.
또한 이들이 배설한 감로는 식물체의 잎을 오염시키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피해를 준다.

 


방제방법

진딧물은 비가 많이 오면 밀도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가뭄이 지속되면 다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방제조치를 해야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비래해 오는 진딧물을 차단한다.
입제 농약을 정식할 때 구멍을 파고 0.5~2g씩 넣어주거나, 희석제를 살포한다.
약제살포여부 결정은 진딧물 발생추이를 관찰하여 천적 발생이 없거나, 발생환경이 좋아 지속적으로 밀도 증가가 예상될 때 살포한다.
이와달리 천적 발생이 많거나 발생환경이 좋지 않아 밀도증가가 멈출때는 약제방제를 하지않는다.
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이 시설작물에서 널리 이용된다.

 

 


 

7.아메리카잎굴파리 (trifolii)

 

 

목/과명

파리목/굴파리과

 


속명

Liriomyza

 


생태정보

성충은 300~400개를 산란하며, 알은 대부분 잎의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다.
알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15℃에서 47~58일, 20℃에서 23~28일, 25℃에서 14~15일, 30℃에서 11~13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든 기주에서 발육기간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발육영점 온도는 알 7℃, 유충 8℃, 번데기 10℃ 이며, 발육상한 온도는 약 35℃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1월 전남광주 광산구 거베라 하우스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유럽으로 부터 화훼류 수입 시 침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노지 월동 여부는 불확실하나, 시설에서는 휴면없이 연중 발생하므로 15회 이상 발생할 수 있다.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

유충은 잎에 구불구불한 굴(터널)을 뚫어 가해하며, 성충은 잎에 붙어 즙을 핥아먹거나 산란하여 잎에 작은 반점을 남기는 피해를 준다.
피해는 국화과(국화, 상추), 가지과(가지, 토마토), 박과(수박, 오이, 참외, 호박, 멜론), 미나리과(셀러리), 쥐손이풀과(거베라) 등에서 나타난다.
유충이 엽육 속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가해하며 피해 흔적이 흰색으로 보인다.
초기 피해는 불규칙하게 도로가 난 모양이나 심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시설재배지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성충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유충의 피해가 없는 건전한 묘를 정식한다.
천적으로 기생벌인 굴파리좀벌, 잎굴파리고치벌이 있다.
이 해충은 잎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생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과실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않기 때문에 피해가 직접 손실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자생 천적의 발생이 많아 심한 발생이 염려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농약사용은 신중히 해야한다.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을 고려하여 약제방제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테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18.18% 바이고 Ⅳ급(저독성) Ⅲ급 5,000배 - 수확 3일전 3회 28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충제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18.66% 베리마크 Ⅳ급(저독성) Ⅲ급 400배 8㎖/주 정식기 1회 이내 28 (주)팜한농
살충제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18.66% 베리마크 Ⅳ급(저독성) Ⅲ급 8000배 100㎖/주 수확 3일 전까지 2회 이내 28 (주)팜한농
살충제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10% 부메랑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5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 10% 아타라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신젠타코리아(주)
살충제 아바멕틴.클로란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6(1.714+4.286)% 아피스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5일전 3회 6+28 아다마코리아(주)
살충제 티오사이클람하이드로젠옥살레이트 수화제 25% 주무기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14 (주)유피엘리미티드코리아
살충제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10% 촌장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5 (주)경농
살충제 클로르페나피르.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8(6+2)% 컷세이퍼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전 2회 이내 13+6 성보화학(주)
살충제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입상수화제 5% 킹팜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2일전 3회 6 미래아그로
살충제 브로플라닐라이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6.65(4.5+2.15)% 포르티스브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전 2회 이내 30+6 (주)팜한농

 


8.온실가루이 (vaporariorum)

 

목/과명

매미목/가루이과

 


속명

Trialeurodes

 


생태정보

성충의 몸길이는 1.4㎜로서 작은 파리 모양이고 몸색은 옅은 황색이지만 몸표면이 흰왁스가루로 덮혀 흰색을 띤다.
알에서 성충까지 약 3∼4주가 소요되며, 성충수명의 경우 암컷은 17.7∼30일이고, 수컷은 13.9∼24.5일이고, 암컷은 1일 평균 8개씩 산란 하여 150∼300개를 낳는다.
성충은 위쪽의 어린 잎에 알을 낳으며,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여 잎 뒷면에 서식하고, 거의 고착성인 유충과 용은 중간 잎이나 아래 잎에 집중 분포한다.
남부 내륙지방에서 온실가루이의 연중 발생세대수는 노지에서 7세대를 경과하나 가온 시설이 있는 온실에서는 연 10회 이상 발생한다.
예찰은 식물체를 흔들어서 하얀 성충이 날아가는 가를 관찰하여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확대경으로 잎 뒷면을 살펴보면 납작하게 생긴 약충과 번데기가 붙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황색끈끈이를 매달아 정식 후부터 5일 간격으로 유인되어 잡힌 성충수를 기록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구침으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어 식물체의 잎과 새순의 생장이 저해 되거나 퇴색되며, 발생이 많을 경우에는 시들음 현상이 나타난다.
해충의 배설물에 의해 그을음병이 발생되어 광합성을 저해하며 황화병 등 여러 가지 바이러스 병을 옮긴다.


방제방법

온실 내부나 외부에 잡초에 발생한 온실가루이가 침입하여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물 주변 잡초를 없애거나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작물 이어짓기를 하면 전 작물에 발생한 온실가루이가 후 작물로 이동하여 계속 발생하므로 수확 후 방제를 잘 해야 한다.
온실의 경우 측창과 환기구에 망사를 설치한다.
유묘를 구입할 때는 잎 뒷면을 잘 살펴보아 약충이나 성충이 붙어 있는지 확인하여 건전한 유묘를 구입하도록 한다.
생물적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천적은 10여종이 있으며, 이 중 온실가루이의 천적으로 온실가루이좀벌이 주로 이용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뷰프로페진.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17(12+5)% 깍지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16+18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펜프로파트린 과립훈연제 10% 다니톨 Ⅳ급(저독성) Ⅰ급   200g/10a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3a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펜프로파트린 유제 5% 다니톨 Ⅲ급(보통독성) Ⅰ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3a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펜프로파트린 유제 5% 다이토나 Ⅲ급(보통독성) Ⅰ급 5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3a 인바이오(주)
살충제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10% 부메랑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5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포스티아제이트 입제 5% 선충탄 Ⅳ급(저독성) Ⅲ급   6㎏/10a 정식기 1회 이내 1b (주)팜한농
살충제 피리프록시펜 유제 10% 신기루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7c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 10% 아타라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신젠타코리아(주)
살충제 플로니카미드.티아클로프리드 입상수화제 15(10+5)% 재규어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일전까지 2회 이내 29+4a 인바이오(주)
살충제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10% 촌장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일 전까지 3회 이내 5 (주)경농

9.왕담배나방 (armige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Helicoverpa

 


생태정보

년간 발생세대수는 2∼3세대로 번데기 상태로 땅속에서 지낸 후 5∼6월에 우화하여 10월까지 피해를 준다.
알은 잎당 1개씩 산발적으로 낳지만 때로 5∼10개를 집단으로 낳기도 하며, 500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산란∼부화까지의 기간은 실온에서 약 3∼4일, 알∼우화까지는 17∼20일 정도가 소요되며, 유충 기간은 25℃에서 19~26일 정도이며, 다자란 유충은 땅속 2~10㎝ 깊이에서 번데기가 된다.
성충 수명은 10∼12일이다.
예찰은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실시한다.
피해식물이나 유충의 배설물을 관찰하여 발생확인할 수 있다.


피해정보

해충은 광식성으로 채소, 과수, 화훼류에 널리 가해한다.
담배, 감자, 목화, 콩, 녹두, 땅콩, 토마토 등의 꽃잎이나 새잎을 가해하며, 감귤원에서는 5∼9월에 주로 새순의 잎을 갉아먹으며 과실에서는 유과기로부터 수확 시까지 과실에 구멍을 뚫으면서 먹는다.


방제방법

포장에서 각 충태가 중첩되어 발생하고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곧바로 과실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약제살포 적기를 포착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인 약제살포 적기는 알에서 깨어난 어린유충기 이다.
성충은 알을 새잎이나 신초에 산란하므로 적심한 신초나 잎은 수거하여 외부에 버리거나 태워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브로플라닐라이드 유제 5% 제라진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2일전 2회 30 한국삼공(주)

10.토마토녹응애 (lycopersici)

 

목/과명

응애/혹응애과

 


속명

Aculops

 

생태정보

토마토녹응애는 혹응애과이며 기주식물에 특수하게 적응하여 다른 혹응애와 달리 2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암컷의 모양은 앞부분이 넓고 뒤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뿔모양이고 색은 약간 크림색이며 암컷 길이는 약 134.9㎛, 폭은 45㎛ 정도이다.
주둥이는 짧고 굽어있으며(15.2㎛) 돌출되어 있고, 암컷의 생식기에는 10개의 주름이 있음
다리는 2쌍으로 끝 쪽에 1개의 발톱이 있는데, 발톱은 끝이 약간 넓고 둥글며 굽은 막대기 모양이고 길이가 7.6㎛ 정도이다.

 열대지역의 원산으로 월동태가 없으며 겨울이 추운 지역에서는 몇 시간 내에 죽습니다


피해정보

응애가 식물 세포의 내용물을 흡입하며 손상이 발생합니다. 

피해를 입은 잎은 약간 말리게 되며 아래쪽에 은빛 광택이 생깁니다. 

나중에 이 잎들은 갈색으로 변하며 부서집니다. 피해가 심한 토마토 잎과 줄기는 털(엽모)이 탈락합니다. 

영향을 받은 줄기는 녹슨 갈색으로 변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부러질 수 있습니다. 

열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토마토에서 이런 일이 발생하면 과피는 거칠어지고 적갈색이 되고 열매의 형태 자체가 변형되기도 합니다. 

특히 고온에서는 개체수 증가가 빠르고 영향을 받은 잎이 빨리 마르는 경우 상당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은 식물 하부에 먼저 관찰되며 응애가 올라옴에 따라 손상도 위쪽에서 발견됩니다.

토마토 녹응애는 길이 135㎛ 정도의 미소한 해충으로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워 병해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고 토마토 잎, 줄기, 열매에 녹이 낀 것처럼 보일 경우 토마토 녹응애로 진단합니다.


방제방법

-방제시 Fenazaquin(상표명: 보라매, 응애단) 및 Cypermethrin(상표명: 피레스, 아리보, 푸른꿈) 살포
   


2022.06.13 - [병해충정보/채소] - 토마토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