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by 투농부 2022. 6. 13.
반응형

 

 

17.줄기무름병 (莖軟腐病,Bacterial stem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subsp.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1차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줄기에 발생하며, 수확기에 식물이 시들기 시작하면서 물러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진전되면 줄기의 속(pith)이 검게 썩어 공동(空洞)이 생긴다.
외부에는 수침상의 병반이 보이고, 악취가 난다.


방제방법

- 이 병원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좋게 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18.줄기속썩음병 (莖髓腐病,Pith necrosis)

 

병원체

Pseudomonas corrugata

 


발생환경

저온,다습, 질소비료를 많이 시용한 포장에서 많이 발생하나, 국내에서의 발생생태 및 전염경로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병든 식물체의 아래쪽 잎이 누렇게되며 시들고, 진전되면 식물체의 위쪽 잎도 누렇게되어 시드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보통 줄기 아래쪽에서부터 흑색의 괴사 병반이 발생하며, 위쪽으로 진전된다.
감염된 줄기의 표면에는 회갈색 내지 암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
줄기를 종단해보면 속이 검게 변해 있으며, 유관속은 암갈색으로 변해 있다.
줄기의 감염 부위에는 많은 부정근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겨울철 비닐하우스 재배시 실내 습도를 낮춘다.
- 질소 시비를 적절하게 한다.

 

 


19.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병원체

Colletotrichum coccodes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과실에 대한 감염은 유과에서부터 이루어지나 병징은 성숙기 혹은 수확 후에 나타난다.
따라서 시설재배 시 일찍 수확하는 포장에서는 이 병이 관찰되지 않고, 노지포장의 늦은 수확기에 발생한다.
병원균은 토마토를 포함한 가지과 작물의 뿌리에 검은점뿌리썩음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증상설명

주로 성숙기의 과실에 발생하며, 간혹 줄기와 과경, 잎에서도 발생한다.
과실에서는 성숙과에서 발생하는데, 처음에는 표면에 수침상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의 둥근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에는 흑색의 작은 소립점이 생겨 겹무늬를 나타내고, 후에 담황색 내지 적황색의 포자덩어리가 형성된다.
병든 과실은 후에 전체적으로 물러 썩게 된다.
줄기와 과경에서는 갈색 내지 암갈색 원형 반점으로 나타나고, 잎에서는 작고 둥근 갈색 반점으로 나타나는데,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띠고, 그다지 진전되지 않는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든 과실은 일찍 제거한다.

 

 


20.풋마름병 (靑枯病,Bacterial wilt)

 

병원체

Ralstonia solanacea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토양내에서 수 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병든 식물체의 잔재속에서 겨울을 지낸다.
주로 식물의 지하부에 생겨난 상처를 통해 침입하지만, 간혹 지상부의 조직에 생긴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병원균은 농기구, 곤충 및 인축에 의해 전반된다.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격히 발생한다.

 


증상설명

감염된 식물체의 지상부는 푸른 상태로 시들고, 진전되면 식물체 전체가 변색되어 말라죽는다.
병든 줄기의 내부는 암갈색으로 변해 있다.


방제방법

- 농작업에 사용하는 기구는 반드시 소독하여 사용한다.
- 가지과작물이 아닌 작물을 선택하여 4-5년간 돌려짓기를 하면, 토양 속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게 되어 병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이미 발병된 포장은 병원균이 물 속에서 오래 살지 못하기 때문에, 벼를 재배하면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다.
- 필요시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21.황화잎말림바이러스

 

 

병원체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발생환경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를 옮기는 담배가루이(Q계통)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토마토 및 잡초의 즙액을 빨아 먹는 과정에서 이 바이러스를 충체내에 보독하여 건전 기주식물에 바이러스를 전염시킨다. 

하지만 TYLCV는 즙액, 종자 및 접촉에 의해서 전염되지 않는다. 

 


증상설명

어린 토마토 식물체가 감염되면 심한 위축과 함께 잎이 작고 뒤틀리게 되며, 크게 자란 토마토에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에는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잎이 노랗게 변색이 되며 안으로 굽어지는 잎말림 증상을 보인다. 토마토 줄기에서는 절간 신장이 짧게 되어 식물체는 위축된다

.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가장 무서운 증상은 꽃이 피지 않거나 꽃이 피어도 과실의 맺지 못하고 토마토 과실이 일부 맺더라도 상품 생산이 불가능하다. 

토마토 하우스 주변의 질경이, 쑥 등 잡초에 이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을 지라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뚜렷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방제방법

-병을 전염시키는 해충의 세대 기간이 짧아 연간 발생횟수가 많고 증식률이 높으므로 발생초기에 방제한다.

-육묘 시 철저한 관리로 병의 확산 예방 한다.

 


22.흰가루병 (白粉病,Powdery mildew)

 

 

발생환경

노지재배에서는 피해가 매우 적으나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한다.
온도가 서늘한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하며, 다습한 조건보다는 건조한 환경하에서 피해가 크다.
분생포자 또는 균사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되며, 그 후의 발병은 분생포자가 공기전염되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발병 적온은 25~28℃이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며, 심하면 잎자루나 과경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흰가루가 불규칙한 모양으로 점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잎 전체가 흰가루로 뒤 덮힌다.
심하게 발생하면 잎의 피해부가 누렇게 되고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일찍 제거 소각 또는 묻는다.
- 밀식을 피하고 잎이 너무 무성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하우스 내 환기 시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 병원균의 밀도 증가가 빠르므로 발병 초기에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플로릴피콕사미드 액상수화제 10% 견인차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전 3회 비대상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메트라페논 액상수화제 25.2% 비반도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미분류 (주)팜한농

23.흰무늬병 (白斑病,Septoria leaf spot)

 

 

병원체

Septoria lycopersic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병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병원균의 감염적온은 20~25℃이고, 습도가 높은 경우에 병 발생이 심하다.
노지포장에서는 주로 여름철 장마기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잎자루, 줄기, 가지, 과경에 발생한다.
발생 초기에는 식물체의 아래쪽에서부터 병 증상이 나타나고, 위쪽으로 진전되어 올라간다.
감염 부위에는 갈색 내지 암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병반의 내부는 회색으로 변하며, 그 곳에 흑색의 소립점이 보인다.
심하게 병든 잎은 황색으로 변하여 마르고 일찍 떨어진다.
심하게 병든 가지는 황색으로 변해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재배 시 균형시비를 한다.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한다.
- 온실재배 시 내부가 다습하지 않도록 환기를 한다.

 

 


2022.06.13 - [병해충정보/채소] - 토마토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2022.06.13 - [병해충정보/밭작물] - 토마토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