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토마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by 투농부 2022. 6. 13.
반응형

 

 

1.검은점뿌리썩음병 (黑點根腐病,Black dot root rot)

 

 

병원체

Colletotrichum coccodes (Wallr.) Hughes

 


발생환경

병든 부위 혹은 토양에서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월동후, 전염원이 된다.
주로 시설재배 포장에서 수확기에 이르러 병징이 나타난다.

 


증상설명

감염된 식물체의 지상부는 초기에 푸른 상태로 약간 시들다가 계속 진전되면 전체적으로 누렇게 변하여 시들고, 후에 말라죽게 된다.
병든 식물체의 뿌리는 콜크화되어 썩고, 감염부위에는 검은 소립의 균핵이 많이 붙어 있다.
병든 뿌리의 심부와 표피층은 쉽게 분리되고, 부서진다.


방제방법

-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가지과 이외의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병든 그루는 뽑아내서 불에 태운다.
- 병이 발생한 포장의 토양이 다른 포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2.겹무늬병 (輪紋病,Early blight)

 

병원체

Alternar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시설재배나 노지재배 시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한다.
이 병은 토마토 이외의 다른 가지과 작물에서도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줄기, 과실에 발생한다.
감염 부위에는 처음에 타원형의 갈색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암갈색의 겹무늬 반점으로 확대된다.
병든 부위는 마른 상태로 썩으며 겹무늬가 생기고, 후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검은 색을 띠게 된다.
줄기의 감염 부위 위쪽으로는 시들고 말라 죽는다.
병든 과실은 검게 썩어 상품가치를 잃게 된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은 일찍 제거하고, 발생상습지 포장은 돌려짓기한다.
- 조생종을 재배하고, 종자소독을 한다.
- 충분히 비료를 주도록 한다.
- 지주목을 새워 비,바람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해주며,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한다.

 

 

 


3.궤양병 (潰瘍病,Bacterial canker)

 

 

병원체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내에서 생존하며, 보통 2년 6개월간 생존할 수 있다.
병든 열매에서 채종한 것은 30~53%의 발병율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토양중에서도 2년 이상 생존하며, 2차전염은 비바람, 해충 등에 의해 일어난다.
뿌리의 상처, 적아, 적심 등에 의해서도 잘 전염된다.
발병은 25~27℃에서 잘 되고, 고온인 한여름에는 거의 진전되지 않는다.
최근 외국에서 수입한 품종을 재배하는 시설재배 포장에서 병발생이 확인되었다.

 


증상설명

잎, 줄기, 열매에 발생한다.
잎자루에 직경 1~2㎜크기의 담갈색 내지 황갈색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궤양증상으로 나타난다.
잎은 가장자리부터 말라 시들고, 엽맥 사이는 황변하며, 후에 갈색으로 변해 마른다.
줄기의 표면이 감염되면 표피가 갈라지고, 궤양증상이 나타난다.
열매에는 수침상의 점무늬가 형성되어 약간 돌출한 갈색의 궤양증상으로 나타난다.
줄기의 유관속이 감염되면 그루 전체가 시들어 죽는다.
병든 줄기를 가로로 잘라보면 유관속이 갈색으로 변해 있으며, 악취는 나지 않는다.


방제방법

- 적아 또는 적심 등 식물에 상처를 줄 수 있는 작업은 이슬이 있는 오전은 하지않는다.
- 작업기구는 뜨거운 물 등으로 소독한다.
-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며, 종자소독하여 사용한다.
- 발병된 밭은 다른 작물로 1년 이상 돌려짓기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옥솔린산 입상수화제 20% 배차엔진품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전 3회 가4 (주)팜한농
살균제 옥솔린산.발리다마이신에이 입상수화제 20(10+10)% 세균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전 3회 가4+아3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20% 티제이농용신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라4 (주)태준아그로텍

4.균핵병 (菌核病,Sclerotinia rot)

 

병원체

Sclerotinia sclerotio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거나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줄기와 가지, 잎과 잎자루, 과실과 과경에 발생한다.
줄기와 가지에는 처음에 감염 부위가 수침상으로 변하고, 진전되면 회색 내지 회갈색의 병반이 형성되어 감염 부위를 중심으로 위, 아래로 확대된다.
병든 부위는 마른 상태로 썩고, 그 내부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을 형성한다.
감염된 그루는 후에 시들고 말라 죽는다.
감염된 잎과 잎자루는 암갈색으로 물러 썩고, 흰 균사가 그 위에서 자라다가 균핵을 형성한다.
과실과 과경에서는 주로 꼭지 부위에서부터 감염이 이루어져 그곳에 흰 균사가 자라며 진전되면 과실 전체가 물러 썩고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아주심기 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물가두기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물가두기를 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5.덤불위축바이러스

 

병원체

Tomato bushy stunt virus

 


발생환경

즙액에 의해 쉽게 전염되며 종자 및  토양전염(매개충은 알려지지 않음) 
발생한 농가의 포장에 식물 잔재물에 남아있는 바이러스가 토양을 전염시켜 계속적으로 병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감염된 잎은 아래쪽으로 말리고 위축되며 뒤틀리는 증상을 보임        
 -감염된 과실은 크기가 작고 착색이 더디며 뚜렷한 윤문형 반점 및 기형 증상이 나타나고, 광합성 저하 등으로 토마토의 경우 80%까지 수확량이 감소됨


방제방법

-자연 발병 기주인 토마토, 고추 등 가지과 작물을 연속재배하지 말아야 하며, 순 제거 작업 등 농작업 할 때에 즙액전염이 쉽게 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또한, 토마토덤불위축바이러스는 종자 전염하므로 외국산 토마토 종자를 사용할 경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
-일단 발생한 농가에서는 토양소독, 이병주 제거 등 재배 초기부터 포장 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6.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Cucumber mosaic virus

 


발생환경

전국적으로 발병율은 일반 토마토에서는 3.3%, 방울 토마토에서는 1.7%로 전체적으로는 낮은 편이다.
그러나, 지역에 따른 차이가 많아 안강지역에서는 63%까지 감염된 경우도 있었다.
일반 토마토에는 CMV와 TMV 및 ToMV가 주요 바이러스인 것에 반해, 방울 토마토에서는 PepMoV와 ToMV만 감염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MV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온대지역에 발생이 많다.
우리 나라에서도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각종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PVX는 즙액전염 또는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이 된다.
접촉전염은 잎이나 줄기 접촉뿐만 아니라 뿌리 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PVX는 진딧물에 의하여 매개되지 않으나, 직시목에 속하는 곤충과 진균(Synchyrium endoticum)에 의하여도 전염되기도 한다.
자연 상태에서 감염이 되는 기주로는 고추, 담배, 감자, 토마토 등이다.
PepMoV를 자연상태에서 전염시키는 것은 진딧물이다.
PepMoV는 비영속형전염 바이러스로서 충체내 잠복기간이 없다.
또한 바이러스를 획득한 보독충도 단기간 안에 바이러스의 전염력을 잃는다.
자연상태에서 감염되는 것은 담배, 고추, 감자 등이다.
TMV는 종자전염이 되고, 연작지 토양내 병든 식물의 유체 등도 1차 전염원으로 중요하다.
TMV는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는 것이 아니고, 접촉전염이 되는데 자연감염 기주가 전염원으로 주위에 있으면 발병이 잘 된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기주범위가 넓어서 가지과, 국화과, 콩과 등 쌍자엽 식물을 주로 하여 22과 200종 이상 침해한다.
특히 토마토, 피만, 고추, 담배가 주로 발병되는 작물이다.

 


증상설명

4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된다.
CMV에 감염된 잎에서는 작고 많은 황색 반점과 모자이크 및 고사리잎으로 나타나고, 간혹 위축과 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PepMoV에 의한 증상은 방울토마토의 잎에 황색의 모자이크 및 괴저윤문으로 나타나며, 줄기에서는 괴사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TMV에 의한 증상은 잎에 황색의 모자이크로 나타나며, 진전되면 잎이 기형이 되고, 일부가 가늘어진다.
품종에 따라서는 새싹의 괴사나 줄기 및 과실의 괴저병반으로 나타난다.
ToMV에 의한 증상은 잎에서는 모자이크로, 줄기에서는 얼룩줄무늬로 나타나며 과실의 표면에는 괴저성의 윤문반점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CMV 방제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올멱심기 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 PepMoV 방제 -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식물인 가지과, 배추과 등을 주위에 재배하지 않는다.
- 자연 발병 기주인 담배, 고추, 감자 등을 연속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재배한다.
○ TMV 및 ToMV 방제 - 고추와 토마토를 연속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한 후 파종한다.
- 오염 토양, 옷, 손, 농기구들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 옮겨심기, 눈따기, 수확 등 작업 시에 전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손을 닦아야 한다 

- 전염원으로부터 격리된 지역에서 재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7.반점위조바이러스-원형반점병 (輪紋病,)

병원체

Tomato spotted wilt virus

 

 

발생환경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1915년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처음 발생되어 1920년에는 호주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세네갈, 인디아, 스페인, 브라질 등 거의 세계 전역에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대부분 시설재배포장에서 발생을 하였지만, 2008년부터 충남 예산, 전남 영광 지역 등 노지재배 고추에서도 큰 피해를 주었고, 각 포장 단위에서 마을 단위로 확산되어 대발생하는 새로운 양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종자 및 접촉 전염은 하지 않으며, 즙액전염 및 총채벌레에 의한 충개전염이 된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총채벌레에 의해 영속전염을 하며, 매개충인 총채벌레는 세계적으로는 6종이 보고 되었으며, 국내는 꽃노랑총채벌레 등 4종이 국외에서 유입되어 서식하고 있다.
또한 총채벌레는 토양 중에서 번데기 및 성충 형태로 겨울기간 중에 존재하므로, 시설재배의 경우 전염원이 늘 만연해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보고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기주식물은 고추, 토마토, 감자, 국화, 콩, 땅콩, 알타리무 등 25 종의 작물에서 발생을 하며, 중간기주로는 미국자리공, 별꽃, 쇠별꽃, 큰메꽃, 까마중, 명아주, 털쇠무릎, 계요등, 쇠비름, 박주가리 등 13종이 보고되어 있다.

 


증상설명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에 감염된 작물체는 신초부위가 위축 또는 괴사되고 심하면 작물이 고사하게 되며, 이병된 과일은 원형반문이 나타나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가 전혀 없는 치명적인 병이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과채류 등 세계적으로 860여종의 식물에서 괴사, 생육저하, 품질퇴화, 생산량 감소 등을 유발하지만, 일반적으로 매개충이 가해한 부위에서 퇴록과 괴사 병반을 일으키거나 윤문모양의 반점, 줄모양 병반, 위조, 왜소, 얼룩, 줄기 괴사 등의 병징을 보이지만, 병징의 발현 양상은 기주, 감염 시기 및 온도 등 주변의 환경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방제방법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는 자가 육묘 농가뿐만 아니라 육묘장에서도 발생하여 감염된 묘가 전국적으로 판매되어 전국적 발생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발생지역간 육묘 이동을 최소화하고, 건전 종자 이용 및 육묘의 바이러스 검정이 필요하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 주요 매개충인 꽃노랑총채벌레 방제를 위하여 발생초기부터 전용약제를 사용하여 철저하게 방제하여야 한다.

 


8.뿌리역병 (疫病,Phytophthora root rot)

 

 

병원체

Phytophthora megasperma

 


발생환경

토마토 뿌리썩음을 일으키는 역병균은 3종으로 이들 모두 크로미스타(Chromista)계의 난균문에 속하며, 이들 중 고추 역병균인 P. capsici의 병원성이 가장 강하다.
병원균은 물을 매우 좋아하는 반 수생균으로 물속에서 유주자낭을 쉽게 형성하고 여기서 유출된 유주자는 2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어 물 속을 자유롭게 유영하며 전반된다.
육묘상에서부터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시설재배에서는 연중 발생된다.
노지에서는 6월 초순부터 발생되며, 장마기에 주로 전반되어 8, 9월에 발생이 심하다.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고 포장이 침수되면 병 발생이 조장된다.
병원균은 종자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낸 후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P. capsici와 P. drechsleri는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고 매우 넓은 기주를 가지고 있다.
P. capsici는 거의 모든 가지과와 박과 채소를 침해하며, P. drechsleri는 주로 박과 작물과 약초류를 침해한다.
P. megasperma는 국내 일부 지역에서만 발생되었으며 토마토에 대한 병원성도 다른 두 균에 비해 매우 미약하다.

 


증상설명

유묘기부터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주로 뿌리와 땅가 줄기부위에 발생되지만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올라 열매 등의 지상부를 침해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3종의 역병균이 토마토 뿌리썩음 역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균 종류별 재배 품종별 병 증상은 매우 유사하다.
유묘기에 감염되면 그루 전체가 심하게 시들고 곧 죽으며 생육 중기나 후기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아랫잎부터 약간 누렇게되어 시들고 말라 죽는다.
병든 그루의 땅가 줄기와 굵은 뿌리는 수침상으로 썩으며 껍질을 벗겨 보면 줄기 내부가 연한 갈색이나 암갈색으로 썩어 있다.
간혹 지표면 가까이에 매달린 과실에도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나 회갈색의 큰 원형병반으로 썩으며 다습한 환경에서 흰 곰팡이 균사체와 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작물이 재배되지 않은 건전토양으로 육묘한다.
- 토양이 오랜기간 과습하거나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고 물빼기를 철저히 한다.
- 병든 포기는 뿌리주변 흙과 함께 조기에 제거하여 포장 밖으로 버리거나 땅 속 깊이 묻고, 등록약제를 병든포기 주변 토양에 흠뻑 관주한다.
- 역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3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2022.06.13 - [병해충정보/밭작물] - 토마토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2022.06.13 - [분류 전체보기] - 토마토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