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131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목차 7.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알은 덩어리로 200~300개씩 낳으며, 알의 모양은 둥근 모양이지만 약간 납작하고 길이는 0.6㎜ 정도이다. 피해정보 주로 사과 잎 뒷면에 난괴(알덩어리)로 산란하며, 부화한 어린 유충이 잎 뒷면 부위를 식해하여 잎 표피만 남기고 가해하거나, 봉지 씌운 과실에 들어가서 식해하여 피해를 준다. 방제방법 관행방제 사과원에서는 방제가 필요할 정도로 다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3령 이후는 대부분 지면 잡초로 내려와서 주위의 잡풀을 가해한다. 3령 이후는 방제 효과가 낮기 때문에 다 발생하여 문제가 될 경우는 어린 유충시기에 방제해야 한다. 8.대마도줄풍뎅이 (sieversi) 목/과명 딱정벌레목/풍뎅이과.. 2022. 6. 21.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목차 1.가루깍지벌레 (comstocki) 목/과명 매미목/가루깍지벌레과 속명 Pseudococcus 생태정보 연 3회 발생하며 백색 납질물로 덮인 알 덩어리로 거친 나무껍질 속이나 굵은 가지를 잘라냈을 때 잘 아물지 않은 곳, 기타 간극에서 월동하는데 일부는 암컷 약충 또는 성충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제1회 발생은 6월, 제2회 발생은 8월 상순, 제3회 발생은 9월~10월이며, 제2회 발생하는 약충부터 봉지 속으로 침입하여 가해한다. 피해정보 암컷성충은 몸길이가 4㎜내외의 타원형으로 전체가 흰가루로 덮혀 있다. 기주범위가 넓으며 대부분의 과수에서 발생이 많다. 과총부근의 단가지, 지간의 터진 틈, 과실의 꽃자리 부근 등에 기생하여 흡즙한다. 봉지씌운 과실에 주로 피해가 많고, 피해과실은 흡즙부위가 움.. 2022. 6. 21.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5편 목차 27.푸른곰팡이병 (靑黴病,Blue mold, Penicillium rot) 병원체 Penicillium expansum 발생환경 과점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며, 환경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저장 중이나 운송 도중에 피해가 크다. 증상설명 저장중인 과일에 많이 발생하고, 일반포장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담갈색의 소형 반점이 생기고, 점차 진전되면 병반상에 백색의 균사가 점점이 형성된다. 오래되면 병반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청색으로 변하고, 과실전체가 부패한다. 방제방법 - 과실 수확 시 조심하여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 과실 저장고는 될 수 있는 한 저온으로 유지하고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공기 습도가 90%를 넘는 경우는 부패과의 발생이 많으므로 환기에 ..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목차 21.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Gray mold) 병원체 Botrytis cinerea 발생환경 이 병원균은 분생포자나 균핵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나 토양에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되며, 주로 비,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전파된다. 사과잎에서 병 발생은 6~7월경과 9~10월경 비가 자주 오고 기후가 서늘한 지역에서 다소 발생하나 피해율은 0.1%미만 정도로 아주 경미하며, 생육 중의 과실에 발병되는 일은 거의 없다. 증상설명 잎, 과실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과실이나 잎에 담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 점차 커지면서 보통 직경 1~2㎝의 병반을 형성하나, 크게는 직경 3~4㎝의 대형 병반을 형성하기도 한다. 잎의 둘레 혹은 끝부분에서 발병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하면 낙엽이 되는 수도 있다. 과..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목차 15.붉은별무늬병 (赤星病,Cedar apple rust) 병원체 Gymnosporangium yamadae 발생환경 사과나무 잎 뒷면에서 9~10월에 형성된 녹포자는 형성 직후 발아하지 않고 겨울을 지낸 후 봄에 향나무에 침입한다. 그 해 여름을 지낸 후 병반을 형성하고 그 다음 해 봄 3~5월에 동포자퇴가 형성된다. 겨울포자퇴는 4~5월 강우에 부풀어 담포자가 형성되고 바람에 의해 비산되며 비산거리는 1㎞ 내외에 달한다. 비산된 담포자는 사과나무에 침입, 발병하여 피해를 주고 다시 소생자와 녹포자를 형성한다. 향나무에서의 생활은 약 21개월이 되며 사과나무에서는 3개월로서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병이 해마다 발생하는 것은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진 병원균이 서로 엇갈려 발생하기 때문..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목차 8.그을음병 (煤病,Sooty blotch) 병원체 Gloeodes pomigena 발생환경 사과와 배를 재배하는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며 22종의 식물에 기생성이 있고 비가 많은 조건하에서 특히 6~7월에 일조시간이 부족할 때 많이 발생한다. 그을음병은 봄에 포자를 형성하며 강우에 의해 포자가 분산되는 과실의 감염은 빠른 경우 낙화 2~3주부터 시작되며, 최적 조건하에서 12~18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되며 포장조건에서는 20~25일의 잠복기간이 소요된다.그을음병의 발생시기는 6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인데 봄과 가을에 발생이 많고 특히 이 기간에 기온이 낮고 강우가 잦으면 발생이 많아지며, 여름의 고온 기간에는 발생이 적다. 증상설명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표면에 흑녹색 내지 흑.. 2022. 6. 20.
사과 주요 병 TOP3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목차 1.가지검은마름병 병원체 Erwinia pyrifoliae 증상설명 꽃 : 물에 데친 것 같아서 후에 갈변하여 꽃자루로 번지며, 이병된 꽃자루는 잘 떨어지지 않음. 유과 : 물에 데친 것 같이 되며, 진한 갈색으로 변하며 표면에 진물이 생김. 과총 : 꽃 하나 또는 전체가 갈변하여 죽으며 진물이 생겨 아래 가지로 병반이 번짐. 신초 : 갈색으로 변하여 진물이 생긴다. 진물은 아침에 생겨 햇빛이 나면 말라버리나 자세히 보면 흔적을 볼 수 있음. 잎 : 기공이나 상처로 침입하여 처음에는 잎자루에서 엽맥을 따라 갈색 괴사반점이 나타나며 중간 엽맥이나 엽병으로 번져 진한 갈색의 병반을 형성함. 줄기 : 수침상으로 되어 번지며 진물이 흘러내리고, 오래된 병반은 거북등처럼 갈라짐. 방제방법 (1) 발생과원 ○.. 2022.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