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촉성재배란 보통 생육기때 가온재배하고 수확기에 보통재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모주정식
❍무병 건전묘선발(바이러스, 시들음병, 탄저병, 잎선충 등)
❍모주포선정
- 처녀지
- 토양소독, 윤작
❍모주정식 : 4상~5상
■ 자묘육성
❍건전자묘 확보
- 건조시 관수
- 자묘의 배치 : 10×10cm
- 자묘발생시 추비시용
- 질소, 칼리 각 2kg
- 액비로 2~3회 분시
■ 꽃눈분화 촉진
<촉성재배시 해당>
❍저온단일 처리
- 야냉육묘
- 고랭지 육묘
❍C/N율 향상
- 포트육묘
- 육묘 중 단근
- 추비중단
■ 정식
❍정식시기
- 화아분화후 정식
❍정식후 활착 촉진
- 엽의 전개촉진
- 관수
❍정식요령
- 밀도(9,000주/10a)
- 관부가 반 묻히도록
■ 하우스 관리
❍보온시기
- 액화방 분화후
- 하우스 밤 온도 5℃ 기준 점차적 보온
❍하우스온도 관리
- 보온초기 고온관리
-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점차 낮춤
❍멀칭
- 보온직후 비닐피복
■ 재배적 특성
학명 | Fragaria grandiflora EHRH |
분류 | 장미과 |
생육온도 | 발아적온 20℃ 육묘적온 17~20℃ 근비대적온 18℃ 저장적온 4℃ |
재배적지 | 산성토양에 잘 자라는 성질을 갖고 있어 pH 5이상이면 재배가능 |
생리적특성 | ㅇ 다년생 숙근성 초본으로 수명이 짧아 자주 갱신되며 관부에 생장점이 있다. ㅇ 보통수확이 끝나는 5~6월경 고온장일의 여름에 자묘 발생 ㅇ 꽃눈 분화는 17℃정도의 저온과 12시간 정도의 단일에서 일어남 ㅇ 가을에 저온단일이 되면 휴면에 들어가 충분한 저온을 경과하지 않으면 휴면이 타파되지 않음 |
주요기술 | ㅇ 포트 및 차광육묘 효과 : 관행육묘 대비 31% 증수 ㅇ 조직배양묘의 증수효과 : 관행묘 대비 24~42% 증수 ㅇ 꿀벌방사에 의한 기형과 방지효과, 무방사 대비 : 수량 57%증수, 기형과율 24.6% 감소 |
■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 육 묘 기 | 정 식 기 | 보온시기 | 수 확 기 | 성출하기 |
촉 성 재 배 | 3하~9상 | 9중~9하 | 10중~10하 | 12상~3하 | 1상~2하 |
반촉성재배 | 4중~9하 | 9하~10중 | 11하~12상 | 1하~5중 | 3상~4하 |
억 제 재 배 | 5상~10하(전년) | 8하~9상 | 12중~1하 | 9하~10하 | 3상~5상 |
■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 내용 |
착색촉진 | ㅇ 하우스 적온 유지 (저온유의) ㅇ 적정재식 밀도 (9,000주/10a) ㅇ 수광태세(화방 출현 방향을 고려하여 정식) |
저온장해 | ㅇ 개화기 전후 최저기온 5℃ 이상 유지 |
기형과(부정형과) | ㅇ 수정이 불완전할 때 ㅇ 지나친 고온, 저온, 일조부족 등에 의해 화분발아율 낮을 때 ㅇ 개화기 약제 살포에 의한 화분발육 불량 ㅇ 고온 및 저온이 되지 않도록 환기와 보온에 주의 ㅇ 햇볕의 쪼임을 좋게 하고, 개화기 약제살포 금지 ㅇ 꿀벌방사(8,000~10,000마리/10a) |
바이러스병 | ㅇ 영양번식 작물로 모주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으면 자묘로 전염 ㅇ 바이러스 감염 정도가 낮은 모주에서 묘 채취 ㅇ 생장점 배양에 의한 무병주 생산 이용 ㅇ 진딧물 방제 철저 |
반응형
'농사일정 > 과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기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하우스재배 (0) | 2022.05.30 |
---|---|
딸기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억제재배 (0) | 2022.05.30 |
고추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하우스재배 (0) | 2022.05.30 |
고추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노지 (0) | 2022.05.30 |
꽈리고추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