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과채류

딸기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억제재배

by 투농부 2022. 5. 30.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여름에 딸기가나오는 억제재배나 노지재배는 거의 하지않는다.

환경관리도 힘들고 맛과 품질이 떨어지며 보관도 힘들기 때문이다.

 

 

 

 

 

 

  저장고 조건

❍저장고내 -2℃ 항상 유지 (잿빛곰팡이병 발생)

❍깨끗한 창고

- 소독 및 살균

❍모주정식 : 4~5

 

 

 

 모주정식

❍무병 건전묘선발 (바이러스, 시들음병, 응애, 잎선충 등)

❍모주포 선정

- 처녀지(시들음병)

- 토양소독, 윤작

❍모주정식 : 4~5

 

 

 

  

❍정식시기(4-5)

❍정식요령

- 밀도(5,000/10a)

관부가 반 묻히도록

고설재배시 가장자리에 정식

 

 하우스 관리

❍환기

- 25℃ 이상 온도가 올라갈 경우 강제환기

❍멀칭

- 흑백멀칭으로 반드시 윗면이 백색으로

❍보온

- 10월 이후 가급적 10℃ 이상 유지위해 천창 및 측창에 보온

부직포 설치

❍전조

- 9 20일 이후 최저 20W 밝기의 백열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시간당 10분씩 조명

 

 

 

 재배적 특성

학명 Fragaria Xnanassa DUCH.
분류 장미과
생육온도 발아적온 20℃ 육묘적온 17~20℃ 근비대적온 18℃ 저장적온 4
재배적지 여름에는 시들음병 발생으로 고설벤치 양액재배가 좋고, 배지의 pH 5-7범위면 적당
생리적특성 ㅇ 여름생산용 딸기는 사계성 품종으로 고온장일 하에서 화아가 발생함
 6~8월 경 화아분화와 착과 그리고 런너도 동시에 발생하여 생산과증식이 병행하여 진행
ㅇ 가을에 저온단일이 되면 휴면에 들어가므로 전조를 하여야만 11월까지생산이 가능함
주요기술  9월 이후 전조재배 효과: 관행대비 38~151kg/10a 증수 ㅇ 고설벤치 양액재배시 순수양액 효과 완효성 대비 15~28% 증수
ㅇ 수출품종의 정식초기 첫 화방 무제거와 액아수 2~3개로 유지하면관행 대비 수량 14~20%증수, 엽병 줄기터짐율 8~9% 감소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육 묘 기 정 식 기 영양생장기 수 확 기 성출하기
전년 정식 9~9 10~10 11~4 5~11 9~10
봄 정식 3~4 4~ 5 5~6 6~11 10~11
여름 정식 5~5 6~ 6 7~7 8~11 10~11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과실 비대촉진 ㅇ 적정 엽면적과 과실수의 유지
ㅇ 적정 재식거리(주간 30cm 이상)
ㅇ 액아 억제(얇은 액아 제거)
고온피해 ㅇ 수확기인 6월부터 8월까지 25℃ 이상시 발생
ㅇ 과실이 작아지고 신엽발생 저하
기형과(선첨과) ㅇ 암술이 부위별로 성숙시기가 틀리는 기형화가 필 때 ㅇ 지나친 고온과 다습에 의해 화분발아율이 낮을 때 ㅇ 고온기 약제 살포피해로 인한 화분발육이 불량
ㅇ 햇볕의 쪼임을 좋게 하고, 개화기 약제살포 금지
시들음병 ㅇ 고온기에 토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토양전염성 병균
ㅇ 사질토양과 사계성 씨딸기에서 피해범위가 넓음
ㅇ 노지육묘시 연작발생 우려로 돌려짓기
ㅇ 육묘시 이병잔재물 철저히 버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