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59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목차 19.뽕나무하늘소 (germari) 목/과명 딱정벌레목/하늘소과 속명 Apriona 생태정보 뽕나무하늘소는 7~8월에 성충이 되어 1~2년생 가지를 물어뜯어 상처를 내고 산란한다. 어린 유충으로 겨울을 나며, 2년에 1회 발생한다. 산란 당년에는 산란부위 근처에서 아주 작은 유충으로 월동하고 2년째는 줄기 속에서 큰 유충으로 월동한다. 피해정보 성충이 가지에 주둥이로 상처를 내고 산란하며, 부화한 유충은 주간이나 줄기 속으로 뚫고 들어가 중심부에서 아래를 향해 터널을 만들어 가해하고 약 10~30㎝ 간격으로 겉에 구멍을 내고 그곳으로 가해한 나무 조각과 똥을 배출하며, 성충은 기주식물의 신초나 과실을 물어뜯어 피해를 주기도 한다. 방제방법 하늘소류 피해가 우려되는 사과원은 9월부터 산란부위를 찾아 .. 2022. 6. 21.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목차 13.미국흰불나방 (cunea) 목/과명 나비목/불나방과 속명 Hyphantria 생태정보 보통 1년에 2회 발생한다. 겨울나기는 나무껍질 사이에 고치를 짓고 번데기 상태로 한다. 1화기는 5월 중순~6월 상순경이며 600~700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유충은 실을 토하여 잎을 싸서 집단으로 가해한다. 2화기 성충은 7월 하순~8월 상순에 우화하여 산란한다. 부화한 애벌레는 50여일의 기간을 보낸 뒤 번데기로 겨울나기를 한다. 예찰은 흑색형광등으로 유인하여 성충을 예찰한다. 나무의 하단부에 끈끈이 또는 전착제를 섞은 수반트랩을 놓아 유살하여 관찰한다. 1화기 발생 시기에 육안으로 예찰을 철저히 하여 산란된 알 덩어리나 군서하는 어린유충의 발생 유무를 조기에 확인한다. 피해정보 유충 한 마리가 먹는 잎.. 2022. 6. 21.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목차 7.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알은 덩어리로 200~300개씩 낳으며, 알의 모양은 둥근 모양이지만 약간 납작하고 길이는 0.6㎜ 정도이다. 피해정보 주로 사과 잎 뒷면에 난괴(알덩어리)로 산란하며, 부화한 어린 유충이 잎 뒷면 부위를 식해하여 잎 표피만 남기고 가해하거나, 봉지 씌운 과실에 들어가서 식해하여 피해를 준다. 방제방법 관행방제 사과원에서는 방제가 필요할 정도로 다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3령 이후는 대부분 지면 잡초로 내려와서 주위의 잡풀을 가해한다. 3령 이후는 방제 효과가 낮기 때문에 다 발생하여 문제가 될 경우는 어린 유충시기에 방제해야 한다. 8.대마도줄풍뎅이 (sieversi) 목/과명 딱정벌레목/풍뎅이과.. 2022. 6. 21. 사과 주요 해충 TOP39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목차 1.가루깍지벌레 (comstocki) 목/과명 매미목/가루깍지벌레과 속명 Pseudococcus 생태정보 연 3회 발생하며 백색 납질물로 덮인 알 덩어리로 거친 나무껍질 속이나 굵은 가지를 잘라냈을 때 잘 아물지 않은 곳, 기타 간극에서 월동하는데 일부는 암컷 약충 또는 성충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제1회 발생은 6월, 제2회 발생은 8월 상순, 제3회 발생은 9월~10월이며, 제2회 발생하는 약충부터 봉지 속으로 침입하여 가해한다. 피해정보 암컷성충은 몸길이가 4㎜내외의 타원형으로 전체가 흰가루로 덮혀 있다. 기주범위가 넓으며 대부분의 과수에서 발생이 많다. 과총부근의 단가지, 지간의 터진 틈, 과실의 꽃자리 부근 등에 기생하여 흡즙한다. 봉지씌운 과실에 주로 피해가 많고, 피해과실은 흡즙부위가 움.. 2022. 6. 21. 더덕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녹병 (Rust) 병원체 Septoria sp. 발생환경 이 속균은 이종기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더덕 녹병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밝혀진 바 없다. 증상설명 잎의 앞면은 처음 황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커지면서 병반과 병반이 합쳐져 대형 병반이 형성되기도 하며, 심하면 잎 전체가 노랗게 변하고 고사한다. 잎 뒷면은 주황색, 황색의 하포자가 무수히 밀생하고, 앞면에는 잘 형성되지 않는다. 흰색의 포자가 생성되기도 하나 이런 종류의 곰팡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되거나 연구된 바가 없다. 방제방법 - 지역적인 차이는 있으나 장마기 전 건조한 시기에 발병이 시작되며 응애류와 발생하는 환경이 비슷하여 응애류의 병징인 흰색 작은 반점과 함께 동시에 관찰되기도 한다. - 초세를 양호하게 관리.. 2022. 6. 20. 생강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근경썩음병 (根莖腐敗病,Rhizome rot) 병원체 Pythium myriotyrum 발생환경 생강재배에서 가장 문제되는 병해이다. 토양전염성으로 연작지와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생이 많다. 포장에서 7월 초순경에 발생이 시작되며, 장마기에 병원균이 전반되고 감염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낮 기온이 30℃이상이 되는 8월 초순 이후 급격히 발생된다.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지만 외부병징은 고온건조시에 잘 나타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와 토양중에서 주로 난포자 상태로 월동후, 토양온도가 15℃이상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1차전염원이 된다. 주로 물을 따라 전반되며, 관수 후 2~3일 내에 기주를 침입한다. 전염원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지만 관수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병든 종강이 중요한 .. 2022. 6. 20. 마늘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고자리파리 (antiqua) 목/과명 파리목/꽃파리과 속명 Delia 형태정보 성충은 5~7mm의 회갈색 파리로서 가슴 등판 중앙부의 센털 배열이 성기고, 불규칙적이다. 다자란 유충은 8~10mm의 구더기로서 11~12개의 숨구멍을 가진다. 번데기는 6~7mm의 긴적갈색 타원형 모양이다. 암수는 배끝에 있는 외부생식기의 모양으로 구별될 수 있고, 또 양쪽 겹눈의 간격으로 구별될 수 있다. 수컷은 겹눈이 서로 밀접해 있고, 암컷은 서로 떨어져 있다. 생태정보 연작하는 포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연3회 발생하고 남부지방에서의 발생최성기는 4월 중순, 6월 중순, 9월 하순~10월 상순이며, 중부지방에서는 1주일 정도 늦어진다. 가을에 발생하는 유충은 대부분 번데기로 월동에 들어가지만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유.. 2022. 6. 20.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