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 목/과명55

감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복숭아혹진딧물 (persic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yzus 생태정보 1년에 9~23세대를 경과하며, 복숭아나무, 매실, 자두나무의 겨울눈이나 조피 아래에서 알로 월동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교미 후 11월에 월동하는 알을 낳는다. 시설에서는 가온하고 전등을 켜주면 월동 없이 계속 번식한다. 약충은 1~5령까지 있고, 발육기간은 약 10일이며, 암컷은 죽을 때까지 평균 20일간 새끼를 낳는다. 평균수명은 41일이고, 출산수는 75마리이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 2022. 6. 12.
옥수수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기장테두리진딧물 (padi)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Rhopalosiphum 생태정보 보리의 해충으로 유명한 종이며, 옥수수, 밀, 귀리, 파파야, 벼, 수수, 단수수도 가해한다. 벚나무, 사과 등을 겨울 기주로 삼아 알로 월동한다. 따뜻한 곳에서는 암컷 성충 또는 약충으로 월동한다. 약충 발육기간은 21℃에서 15~19일이다. 출산은 약 70개까지 한다. 6월에 최고 발생을 보인 후 6월 말부터 7월 초에 밀도는 급격히 줄어든다. 예찰은 이 진딧물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어 초록색을 많이 띠는 보리두갈래 진딧물과 구분할 수 있다. 피해정보 벼과 식물을 중간 기주로 이용하며, 특히 보리에 대발생하여 잎에 군집을 이루며, 이삭에도 기생한다. 피해를 받으면 보리의 생육이 뚜렷하게 저해된다. 옥수수.. 2022. 6. 11.
콩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왕담배나방 (armige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Helicoverpa 생태정보 년간 발생세대수는 2∼3세대로 번데기 상태로 땅속에서 지낸 후 5∼6월에 우화하여 10월까지 피해를 준다. 알은 잎당 1개씩 산발적으로 낳지만 때로 5∼10개를 집단으로 낳기도 하며, 500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산란∼부화까지의 기간은 실온에서 약 3∼4일, 알∼우화까지는 17∼20일 정도가 소요되며, 유충 기간은 25℃에서 19~26일 정도이며, 다 자란 유충은 땅속 2~10㎝ 깊이에서 번데기가 된다. 성충 수명은 10∼12일이다. 예찰은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실시한다. 피해식물이나 유충의 배설물을 관찰하여 발생확인 할 수 있다. 피해정보 해충은 광식성으로 채소, 과수, 화훼류에 널리 가해한다. 담배, 감.. 2022. 6. 11.
콩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 개의 난괴로 잎 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 2022. 6. 11.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섬서구메뚜기 (lata) 목/과명 메뚜기목/섬서구메뚜기과 속명 Atractomorpha 생태정보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하순~6월 상순에 부화하고 약충은 식물체를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어린 약충은 섭식량이 적지만 다자란 약충과 성충은 잎을 폭식한다. 예찰은 잎을 들추어보거나 작물체를 털어서 약충과 성충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며, 발생이 심한 경우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어 치운다. 8~9월경에 야산근처의 포장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약충과 성충이 주로 벼과 식물의 잎을 폭식하므로 발생이 많으면 즉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9.애멸구 (striatellus) 목/과명 매미목.. 2022. 6. 8.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먹노린재(lurida)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Scotinophara 생태정보 우리나라에는 1971년에 최초로 보고된 해충이며 1997년부터 충북 산간지역인 옥천, 충남 서산지역에서 다량 발생하여 문제가 된 해충이다. 2001년 이후에는 중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낙엽 밑이나 말라죽은 잡초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6월 상순부터 본논으로 이동한다. 본논에서의 월동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상순이며, 약충은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새로운 성충은 8월 하순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한다.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30.7개이며, 최고 55개까지 산란한다. 성충은 난괴로 산란하는데 난괴당 알수는 12~16개이며, 알기간은 평균 4.3일이.. 2022.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