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 목/과명55

무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감자수염진딧물 (euphorbi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acrosiphum 생태정보 발생 최적 조건은 온도 21~26℃, 습도 60~80%이다. 무시성충은 2주동안 50마리의 산자(새끼)를 낳는다. 십여 세대를 여름 기주식물에서 생활하는데 감자와 가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유시충은 5월 하순~6월 상순과 8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인다. 예찰의 경우 감자수염진딧물은 어린잎에 서식하며, 오래된 잎에 서식하는 싸리수염진딧물과 구분할 수 있다. 수염진딧물은 안테나가 몸길이보다 길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수반(노란색 바탕의 물그릇)이나 끈끈이트랩을 이용한다. 주로 감자, 가지 등 가지과식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피해정보 성충과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뒷면에서 흡즙하고, 50.. 2022. 6. 19.
쑥갓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도롱이깍지벌레 (urticae) 목/과명 매미목/도롱이깍지벌레과 속명 Orthezia 생태정보 알에서 약충으로 부화하여 성충으로 되는 불완전 변태를 하며, 년 1회 발생한다. 종령 약충으로 낙엽 아래서 월동한다. 알에서 부화한 약충은 6~7월에 볼 수 있으며, 약충과 성충 모두 잎의 뒷면에 서식하면서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고 살며 전국에 분포한다. 자세한 생태는 불명확하다. 예찰은 국화류에는 드물게 발생하고 7월이후 잎이나 가지를 중심으로 육안으로 관찰하여 발생여부를 조사한다. 피해정보 잡식성으로 성충, 약충 모두 잎뒷면에 붙어 흡즙 가해한다. 다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방제방법 도롱이깍지벌레는 발생밀도가 높아지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발생초기에 깍지벌레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제약.. 2022. 6. 19.
시금치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 2022. 6. 19.
상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명주달팽이 (despecta) 목/과명 병안목/달팽이과 속명 Acusta 생태정보 국내에서 가장 흔한 종으로 전국의 논, 밭가의 돌 밑이나 풀 속 및 등 인가 주변과 시설 내 낙엽이나 잡초 아래 서식하며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종이다. 노지에서는 연 1회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나 간혹 봄, 가을에 연 2회 발생하고,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노지에서 달팽이는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산란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동면한다. 알은 직경 1.93㎜의 백색 구형으로 1회 약 28개의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낳으며, 18~25℃의 온실조건에서는 알을 낳은 후 12일 정도면 부화한다. 예찰은 달팽이는 껍질이 있어 땅속이나 돌 밑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워 주로 식물 잔재물이나 잡초 더미 속에 숨어 지낸다. 그러므로 이.. 2022. 6. 19.
양배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도둑나방 (brassicae)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Mamestra 생태정보 연 2회 발생하며, 번데기로 겨울을 난다. 1회 성충은 4~6월에 2회 성충은 8~9월에 나타난다. 유충기간은 40~45일이다. 성충은 해질 무렵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낮에는 마른 잎 사이에 숨는다. 3령까지는 무리지어 가해하다가 4령 이후 분산하여 생활하고,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예찰은 페로몬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해질 무렵에 집단으로 배추나 양배추 잎으로 올라와 잎을 갉아먹는 유충을 찾는다. 피해정보 잡식성이어서 10여종의 기주가 알려져 있고, 채소, 화훼 등 원예작물의 대해충으로 알려져있다. 봄, 가을에 피해가 심하고, 결구배추의 속으로 파고 들어가며 식해하기도 한다. 방제방법 유충이 자라면 배추,양배추 .. 2022. 6. 18.
배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1.섬서구메뚜기 (lata) 목/과명 메뚜기목/섬서구메뚜기과 속명 Atractomorpha 생태정보 방아개비와 비슷하지만 몸이 뭉툭해 보이고 훨씬 짧다.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하순~6월 상순에 부화하고 약충은 식물체를 갉아먹으며 성장하며 몇차례 탈피한 후 8~9월에 성충이 된다. 성충은 짝짖기를 한후 깊이 2㎝정도 되는 땅속에 알을 낳는다. 고온 건조한 해에 발생이 많은 경향이며, 어린 약충은 섭식량이 적지만 다자란 약충과 성충은 잎을 폭식한다. 예찰은 잎을 들추어보거나 작물체를 털어서 약충과 성충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며, 발생이 심한 경우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어 치운다. 8~9월.. 2022. 6. 18.
배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6.배추순나방 (undalis) 목/과명 나비목/명나방과 속명 Hellula 생태정보 년 2~3회 발생하며, 번데기로 겨울을 지낸다. 제1회 발생은 4월이며, 십자화과 채소와 담배의 순에다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잎의 표면을 기어 다니며 갉아먹지만 2령부터 잎을 실로 묶고 그 속에서 갉아먹는데 낮에는 실로 묶은 속에서 먹고, 밤에는 기어 나와서 갉아먹는다. 5령이 되면 가해하지 않고 실로 묶은 속에 들어 있으며 황색으로 변하여 번데기가 된다. 제2회 발생은 6월에 하며, 제 3회발생은 8월에 한다. 고온에 비가 많이 오면 발생이 많아 피해가 심하며 성충의 수명은 10일 정도이다. 예찰은 배추를 정식후부터 배추 생장점 부분을 관찰하면 유충을 발견할 수있다. 피해정보 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작물에.. 2022.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