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5 딸기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감자수염진딧물 (euphorbi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acrosiphum 생태정보 발생 최적 조건은 온도 21~26℃, 습도 60~80%이다. 무시성충은 2주동안 50마리의 산자(새끼)를 낳는다. 십여 세대를 여름 기주식물에서 생활하는데 감자와 가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유시충은 5월 하순~6월 상순과 8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인다. 예찰의 경우 감자수염진딧물은 어린잎에 서식하며, 오래된 잎에 서식하는 싸리수염진딧물과 구분할 수 있다. 수염진딧물은 안테나가 몸길이보다 길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수반(노란색 바탕의 물그릇)이나 끈끈이트랩을 이용한다. 주로 감자, 가지 등 가지과식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피해정보 성충과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뒷면에서 흡즙하고, 50여.. 2022. 6. 14. 딸기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시들음병 (萎黃病,Fusarium wil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이 병원균은 딸기에만 병원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교 품종에 병 발생이 많았으나 지금은 딸기시들음병에 저항성인 품종이 많이 재배되고 있어 과거와 같이 큰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토양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에 널리 분포하며, 후막포자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에서 월동 후, 주로 잔뿌리로 침입한다. 토양온도가 16℃이하 일 때는 발병되지 않고, 25~28℃에서 잘 발생한다. 포장에 정식한 직후나 과실이 달린 이후에 비가 오고 포장이 과습해지면 쉽게 감염이 이루어진다. 뿌리가 작은 곤충 등에 의해 상처가 생기면 병원균의 침입이 조장되고, 발병 이후에 이차적으로 곤충이 침해하게 되면 부패는 .. 2022. 6. 14. 딸기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겹무늬병 (輪紋病,Phyllosticta leaf spot) 병원체 Alternar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잎에서 병자각으로 월동후, 1차 전염원이 되며, 공기전염 한다. 고온성 균으로 7~8월에 강우가 많으면 심하게 발생 한다. 보교조생 품종은 이 병에 약하고, 사계성 품종은 강한 편이다. 증상설명 잎, 잎자루,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자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직경 1~2㎝크기의 대형병반으로 확대된다. 오래된 병반의 중앙은 회갈색, 주위는 자갈색으로 변화되며, 병반상에는 흑색의 소립점(병자각)이 생긴다. 발생이 심한 잎은 말라죽는다. 잎자루와 줄기에서는 암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이식 포복경에 병원균이 감염되지 않도록 관리를 철저히 .. 2022. 6. 14. 딸기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억제재배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여름에 딸기가나오는 억제재배나 노지재배는 거의 하지않는다. 환경관리도 힘들고 맛과 품질이 떨어지며 보관도 힘들기 때문이다. ■ 묘 저장고 조건 ❍저장고내 -2℃ 항상 유지 (잿빛곰팡이병 발생) ❍깨끗한 창고 - 소독 및 살균 ❍모주정식 : 4상~5상 ■ 모주정식 ❍무병 건전묘선발 (바이러스, 시들음병, 응애, 잎선충 등) ❍모주포 선정 - 처녀지(시들음병) - 토양소독, 윤작 ❍모주정식 : 4상~5상 ■ 정 식 ❍정식시기(4-5월) ❍정식요령 - 밀도(5,000주/10a) - 관부가 반 묻히도록 - 고설재배시 가장자리에 정식 ■ 하우스 관리 ❍환기 - 25℃ 이상 온도가 올라갈 경우 강제환기 ❍멀칭 - 흑백멀칭으로 반드시 윗면이 백색으로 ❍보온 .. 2022. 5. 30. 딸기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반촉성재배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촉성재배란 보통 생육기때 가온재배하고 수확기에 보통재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모주정식 ❍무병 건전묘선발(바이러스, 시들음병, 탄저병, 잎선충 등) ❍모주포선정 - 처녀지 - 토양소독, 윤작 ❍모주정식 : 4상~5상 ■ 자묘육성 ❍건전자묘 확보 - 건조시 관수 - 자묘의 배치 : 10×10cm - 자묘발생시 추비시용 - 질소, 칼리 각 2kg - 액비로 2~3회 분시 ■ 꽃눈분화 촉진 ❍저온단일 처리 - 야냉육묘 - 고랭지 육묘 ❍C/N율 향상 - 포트육묘 - 육묘 중 단근 - 추비중단 ■ 정식 ❍정식시기 - 화아분화후 정식 ❍정식후 활착 촉진 - 엽의 전개촉진 - 관수 ❍정식요령 - 밀도(9,000주/10a) - 관부가 반 묻히도록 ■ 하우스.. 2022. 5.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