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약58

배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기간은 7일, 유충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는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 등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 2022. 6. 18.
농약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목차 개요 농약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동물시험을 거치기는 하나 사람한테 얼마나 피해가 있을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농약에 대한 반응이 즉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추후 큰 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매우 주의해서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농약을 사용함에 있어 적정량을 사용하여 방제 효과를 얻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농약 주의사항 1.용도에 맞는 농약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병인지 충인지 잡초인지 용도에 따라 살균제,살충제,제초제를 선택해야 하며 뚜껑의 색깔을 통해 바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살균제 - 분홍색(분홍) 살충제 - 초록색(초록) 제초제 - 황색(황색) 또한 적용병해충과 작물에 맞는 농약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농약검색사이트 2.정.. 2022. 6. 17.
농약의 사용목적 및 작용 특성에 따른 분류와 형태에 따른 살포방법 목차 사용목적 분류 1.살균제 a.보호살균제 병원균의 포자가 발아하여 식물체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로 병이 발생하기 전에 작물체에 처리하여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호 살균제는 약효 지속기간이 길어야 하며 물리적으로 부착성 및 고착성이 양호하여야 한다 (예 : 석회보르도액 등) 농약 살포방법 식물 전체를 코팅해준다는 생각으로 농약을 뿌려주는것이 좋다. b.직접살균제 나병원균의 발아, 침입방지는 물론이고 침입한 병원균에 독성을 나타내는 작용을 하는 약제로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발병 후에도 충분한 방제가 가능하다 (예 : 항생물질 등) 농약 살포방법 발병부의에 뿌려주는것이 좋다.(ex. 잎의 뒷면에 생기는 병증이 있는경우(노균병 등) 잎의 밑에 농약이 묻을수 있도록.. 2022. 6. 17.
농약의 작용기작 표시 (농약관리법 참조) 목차 농약 용도 구별법 농약의 작용기작을 표시되어있는것을 많이 보았을 것입니다. 이렇게 크게 표시되어 있는것을 보면 농약을 구매하는 농민들에게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작용기작을 보면 대분류+(소분류)로 표기되며 한글+(숫자)은 살균제 숫자+(영어소문자)는 살충제 영어대문자+(숫자)는 제초제 입니다다. 뚜껑의 색으로도 판단할수 있고 작용기작 위에 용도가 적혀있으나 작용기작을 보고도 판단할수 있습니다. 이제 표시기호를 아래표에서 참조해보면 어떤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계통이고 어떤 성분인지등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정보들을 본다고 해서 바로 활용하기는 힘듭니다다. 많은 농부들이 공부하며 농사짓기 힘든것이 현실이고 농약판매처의 권유나 자신의 경험을통해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농약의 작용.. 2022. 6. 17.
고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목차 6.복숭아혹진딧물 (persic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yzus 생태정보 1년에 9~23세대를 경과하며, 복숭아나무, 매실, 자두나무의 겨울눈이나 조피아래에서 알로 월동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교미 후 11월에 월동하는 알을 낳는다. 시설에서는 가온하고 전등을 켜주면 월동 없이 계속 번식한다. 약충은 1~5령까지 있고, 발육기간은 약 10일이며, 암컷은 죽을 때까지 평균 20일간 새끼를 낳는다. 평균수명은 41일이고, 출산수는 75마리이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 2022. 6. 17.
고추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날개매미충 (speculum) 목/과명 매미목/좀매미충과 속명 Ricania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세대 발생한다. 가지 속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며 이듬해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부화한다. * 봄철 기온에 따라 약충 발생 시기가 1∼2주정도 차이가 남 부화한 약충은 4번 탈피(1령∼5령 약충)한 후 7월 중순∼8월 상순경에 성충이 된다. 우화한 성충은 1개월 정도 영양을 보충한 후 8월상순경부터 기주식물의 1년생 가지 속에 알을 낳는다. 발육영점온도는 9.3℃, 유효적산온도는 693.3일도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감나무, 블루베리,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자귀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 140종이 넘는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흡.. 2022. 6. 17.
가지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6.점박이응애 (urticae) 목/과명 응애/잎응애과 속명 Tetranychus 생태정보 온도가 높은 시설재배 작물에서 발생이 많다. 점박이응애는 추운 지방에서는 년 9회, 따뜻한 지방에서는 10~11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시설작물에서는 가온하고 야간 조명을 하면 휴면하지 않는다. 월동한 성충은 처음에는 잡초에서 번식하다가 작물이 생육함에 따라 작물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8월이 가해최성기이다. 잎의 표면과 뒷면 양쪽 모두를 가해하나 주로 잎 뒷면에서 주로 서식한다. 발육시작온도는 9℃전후이고, 발육적온은 20~28℃, 최적습도는 50~80%로서,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10일이 소요되는데 좋은 환경조건에서는 급속히 개체수가 증가한다. 예찰은 식물체 뒷면을 육안 또는 확대경을 이용하여 조사.. 2022.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