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근채류근경류11

고구마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7.자주날개무늬병 (紫紋羽病,Violet root rot) 병원체 Helicobasidium mompa Tanaka 발생환경 토양전염하며 토양에서는 주로 균핵으로 적어도 4년간 생존한다. 포장에서 담자포자는 중요한 전염원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관개수, 오염된 거름으로 전반 될 수 있으나 대개는 오염된 묘상으로부터 작물의 이식이나 심한 강우 및 침식 등에 의한 토양 이동으로 일어난다. 재배초기에 병원균은 고구마의 표면에서 자라고 표피 중앙에 있는 라멜라 층에 감염쿠션을 형성한다. 후기에 균사는 괴경 유조직을 침입하면서 괴경을 썩게 한다. 저항성품종은 상처코르크층을 형성하여 균사체 발달을 제한한다. 발병은 생육 후반기에 고온이 지속되는 우기에 가장 심하다. 포자발아와 균사체 생장은 27℃가 최적이다.. 2022. 6. 12.
고구마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rot) 병원체 Ceratocystis fimbriat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의 조직 내에서 주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 후, 다음해 봄에 자낭포자 및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이 병원균은 보통 병든 괴근에서 묘로, 묘에서 본포로 전반하여 병을 일으키는데, 토양 내에 존재하는 거세미의 유충이나 풍뎅이 등의 곤충이나 동물에 의한 식흔 부위에서 발병이 잘된다. 이 병의 감염은 10~34℃에서 일어나며, 발병 최적온도는 23~27℃이다. 증상설명 묘, 줄기 및 괴근에 발생한다. 묘에서는 어린 줄기의 지상부에서 검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이 반점이 확대되어 줄기를 둘러싸게 되면 잎이 누렇게 변하게 된다. 본포에서는 묘의 이식 직후부터 발생하며, 생육기 중에.. 2022. 6. 12.
감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복숭아혹진딧물 (persicae)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Myzus 생태정보 1년에 9~23세대를 경과하며, 복숭아나무, 매실, 자두나무의 겨울눈이나 조피 아래에서 알로 월동하고, 날씨가 따뜻해지는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으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교미 후 11월에 월동하는 알을 낳는다. 시설에서는 가온하고 전등을 켜주면 월동 없이 계속 번식한다. 약충은 1~5령까지 있고, 발육기간은 약 10일이며, 암컷은 죽을 때까지 평균 20일간 새끼를 낳는다. 평균수명은 41일이고, 출산수는 75마리이다. 진딧물의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 2022. 6. 12.
감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검은무늬썩음병 (黑지病,Black scurf, Damping-off, Stem canker) 병원체 Rhizoctonia solani 발생환경 Thanatephorus cucumeris (Frank) Donk, (무성세대: Rhizoctonia solani Ku'hn) 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담자기와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담자기는 원통형 내지 반원통형이며, 그 크기는 10∼23×8 ∼13㎛이다. 담자기의 상부에는 보통 3∼5개의 소병이 형성되고, 이 소병 끝에서 담자포자가 형성된다. 담자포자는 타원형 내지 계란 모양이며, 그 크기는 7∼13×4∼7㎛이다. 이 균의 무성세대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균사의 분기점이 약간 잘록하고, 이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격막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2022.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