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자주날개무늬병 (紫紋羽病,Violet root rot)
병원체
Helicobasidium mompa Tanaka
발생환경
토양전염하며 토양에서는 주로 균핵으로 적어도 4년간 생존한다.
포장에서 담자포자는 중요한 전염원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관개수, 오염된 거름으로 전반 될 수 있으나 대개는 오염된 묘상으로부터 작물의 이식이나 심한 강우 및 침식 등에 의한 토양 이동으로 일어난다.
재배초기에 병원균은 고구마의 표면에서 자라고 표피 중앙에 있는 라멜라 층에 감염쿠션을 형성한다.
후기에 균사는 괴경 유조직을 침입하면서 괴경을 썩게 한다.
저항성품종은 상처코르크층을 형성하여 균사체 발달을 제한한다.
발병은 생육 후반기에 고온이 지속되는 우기에 가장 심하다.
포자발아와 균사체 생장은 27℃가 최적이다.
연작, 배수불량, 영양결핍 및 낮은 토양 pH는 발병을 조장한다.
증상설명
섬유질 뿌리가 있는 끝부터 썩기 시작하여 괴경 전체로 퍼진다.
심하면 잎은 괴사되고 오래된 잎은 시들며 조기에 낙엽이 된다.
저장 고구마는 대개 괴경의 끝부터 중앙 부위로 썩어 들어오면서 알코올 냄새가 난다.
외표면에는 두꺼운 균사층이 붙어있다.
이 거친 균사 그물은 처음에 흰색이나 점차 갈색으로 되고 결국에는 특징적인 자색을 나타낸다.
균핵은 토양 근처에 있는 줄기 지제부에서 자주 형성되고, 자갈색의 균사층이 병든식물체 주위에 있는 토양 표면에서 발달할 수 있다.
방제방법
- 발병된 포장을 고구마, 채소, 과실나무의 묘상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 병든 식물의 잔재물이나 토양이 고구마 재배포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병든 식물체는 발견 즉시 모아서 소각하거나 매몰하여 포장위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연작을 피하고 윤작한다.
콩과작물로 3년 이상의 윤작이 필요하며 벼로 윤작하면 배수불량의 오염토양에 특히 효과적이다.
- 토양 비옥도를 증가시키고 토양구조의 개선 즉 유기질 비료의 시용으로 배수를 양호하게 하고 근부의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는 토양관리가 필요하다.
- 극 조생종 품종을 재배하여 병이 심해지기 전에 수확할 수 있도록 품종을 선발하는 것이 좋다.
8.점균병 (粘菌病,Slime mold)
발생환경
지상부로 나온 변형체는 환경조건이 주어지면 자실체를 형성하고 이들 자실체들은 바람, 물, 농기구 등에 의하여 전반되고 부적합한 날씨에도 오래도록 생존할 수 있다.
서늘하고 습한 날씨가 계속되면 포자들은 물을 흡수하고 세포벽이 깨져 유주자가 나타난다.
유주자들은 결합하여 아메바상의 접합체를 형성하고 접합체들은 커져 다핵상으로 되며, 다시 변형체가 된다.
주로 딸기, 상추, 무, 배추 등 시설 채소류에 다소 발생한다.
직접적인 피해는 크지 않으나 식물체상에 붙어 상품 가치를 저하시킨다.
증상설명
식물체의 지상부와 식물체 사이에 있는 토양에도 유백색의 끈적끈적한 물질로 뒤덮이고 나중에는 잿빛 또는 회갈색의 자실체로 변한다.
변형체는 마치 끈적끈적한 밀가루 반죽을 붙여 놓은 것 같은 증상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주위 환경을 청결히 한다.
- 병에 걸린 잎은 물로 씻어내고 심하게 감염된 잎은 제거한다.
- 미숙된 돈분과 같은 퇴비의 과용을 피한다.
9.점무늬병 (斑點病,Leaf spot)
병원체
Phoma sp.
발생환경
Alternaria는 습한 조건에서 병반이 확대된다.
Cercospora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다발하며 건기에는 보기가 어렵다.
바람이나 빗방울로 전반되며, 식물의 잔재물이나 잡초에서 생존할 수 있다.
Phomopsis는 썩은 고구마 잎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식물을 감염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Septoria는 빗물이나 곤충에 의해 전반 된다.
증상설명
여러 병원균에 의해서 다양한 점무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Alternaria속에 의해 잎은 갈색의 동심원을 형성하며, 잎의 가장자리에서 뚜렷한 병징을 나타낸다.
Cercospora속에 의해서는 원형의 다소 각진 8㎜이하의 병반을 형성하고 때로는 엽맥으로 한정되며, 균일하게 중앙부위는 엷고 가장자리는 짙은 갈색이거나 연회색 병반이 형성된다.
Phomopsis의 잎 병반은 연회색~황갈색~갈색의 다양한 색을 나타내며, 대개 경계부위가 짙은 갈색이나 자색을 갖는다.
Septoria 병반은 Phomopsis의 병반과 유사하여 작고 흰색의 병반이 형성되고 경계부위는 짙은 갈색을 띄나 병반의 크기는 다소 작은 편이다.
Phoma 병반은 연회색~연황색 반점이 형성되면서 병반 중앙에 검은 병자각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특별히 방제수단이 알려지지 않았다.
- 병든조직을 제거하고, 포장위생을 철저히 한다.
- 퇴비사용시에는 완전히 숙성된 퇴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10.푸른곰팡이병 (靑黴病,Blue mold rot)
병원체
Penicillium expansum
발생환경
병원균은 일반적으로는 부생균으로 병을 잘 일으키지 않는 2차 침입 균으로 다른 병원균에 고구마 조직이 병들었거나 상처가 생겼을 때 침입하여 병을 일으킨다.
고구마를 16℃ 이상에서 저장할 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그 이하의 저온에서 저장할 때 쪼개진 틈이나 상처로 침입하여 병을 일으킨다.
증상설명
병든 조직은 다소 단단한 편이며 마르거나 약간 축축하기도 하며 갈색을 띤다.
병든 조직위에 푸른곰팡이가 피는 것이 특징이며 흰 균사덩어리가 보이기도 하는데 결국에는 푸른곰팡이 포자덩어리가 균사위에 생긴다.
방제방법
- 수확, 선별, 혹은 포장시 상처가 많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 저장할 때는 병든 고구마가 건전한 고구마에 섞이지 않게 잘 골라내야 한다.
- 저장 시 온도가 1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11.흰비단병 (Southern blight, Stem rot)
병원체
Sclerotium rolfsii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핵의 형태로 토양 속에서 겨울을 나거나 균사의 형태로 병든 땅가 줄기 혹은 지하부 뿌리에 묻어 있다가 다음해의 전염원이 된다.
균핵은 기주작물이 없어도 부적합한 환경에서 수 년간 생존이 가능하다.
균사의 생육이 매우 빨라 주로 균사를 통해 인접한 작물로 확산하여 토양전염하는 병해다.
증상설명
지하부 땅가의 줄기나 뿌리가 가해되어 썩으면서 지상부 잎이 시들고 점차 말라 죽게 된다.
이런 포기의 토양 표면을 보면 흰색 균사가 토양주변 줄기에 피어 있고, 연갈색의 작은 좁쌀 모양의 균핵이 붙어 있다.
이 병은 감자를 비롯한 189종의 식물에서 발생하며, 생육기 비가 많이 오고 온도가 높을 때 심하게 발생하며 일단 발병하면 급속히 확산하여 포장 전체가 병에 걸려 황폐화 된다.
연작하여 지력이 많이 쇠퇴한 포장에서 발생이 많다.
방제방법
- 병에 걸렸던 곳은 피하거나 토양을 소독한 후 재배한다.
- 배수를 좋게 하거나 배수가 좋은 토양에 재배한다.
- 연작을 피하고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한다.
- 발병초기에 병든 포기를 일찍 제거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살충제 | 헥사코나졸.테플루트린 입제 | 2(1.5+0.5)% | 광야 | Ⅳ급(저독성) | Ⅰ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사1+3a | 한국삼공(주) | |
살균제 | 프로클로라즈코퍼클로라이드.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 | 25(12.5+12.5)% | 균마기골드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정식기 | 1회 이내 | 사1+사1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깔사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1ℓ/㎡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뜨래조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지넥스(주) |
살균제 | 플루톨라닐 유제 | 15% | 몬카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1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다2 | (주)경농 |
살균제 | 플룩사피록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12.9(4.6+8.3)% | 미리본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1ℓ/㎡ | 정식기 | 1회 이내 | 다2+다3 | (주)팜한농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사파이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기 | 1회 이내 | 마2 | (주)팜한농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사파이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사피엔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미탁제 | 18(3+15)% | 삼진왕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1ℓ/10a | 정식기 | 1회 이내 | 사1+카 | (주)경농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샤이나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암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피에이치엘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애니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애니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애니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앤티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팜아그로텍(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에코렉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그린시티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에코렉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1ℓ/㎡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그린시티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에코탄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엘도라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이엑스아이디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이레이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잿비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아진케미칼(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젠토해드림골드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청풍명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효자촌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0.5ℓ/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마2 |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
2022.06.12 - [분류 전체보기] - 고구마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병해충정보 > 근채류근경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9 |
---|---|
고구마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2 |
고구마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2 |
감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2 |
감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