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진다.
성충수명은 암컷은 9.8~11.7일, 수컷은 13.8~15.8일로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노숙유충은 식물체 주변의 토양내에 흙고치를 짖고 번데기가 된다.
피해정보
거의 모든 채소류와 밭작물은 물론 과수, 화훼, 특용작물, 사료작물, 정원수,잡초, 가로수 등을 가해하며,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군집생활을 하고 2~3령이 되면 분산한다.
발생이 많으면 식물체의 줄기만 남기고 폭식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시설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막는다.
야간에 황색등 설치로 교미를 못하게 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한다.
어린 유충발생기(3령이하)에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유충은 야간에 활동하는 습성이 있어 작물체에 붙어있는 아침이나 저녁에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곤충병원성선충, 또는 곤충기생균을 이용한다.
곤충병원성선충의 살포는 자외선이 없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하고 젖을 정도로 흠뻑 뿌려 주어야 한다.
약제방제시 저항성 개체의 출현이 빨라 방제에 어려움이 있으나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공로자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나방앤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7일전 | 2회이내 | 13 | (주)그린시티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나방앤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그린시티 |
살충제 | 스피네토람 입상수화제 | 5% | 델리게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5 | (주)팜한농 |
살충제 | 노발루론 액상수화제 | 10% | 라이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5 | 한국마간(주) |
살충제 | 노발루론 액상수화제 | 10% | 라이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5 | 한국삼공(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미네아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피에이치엘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섹큐어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팜한농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써커데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 | 2회 이내 | 13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아리큐어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피리달릴 유탁제 | 10% | 알지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미분류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유현탁제 | 10% | 엑시렐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28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엔젤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아그리젠토(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올래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아진케미칼(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와일더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 | 2회 이내 | 13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잭큐어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충레스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팜아그로텍(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충방패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대유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충킥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장유산업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클린메이커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초록팜(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킬맥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신농팜케미컬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킬맥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신농팜케미컬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티큐어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티아그로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팍자바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7일전 | 2회 이내 | 13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팜큐어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패스트롱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이내 | 13 | 태평에이지(주)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하이충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이엑스아이디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헌티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7일전 | 2회 | 13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헌티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0% | 화신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13 | 에이치바이오텍 |
2.명주달팽이 (despecta)
목/과명
병안목/달팽이과
속명
Acusta
생태정보
국내에서 가장 흔한 종으로 전국의 논, 밭가의 돌 밑이나 풀 속 및 등 인가 주변과 시설 내 낙엽이나 잡초 아래 서식하며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종이다.
노지에서는 연 1회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나 간혹 봄, 가을에 연 2회 발생하고,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노지에서 달팽이는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산란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동면한다.
알은 직경 1.93mm의 백색 구형으로 1회 약 28개의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낳으며, 18~25℃의 온실조건에서는 알을 낳은 후 12일 정도면 부화한다.
예찰은 달팽이는 껍질이 있어 땅속이나 돌 밑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워 주로 식물 잔재물이나 잡초 더미 속에 숨어 지낸다.
그러므로 이들 은신처를 살펴보거나 민달팽이류와 같은 방법으로 예찰하면 된다.
피해정보
시설보다 노지에서 발생이 많고, 감귤, 포도, 키위 등 과수와 배추, 인삼 등 노지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피해증상은 민달팽이나 달팽이와 마찬가지로 작물의 잎, 꽃 및 열매를 갉아먹거나 상처를 주어 수량을 감소시키며 점질액의 분미물에 의한 흔적으로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방제방법
달팽이를 유인하여 약을 직접 먹고 죽게 하는 유인미끼제를 사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현재 시판중인 유인미끼제는 메타알데하이드 입제(나메톡스)가 있다.
또한 약제처리에 의한 방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약제를 살포하기 전에 미리 달팽이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즉 노지에서는 비가 온 후에 약제를 살포하거나 시설재배지의 경우 약제살포 전에 충분하게 관수를 해주어 달팽이 활동을 조장시켜 약제에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달팽이가 활동을 시작하는 오후 늦게 처리하여 약제처리 시간과 달팽이의 활동시간을 최대한 가깝게 함으로써 약효를 증진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섬서구메뚜기 (lata)
목/과명
메뚜기목/섬서구메뚜기과
속명
Atractomorpha
생태정보
방아개비와 비슷하지만 몸이 뭉툭해 보이고 훨씬 짧다.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하순~6월 상순에 부화하고 약충은 식물체를 갉아먹으며 성장하며 몇차례 탈피한 후 8~9월에 성충이 된다.
성충은 짝짖기를 한후 깊이 2㎝정도 되는 땅속에 알을 낳는다.
고온 건조한 해에 발생이 많은 경향이며, 어린 약충은 섭식량이 적지만 다자란 약충과 성충은 잎을 폭식한다.
예찰은 잎을 들추어보거나 작물체를 털어서 약충과 성충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며, 발생이 심한 경우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어 치운다.
8~9월경에 야산근처의 포장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대규모 작물을 재배하는 일반농가의 경우 잎을 폭식하므로 발생이 많으면 약제를 살포해야 하나, 도시 주말농장은 재배면적이 작고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어 약제를 살포하여도 옆 포장으로 이동하여 방제가 어려우므로 보이는 즉시 손으로 잡아 죽이는 방법이 좋다.
4.뒷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 )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Peridroma
생태정보
뒷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 )의 어른벌레는 19~20㎜이며, 뒷날개 부분에 하얀 무늬가 있습니다. 애벌레는 3.3(1령)~54㎜(5령)이며 등 윗부분 양쪽에 검은 점이 쌍으로 있습니다.
각 태별 발육 기간은 25℃에서 알 5일, 애벌레 19일, 어른벌레 11일이며, 산란 수는 219개입니다.
어른벌레는 6월 상~중순부터 발생하여 8월 상~중순에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애벌레는 6월 중순부터 발생하여 점차 늘어나 9월 상~중순에 최고의 발생량을 보입니다. 다 자란 애벌레는 땅속에 흙집을 만들고 번데기가 됩니다.
피해정보
애벌레는 하루에 50~90㎠(4~5령 애벌레)의 고구마 잎에 해를 끼칩니다. 낮에는 잎 뒷면이나 땅에 숨어 있다가 아침, 저녁 또는 흐린 날에 나와서 잎을 가해하는데 많이 발생하였을 경우 불과 며칠 만에 밭 전체에 피해를 입히기도 합니다.
방제방법
애벌레 발생 초기에는 피해가 크지 않기 때문에 8~9월에 포장을 잘 살펴보아 1㎡당 6마리 이상일 때 전문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메톡시페노자이드 액상수화제 | 21% | 런너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주)팜한농 |
살충제 | 에토펜프록스 유탁제 | 10% | 명타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 | (주)팜한농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미믹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이내 | 18 | (주)경농 |
살충제 | 에토펜프록스 유제 | 20% | 세베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이내 | 3a | (주)경농 |
5.뿌리혹선충(Root knot nematodes)
속명
Meloidogyne spp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뿌리혹선충류 중 당근뿌리혹선충의 발생이 가장 많지만, 세계적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 60% 정도를 차지합니다.
뿌리혹선충은 알에서 네 번 허물을 벗은 후 어른벌레가 되는데 서양배 모양 또는 머리 부위가 돌출된 원형으로 몸통 전체가 뿌리혹 속에 들어있습니다.
어른벌레는 1주일간 수백 개의 알을 알주머니 속에 낳습니다. 4~5일 뒤 알에서 깨어난 선충이 토양 틈 사이를 이동하다가 고구마 뿌리를 만나면 뿌리의 앞 끝부분으로 이동한 후, 침입하여 피해를 줍니다.
피해정보
뿌리에 침입하여 고구마가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여 모양이 짧아지거나 잘록해지고 터져서 금이 가게 하는 등 고구마의 생김새를 나쁘게 합니다. 또한 흑갈색의 병 무늬가 생겼다가 커지면서 썩기도 합니다.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입으면 줄기의 생육도 나빠지고 아랫부분의 잎이 누렇게 변하여 떨어집니다. 또한 뿌리의 곳곳에 작은 뿌리혹이 생기는데 잘라보면 지름 1㎜ 정도의 광택 있는 불투명한 흰색 서양배 모양의 암컷 어른벌레가 들어있습니다.
모래 성분이 많은 사질토나 화산회토 등의 가벼운 토양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 화산회토(火山灰土) : 화산재가 바람에 날려 지표에 퇴적된 토양
방제방법
고구마는 큰 면적의 노지에서 재배되는 특성상 선충제 살포 등 일반적인 방제법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에는 선충이 기생할 수 없는 작물을 심어 돌려짓기를 하거나 선충 저항성 품종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 중에서 주황미 등이 선충 저항성이 강합니다.
여름철 풋거름 작물로 활용이 가능한 클로타라리아, 수단그라스를 약 8주간 재배하여 갈아엎은 후 3~4주 뒤에 작물을 재배하면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포스티아제이트 입제 | 5% | 선충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 1b | (주)팜한농 |
6.풍뎅이류
생태정보
고구마 밭에 발생하는 굼벵이의 종류는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애풍뎅이가 있습니다. 대부분 큰검정풍뎅이(95%)가 피해를 줍니다.
큰검정풍뎅이(Holotrichia morosa)는 1년에 1회 발생합니다. 대부분이 3령 애벌레로 땅속(20~80㎝)에서 겨울을 지냅니다. 어른벌레는 야간의 지상 활동 이외에는 땅속에 머물면서 30여 일 동안에 20~40개의 알을 식물체 뿌리 근처 흙 속에 낱개로 낳습니다.
고구마 밭에서 풍뎅이류 어른벌레 발생량은 7~8월 강우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애벌레는 7월 하순~8월 상순부터 발생합니다.
피해정보
알에서 깨어난 굼벵이는 고구마의 덩이뿌리 부위로 이동하여 덩이뿌리를 파먹거나 상처를 내어 외형을 손상시켜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고 상처 부위로 병원균 감염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방제방법
미숙퇴비는 수분 함량이 많아 굼벵이 알 발육 및 부화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므로 굼벵이를 유인합니다. 따라서 잘 썩은 퇴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년도에 피해가 많은 밭일 경우 9월 상순부터 급격히 굼벵이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가을갈이를 25〜30cm까지 깊게 합니다.
꺾꽂이 전에 전용 약제 토양혼화처리를 하고 8월 상~중순쯤에 약제를 살포하면 어른벌레를 방제할 수 있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에토프로포스 입제 | 5% | 모캡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b | (주)농협케미컬 | |
살충제 | 에토프로포스 입제 | 5% | 모캡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b | (주)동방아그로 | |
살충제 | 에토프로포스 입제 | 5% | 신농팜캡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b | (주)케이씨생명과학 | |
살충제 | 에토프로포스 입제 | 5% | 젠토캡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b | 아그리젠토(주) | |
살충제 | 에토프로포스 입제 | 5% | 충에센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b | 인바이오(주) | |
살충제 | 에토프로포스 입제 | 5% | 필사충 | Ⅳ급(저독성) | Ⅲ급 | 6㎏/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b | (주)한얼싸이언스 |
'병해충정보 > 근채류근경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0) | 2022.06.19 |
---|---|
무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9 |
고구마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2 |
고구마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2 |
감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