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엽채류

아욱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5. 31.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파종시기

- 봄재배 : 2월중순~4월하순

- 가을재배 : 8월하순~10월중순

❍파종량 : 7.215/10a

❍파종거리 :

- 이랑나비 1~1.2m

- 포기너비 12~20cm

 

 

 

  

❍솎음 : 발아 후 2-3회 실시

❍제초 : 제초제 사용

❍관수 : 가뭄시 관수

❍제4종 복비사용

 

 

 

  

❍더운 시기 수확할 경우 새벽이나 저녁에 하여 위조방지

❍개화성기가 6~7월 이므로 이 시기가 오기 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음

 

 

 

   (kg/10a)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 2 3
퇴비 1,500 1,500 - - -
질소 30.0 15.0 0.5 0.5 0.5
인산 5.0 5.0 - - -
칼리 13.0 7.0 - - -
석회 100 100 0.2 0.2 0.2
붕사 1.5 1.5 - - -

 


학명 Malva verticillata L.
분류 아욱과
생육온도  
재배적지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사질토나 점질토가 좋고, 토양산도는 6.07.0 정도의 중성내지 약 알칼리성을 좋아함  
생리적특성 ㅇ 아욱과에 속하는 1년초임
ㅇ 키가 60~90cm에 달하며 포기 전체에 거친 털이 있음 ㅇ 원산지는 중국을 중심으로 북부온대에서부터 아열대로 추정되며 아시아및 유럽 남부에서 오래 전부터 약초로 재배되어 왔음
ㅇ 우리나라에는 고려 이전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됨
ㅇ 햇빛이 많이 드는 습한 땅을 좋아함
ㅇ 칼슘 성분이 특히 많아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식품이며, 여름철 훌륭한알칼리성 식품임
주요기술 ㅇ 꽃이 봄부터 가을까지 피지만, 성화기인 6~7월을 피하여 재배해야 함
ㅇ 어린 잎과 줄기를 이용하므로 년중 파종 및 수확 가능 ㅇ 여름과 겨울철 재배도 가능하므로 단경기 경제작물로 활용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파 종 기 수 확 기 성출하기
봄 재배 2~4 3~6 5~6
가을 재배 8~10 10~12 11~12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가 뭄 ㅇ 관수 - 이동식 스프링클러 설치 관수 - 시설내에서는 고정식으로 소형 스프링클러 관수 - 적기파종
저온 혹한 ㅇ 비닐, 짚 등 피복
ㅇ 내한성이 강한 품종재배
고온  25℃ 이상에서는 발아, 생육불량
ㅇ 고온, 장일에서 추대발생
토성 ㅇ 수분이 충분한 땅을 좋아하며 토양 적응성이 넓음 ㅇ 토양의 pH 6~7 범위에서 유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