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엽채류

고사리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5. 30.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식 : 포트묘 4~5월 종근 9월하~10월상

❍종근정식 : 4/

❍포트묘 : 25/

❍재식거리 : 종근 20 x 20cm포트묘 40 x 40cm

 

 

  

정식후 중경제초 철저

수확중기 추비관리

가뭄시 물관리 철저

❍장마철 배수관리 철저

 

 

  

❍잎줄기가 10~15cm자랐을 때

❍주먹 모양의 어린잎이 퍼지기 전에 지표면에서 절단

 

 

 시비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 2
퇴비 3,000 1,500 1,500 -
질소 10 10 - -
인산 12 12 - -
칼리 10 10 - -
석회 150 150 - -

 

재배적 특성

학명 Pteridium aquilnum var.latiusculum UNDERW
분류 고사리과
생육온도 출아적온 17~18℃ 생육적온 15~25
재배적지  고사리는 양지에서 그늘까지, 평지에서 고산지대까지, 그리고 메마른 토양부터 음습한 토양까지 어느 곳에서든 잘 자란다. 내한성, 내동성이 강하며 기온이 17~18℃ 이상 되면 새싹이 돋아나서 잘 자라지만 30℃ 이상 고온이 되면 잎과 줄기가 굳어진다. 따라서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양토로 토양습도의 유지가 잘되고 다소 그늘진 곳이 재배적지임
생리적특성  ㅇ 고사리과의 양치식물로서 여러해살이 풀이다. ㅇ 땅속에 굵고 검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어가면서 마디에서 이른 봄부터 여름까지 잎이 나옴 ㅇ 잎은 굵고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으며 땅에서 돋아 날 때는 잎자루가 20~30cm 정도 길다. ㅇ 앞으로 잎이 될 부분은 주먹처럼 생겨 둥글게 감겨있고 흰솜털로 감싸여 있는데, 이것을 채취하여 나물로 이용함
주요기술 ㅇ 종근이나 배양묘의 정식량이 많을수록 수량증가 ㅇ 종근보다 배양묘나 육묘된 포트묘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 ㅇ 시비는 전량 기비로 줌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가온기(.) 수 확 기(.) 성출하기(.)
보 통 재 배 - 4~6 5
조 기 재 배 1~2월상 2~6 2~5
촉 성 재 배 12~ 1~5 1~5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가 뭄 ㅇ 관수실시 : 정식후 스프링클러나 점적관수 ㅇ 너무 건조하면 출아율 저조 및 생육불량
고 온 ㅇ 생육불량
습 해 ㅇ 물에 잠기거나 과습하면 지하부 썩음병 등으로 고사 ㅇ 배수구 정비 철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