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식물병
피해증상에 따른 분류
모잘록병,시들음병,더뎅이병,탄저병.잿빛곰팡이병,흰가루병,노균병,모자이크병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
곰팡이,세균,바이러스.선충,기생충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식물 잎 줄기 열매 등 지상부, 줄기의 관다발이나 뿌리에 생기는병
2.냉해
발생
여름 작물의 생육기간 중 냉온 장해에 의해 저해되고 수량의 감소나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는 기상재해
냉해 대책
-냉해에 강한 품종을 재배
-방풍림을 조성한다
-수온을 높이기 위한 온수로 및 온수지를 설치한다.
-댐의 표층수 관개 장치를 한다.
-수로 조직을 정비한다.
-규산 및 유기물을 시용한다.
3.동상해
월동중 겨울추위로 인해 수목이 받는 피해를 한해라고하며, 이중 저온에 의해 식물조직내에 결빙이 생겨 받는 피해를 동해 그리고 0∼2℃ 온도에서 서리에 의한 피해를 상해라고 함. 동해와 상해를 합쳐서 동상해라고 함.
동상해 대책
피복법,송풍법,살수법,슈크로스 살포,연소법,연무법,품종 선택,전정지
냉해 동해 보온방법
-불피우기 : 동해가 예상될 때에는 과수원의 군데군데에 왕겨나 짚을 태워 보온을한다.
-고깔씌우기 : 종이로 고깔을 만들어 노지에 정식한 어린 모종에 씌워
-소형터널설치 : 소형 터널을 설치하여 늦추위와 늦서리로부터 작물을 보호한다.
-멀칭 : 플라스틱 필름으로 지면을 피복하면 지온이 상승하여 활착이 촉진된다.
-강제대류발생 : 포장 군데군데에 장대를 박고 그 끝에 대형 선풍기를 달아 대기를 휘저어 주면 냉기가 낮은곳에 머물지 않아 동해 피해를 막을수 있다.
4.고온해
농작물이 어느 정도 이상의 고온에 접할 때 일어나는 피해
식물체의 생육이 위축되고 떨어진다 . 광합성량보다 호흡량이 증가하고 유기물의 소모량 증가로 식물체가 연약해지고 , 단백질 합성 저해와 암모니아 축적 증가로 유해 물질로의 작용으로 피해를 보며 , 수분 흡수보다 증산 작용의 왕성으로 식물체에 시들음(위조) 증상을 유발한다 .
고온해 대책
-내서성 작물 또는 품종 선택
-재배 적기 및 적지를 선정하고 차광 재배를 실시한다.
5.습해
수분으로 말미암은 여러 가지 피해.(호흡작용이 저해->양분흡수 감퇴->뿌리괴사 등을유발)
발생
배수의 불량,내습성(습기에 잘 견디어 내는 성질.)이 낮은 작물재배,장마
습해 대책
-배수 : 습해의 기본대책
-명거 배수 : 과수원의 지형을 이용하여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배수로를 설치하여 유출수를 배수하는 것, 과습한 토양에서는 암거배수가 훨씬 효과적
-암거배수 : 땅 속에 배수관을 매설하여 지하로 스며드는 물을 배수함으로써 토양 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뿌리가 호흡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제공
-근본적으로 배수가 불량한 점질토 : 유기물을 다량 시비하고, 객토 및 흙쌓기를 하여 토양을 개량해야 한다.
-정지 : 밭에서는 휴립휴파(이랑 만들면서 씨뿌리기)하고, 습답에서는 휴립(이랑만들기) 재배를 한다.
-토양 개량 : 세사(가는 모래)를 객토하거나, 부식 토양 개량제를 시용하여 입단을 조성하고 투수 투기를 좋게한다.
-시비 : 미숙 유기물과 황산근 비료의 시용을 피하고, 표층 시비를 하여 뿌리를 지표면 가까이로 유도하고, 또한 뿌리의 흡수 장해가 보이면 엽면시비를 꾀한다.
-과산화석회의 시용 : 과산화석회를 종자에 분의해서 파종하던가 토양에 혼입하면 상당한 기간 산소를 방출하므로 습지에서의 발아 및 생육이 조장된다.
-작물 및 품종의 선택 : 내습성인 작물과 품종을 선택
수해
저기압이나 태풍 등에 수반되는 강한 비 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재해의 총칭. 재해의 형태에 따라 홍수해, 침수해, 산사태피해 등으로 구별함. 작물재배에서의 그 피해양상은 관수(冠水)와 침수(浸水)에 의하여 쓰러지고 부패와 병해 등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음.
수해대책
-사전대책
치산을 잘해서 산림을 녹화하고,하천을 보수하는 등 치수를 잘 하는것이 수해의 기본 대책이다.
경사 경장직 토양을 보호하고 경지 정리로 배수가 잘되 게 한다.
수해 상습지에서는 작물의 종류나 품종의 선택에 유의한다.
파종기,이식기를 조절해서 수해를 회피 경감시키며 질소의 과다 시용을 피한다.
-침수시의 대책
배수에 노력하여 가능한 관수시간을 짧게하낟.
물이 빠질 때 잎의 흙앙금을 씻어준다.
키가 큰 작물은 서로 결속하여 유수에 의한 도복(작물이 땅 표면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후대책
퇴수 후 새로운 물을 갈아 댄다.
김을 매어 토양 표면의 흙앙금을 헤쳐 줌으로써 지중 통기를 좋게한다.
표토가 많이 씻겨 내렸을 때에는 새 뿌리의 발생 후에 웃거름을 주도록 한다.
침수 후 병충해가 많아지는 시기이므로 방제에 노력한다.
피해가 격심할 때에는 추파 보식 개식 대작 등을 고려한다.
못자리 때에 관수된 것은 뿌리가 상해 있으므로, 퇴수 후 5~7일이 지나 새 뿌리가 발생한 다음에 이앙한다.
가뭄해
발생
수분 부족으로 인하여 작물에 유발되는 장애를 가뭄해라고 한다.
가뭄해 대책
-관개 : 근본적인 가뭄해 대책
-작물과 품종의 선택 : 내건성이 강한 작물을 선택한다.
-토양 수분의 보유력 증대와 증발 억제 : 토양의 입단의 조성,드라이파밍,피복,중경제초,증발억제제의 살포
풍해
바람에 의한 자연재해의 총칭. 일반적으로 태풍, 저기압, 전선, 용오름, 뇌우 등과 같은 기상요란에 의하여 생기는 강풍과 계절풍의 발달 및 지형의 영향에 의한 국지바람 등에 동반되는 피해로 도복(쓰러짐),낙과 등이 발생
풍해 대책
-키가 작고 대가 실한 품종 선택
-질소 편중의 시비를 피하고 다양한 성분의 비료 시비
-재식밀도를 조절
-뿌리 생장에 힘쓴다.
-방풍림 설치,방풍 울타리 설치
-낙과 방지제 살포
-작기 이동
-배토 지주 및 결속
'자격증 > 유기농업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6편 - 토양의 성질 (0) | 2022.07.07 |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5편 - 토양의 생성과 발달 (0) | 2022.07.06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3편 - 유기재배 기술 (0) | 2022.06.30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2편 - 재배환경 (0) | 2022.06.30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편 - 재배의 기원과 현황 (0) | 2022.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