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유기농업기능사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1편 - 재배의 기원과 현황

by 투농부 2022. 6. 30.
반응형

각 내용들은 출제기준을 참고하여 정리 하였으며 자주 출제되었던 내용인 경우 *로 체크하겠습니다.


1. 재배의 기원과 현황

 

 

작물이란?

식물중에서 사람이 식량이나 생활에 필요한 자재로서 이용할 가치가 있는것,

'인간이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을 말한다.

 

재배란?

사람이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경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기르고 수확을 올리는 경제적인 영위활동이다.

 

*작물 수량 삼각형

작물 수량은 유전성, 환경 조건, 재배 기술3요소로 하는 삼각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작물의 목적에 따른 분류

작물은 목적에 따라 식량(식용) 작물,특용(공예) 작물,사료 작물로 나뉜다.

 

작물의 생태적 분류

생존 연한에 따른분류

생육 계절에 따른 분류

생육 적온에 따른 분류

생육 형태에 따른 분류

저항성에 따른 분류

 

*세계의 재배현황

전세계 토지의 총면적은 약 131ha에 달하고 있으며,경지율이 11.3%, 영년초지율이 24.6%, 임지율이 31.0% 기타 토지가 33.2%이다.

경지율 : 일반 경작지와 영년 작물 재배지를 합친 경지의 비율

영년초지율 : 다년생 목초를 파종해 오랫동안 이용할 수 있는 목초지의 비율

농용지율 = 경지율 + 영년초지율 = 35.9%

임지율 : 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땅, 또는 임업의 대상이 되는 땅의 비율

세계적으로 작물생산의 주를 이루는것은 3대 식량작물(,,옥수수)과 보리,콩 등의 곡류이다.

쌀의 90%는 아시아에서 주 생산 

밀은 북아메리카,유럽,오세아니아가 주 생산

옥수수는 미국에서 1/3생산 나머지 브라질,중국,멕시코,인도에서 생산

 

우리나라 작물재배의 특색

농용지 중에서 초지가 적다.

->가축을 사료로 키우고 땅이 넓지 않기때문에 크게 필요하지 않다.

경지이용도가 높고 윤작이 발달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는 경지의 제약이 있어 윤작이 발달하지 못하였다. 윤작을 하면 경지의 염농도를 줄일수 있으며 병해충도 예방할 수 있다.

지력이 낮은 편이다.

->장마로 인해 지력이 많이 약해지며 비료를 많이 써야한다.

기상 재해가 큰 편이다.

->홍수,가뭄,태풍,냉해 등 농사를 짓기 어려운 조건이다.

영세 경영의 다비 농업(거름을 많이주어 짓는 농사법)이며, 전업 농가가 대부분이다.

->지력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거름을 많이 주어야 한다

집약 농업(노동을 투입)에서 생력 농업(공동화,기계화)으로의 전화기에 있다.

->다양한 환경변수를 줄이고 노동력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식량안보와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줄어들고 노령화 됨에 따라 꼭 필요하다.

주곡 농업(곡물재배 중심)이면서 외곡의 도입이 많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작물을 찾는 만큼 이제는 쌀 위주의 곡물재배에서 벗어나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는 추세이다.

농산품의 국제 경쟁력이 약하다.

->기존의 농업에서 벗어난 기계화 다변화를 통해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농업의 형태

포경농업 식량과 사료를 균형 있게 생산하는 농업 형태이다.

곡경농업 ,,옥수수 등의 곡류가 넓은 지대에 걸쳐 재배되는 농업형태(매년 같은 작물이 이어짓기되는 특징이 있다.)

원경농업 작은 면적의 농경지를 집약적으로 경영하여 단위면적당 채소,과수 등의 수확량이 많게 하는 농업 형태이다.(현재 우리나라에 가장 필요하며 발전시켜 나가는 중이다.)

소경농업 : 문화가 발달하기 이전의 농업형태로서 쟁기나 가축을 이용하지 않은 것은 물론,비료도 사용하지 않았다. 지력의 소모가 빠르기 때문에 새로운 토지를 찾아서 옮기는 이른바 약탈농법이다.



반응형

댓글